DOI QR코드

DOI QR Code

Detection and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Changes in Haeundae Marine and Beach Topography using RS and GIS Technology

RS.GIS 기법을 활용한 해운대 해저.해빈지형의 3차원 입체변화 탐지 및 분석

  • 홍현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최철웅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한경수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As the ocean and beaches have suffered from the losses of sand,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zones that are prone to erosion continuously with the object of the long-term management. However, each ward offices are busy trying to supply sand without analyzing the marine and beach topographic changes. Therefore a long term effect of erosion has not been shown. In this study, we proposed methods to collect accurate spatial data of the oceans and beaches through sounding and GPS surveys, and detected and analyzed topographic change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using an integrated RS and GIS technique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arine topography has been eroded for 25 years, because of the straight construction of the river and the vast development of urban features, in addition with change of the mean depth 0.40 m, the water surface area 11,028 $m^2$, and submarine volume 2,207,884 $m^3$. The beach topography has accreted for 5 years and the change of the mean elevation is 0.27m, the area 6,501 $m^2$, and volume 25,667 $m^3$, because of the installation of geogrids and the seasonal effect. We conducted monitoring works on the topographic survey of the ocean and beaches and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oastal erosions.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supply of sand, the safe marine leisure and the management of bating place could be provided.

해안지역의 해저 해빈모래가 다량 유실되면서 해안지역의 장기관리를 위해 침식구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각 구청은 지형변화 분석작업 없이, 양빈작업에 급급하고 있어 장기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수심측량 및 GPS 측량을 통해 해저 해빈지대의 정확한 공간자료를 구축하고, RS GIS기법을 도입하여 지형변화를 정량 정성적으로 탐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해운대 해저지형은 과도한 도시개발과 하천복개공사로 지난 25년간, 평균수심 0.40 m, 수표면적 11,028 $m^2$, 수중체적 2,207,884 $m^3$ 가량 침식되었다. 해빈지형은 지난 5년간, 평균고도 0.27 m, 총면적 6,501 $m^2$, 총체적 25,667 $m^3$ 가량 퇴적되었다. 이의 원인은 지오그리드의 설치로 해빈모래가 서측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계절영향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해저 해빈지형의 정확한 측량작업으로 해안 및 지형변화에 관한 모니터링 작업을 실시하여 연안침식 현황을 분석하고, 양빈작업 및 안전한 해양레저 활동, 해수욕장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해양조사원, 2005. 해수욕장정보도, www. nori.go.kr
  2. 국토지리정보원, 2004. 공공측량의 작업규정 세부기준 제 4편 제 3장 제 7절 221조
  3. 박상길, 최병습, 강경옥, 1994. 다대포 해수욕장의 해빈 실태에 관하여, 대한토목학회지, 2: 614-617
  4. 손 일, 박 경, 2004. 거제도 학동 자갈해빈의 변화와 그 원인에 관한 연구-해빈 단면의 모니터링을 통해-,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1): 177-191
  5. 조주환, 임동일, 김백운, 2001. 항공사진을 이용한 서남해 함평만의 해안선 변화 관측,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2(4): 317-326
  6. 최철웅, 김형석, 2001. 수치항공사진기법을 이용한 광안리해수욕장 해안선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자원학회지, 4: 73-85
  7. Kevin White and Hesham M. El Asmar, 1999. Monotoring Changing Position of Coastlines Using Thematic Mapper Imagery, an Example from the Nile Delta, Geomorphology, 29: 93-105 https://doi.org/10.1016/S0169-555X(99)00008-2
  8. RON LI, KAICHANG DI, RUIJIN MA, 2003. 3D Shoreline Extraction from IKONOS Satellite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9(1): 59-68 https://doi.org/10.14358/PERS.69.1.59
  9. S. Dellepiane, R. De Laurentiis, and F. Giordano, 2004. Coastline Extraction from SAR Images and a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the Coastline Precision, Pattern Recognition for Remote Sensing, 25(13): 1461-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