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 attitude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4초

스마트러닝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수학적 흥미, 태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s of Smart Learning Math Class on Academic Achievement, Mathematical Interest, and Attitude)

  • 김성태;강현민;박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217-226
    • /
    • 2021
  • Covid -19 이후 온라인 학습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많은 교육기관은 더 이상 온라인 학습을 부가적인 자료로 바라보지 않고 주된 학습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실험을 통해 스마트러닝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흥미,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집단을 구분하여 6주간 스마트러닝을 실시한 집단과 대면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에 학업성취도, 수학적 흥미, 태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을 실시한 집단이 대면학습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세 요인 모두 사전-사후 차이가 큰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스마트러닝을 실시한 학생들은 기존의 성적 수준이 태도 변화와 학업성취도 변화 사이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성적이 낮은 학생들은 높은 학생에 비해 스마트러닝을 통해 태도변화 차이가 클수록 학업성취도 점수도 크게 향상하였다.

알지오매스 기반 수업이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5학년 '직육면체' 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thematics Classes Using AlgeoMath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Focusing on the 'Cuboid' Unit of the Fif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 이승동;이종학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8권1호
    • /
    • pp.47-6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 5학년 수학 교과서의 '직육면체'를 재구성한 알지오매스 기반 교수·학습자료를 사용해서 총 8차시의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 수업의 전후에 수집한 양적 자료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또한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실험 수업의 장면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태도의 측면에서 공학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와 실제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문제해결력검사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수업은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적 태도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수학적 태도의 모든 하위 요소들에 대해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평균 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Exploring the Impact of a STEM Integr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Secondary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Engineering and Their Attitude toward Engineering Integrated Teaching

  • Wang, Hui-Hui;Nam, Youn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4-499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a STEM integr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teachers' perception of engineer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 integrating engineering into teaching. A total of sixty-eight teachers from ten school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five days. Data are collected from three main sources including (1) pre and post concept maps probing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ngineering discipline, (2) a pre and post survey measuring teachers' self-efficacy of teaching science/mathematics within the engineering context, and (3)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or) mathematics lesson plans and teaching reflections. This study utiliz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depending on the data we have collect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science and math teachers thought that integrating engineering into teaching provided valuable outcomes, i.e., promoting students' learning about engineering and improving their interest in science or math through real-world problem solving exercises. Participants also felt more comfortable about integrating engineering in their teaching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also imply that the teachers' understandings of engineering become more concrete after the program. This study also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hallenges and advantages of teaching engineering in K-12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rooms.

수 연산에서의 언덕도 도입의 실제 (Introducing the Mrs. Weill's Hill Diagram to Learning Algorithm)

  • 이의원;김진상;이명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3-40
    • /
    • 2002
  • 수학은 계통성이 강하기 때문에 고학년의 수학 학습 부진은 저학년에서의 수 계산 학습 부진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가감승제의 기본적인 계산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 일부 학생들은 아무리 반복해서 알고리즘 연습을 하더라도 수학 불안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고 따라서 실제 문제 상황에서 방해를 받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적(iconic) 표상 활동을 강화차기 위하여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웨일의 언덕도를 도입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연구반과 비교반을 선정하고 실험 가설을 적용한 후, 수학에 대한 지필 평가지와 수학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문장제 해결 능력에서 두 집단 사이에는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시암산 능력과 추론 능력 면에서는 유의 수준 5%에서 연구반이 비교반보다 우수하였다. 둘째, 언덕도 학습을 통해서 연구반 학생들은 수 계산의 중요성을 의식하고, 계산의 즐거움,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증진되었다.

  • PDF

수학과 영역별 소집단 협동 학습의 효과 및 태도ㆍ흥미도 분석 (An Analysis of Effects and Attitude-Interest of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on Some Area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권근화;박종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58
    • /
    • 2002
  • 다인수 학급의 교육 환경 속에서 교사가 아동 개개인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아동 각자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찾아내어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최근소집단 협동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중등학교 또는 초등학교의 고학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라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소집단 협동 학습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특히, 하위 집단 학생들의 활발한 활동을 이끌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껴서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 수와 연산, 도형, 측정 영역별 소집단 협동 학습을 통한 문제 해결을 유도하여 수학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하위 집단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영역별 소집단 협동 학습이 학생들의 정의적인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한국 국제학교에서의 이중 언어를 활용한 수학학습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ilingual learning of mathematics at International High School in South Korea)

  • 공미나;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15-132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반 고등학교와는 다르게 이중언어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한국의 경인지역에 있는 A 국제학교에서 학생들이 이차함수와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영어로 학습하였을 때의 실태와 성향에 어떤 특징이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특별히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내 고1 교육과정을 따른 수학 I 수업을 한국어로 진행하였고 미국 Common Core State Standard을 따른 Algebra II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이중 언어를 활용한 수학 학습이 한국 학생들의 수학 학습능력 향상과 수학 학습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는 학생들의 학습참여도와 동기부여가 잘 되었고 대학 진학을 위한 준비 단계로서도 유익한 과정이었다. 둘째로는 본 연구 결과로서 얻게 되는 시사점으로서 소수이기는 하지만 한국에서의 이중언어로서의 수학교육에서는 학생들의 필요와 다루게 되는 교재들의 국가 간의 차이에 의한 영향들을 고려하여 이중언어 수학수업에 보다 효율적인 지도방법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통계적 추정에 관한 예비 수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Misconception about Statistical Estimation that Future Math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 한가희;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47-2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통계적 추정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으로 '신뢰구간 및 신뢰도의 의미, 표본평균의 분포와 모평균 추정의 연결, 신뢰구간을 구성하는 요소간의 관계' 3개를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 수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통계적 추정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지, 예비 수학 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통계적 추정에 관한 오개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통계적 추정 단원에서는 신뢰구간 등을 계산하는 방법 뿐 아니라 그 결과의 의미를 문맥 안에서 해석하는 것 또한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모평균의 추정 단원에서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뉴스나 신문 자료에 나타난 모평균 추정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 또한 지도되어야 한다. 셋째, 통계적 추정 단원에서 학생들이 흔히 갖는 오개념에 관한 지식, 통계적 추정의 개념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한 현직교사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이 요구된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우리 나라 수학교육과정 현황 및 TIMSS 연구결과와의 비교분석 (A Curricular Comparison Study with TIMSS)

  • 김민경;노선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37-156
    • /
    • 2001
  • IEA's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TIMSS) from 1994-1995 has placed Korea as one of the top three countries among 45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mathematics achievement for the 3rd, 4th, 7th, and 8th grade students. While the test scores were excellent, the study also showed that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needed improvements in student attitudes, technology incorporation, and gender difference in achievement. An analysis of the a survey conducted as part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search program showed that very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se areas for the past 5 years. Moreover, the progressively declining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for high school students is a problematic phenomena for educators as we believe that mathematics is becoming even more important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society. A comparison between the top three TIMSS scoring countries (Korea, Singapore, and Japan) and low scored country (U.S.) was made In this paper. We also compare some of problematic results from TIMSS to those from EERI Curriculum Study implemented in 2000. The study shows that simply using technology and improving student attitudes do not necessarily guarantee improved performance. Most of educators agree that potential for technology is great for both changing the way students learn and improving the attitudes of students. However, improperly implemented technology can hinder rather than help the educational process. Therefore, as we begin to implement and use more and moore technology, it is critical to develop the proper curriculum, training for teachers and research programs to track the progress and to make the necessary adjustments to provide the best possible education for our students. Another TIMSS result shows for all four grade levels(3rd, 4th, 7th, 8th), Korea shows the highest gender difference among all the participating countries. TIMSS data such as this is valuable to benchmark all types of information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what is happening for improvements in math curriculum in Korea. More research needs to be done in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to understand both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our curriculum so that improvements can be made.

  • PDF

학교 아침급식이 남자 중학생의 아침식사 및 아침급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chool Breakfast Service on Attitudes Toward Breakfast and School Breakfast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 이가진;윤지현;추윤정;정상진;권영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7-285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eating school breakfast on their attitudes toward breakfast and school breakfast. In addition, the effect of school breakfast on breakfast-related eating behaviors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investigated.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a male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Breakfast was provided at the school for 7 weeks during the 2nd semester of the year 2006. Two sophomore classe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study. All the students from one class (n = 34; School Breakfast Eaters) have eaten school breakfast while none of the students from the other class (n = 33; School Breakfast Non-eaters) have done so. About two weeks after the school breakfast service was termina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two classes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School Breakfast Eater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breakfast and school breakfast than School Breakfast Non-eaters. In addition, School Breakfast Eaters perceived the positive effect of eating breakfast on their school life more highly than School Breakfast Non-eate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breakfast eating behaviors in terms of breakfast skipping when the breakfast service was not availab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s to math score variation before and after school breakfast service. In conclusion, school breakfast for 7 weeks had positive effects o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breakfast and school breakfast, although the effect was not confirmed in their breakfast-related eating behaviors after the school breakfast service was terminated

창의성과 인성 교육 방안으로서 협력 문제 만들기에 대한 수학 예비교사의 인식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Problem-posing as a Means to Promote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 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73-395
    • /
    • 2022
  • 이 연구는 수학 예비교사가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협력 문제 만들기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수학 예비교사의 창의성 교육과 인성교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수학 예비교사 교육 단계에서 협력 문제 만들기를 도입하는 것은, 이후 학교교육에서도 창의성 교육과 인성 교육을 위해 협력 문제 만들기를 좀 더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학교 2학년 과정에 필수 과목으로 개설하는 '수학교육론' 강좌를 수강하는 수학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협력 문제 만들기 과제를 수행하게 하고 3년에 걸쳐 설문조사, 면담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보완·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예비교사는 협력 문제 만들기 경험과 상관없이 협력 문제 만들기가 학생들의 다양한 아이디어 산출 능력 함양 및 협동심, 존중, 배려를 포함한 학생의 대인 관계 형성 태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협력 문제 만들기 과제를 수행한 수학 예비교사의 경험은 협력 문제 만들기가 학생의 아이디어 정교화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셋째, 수학 예비교사의 협력 문제 만들기 경험은 협력 문제 만들기가 아이디어 정교화 능력, 개인의 내적 태도(정직, 공정성, 책임감), 논리적인 의견 제시와 합리적인 의사 결정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대면 환경의 단점을 온라인 환경이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