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ginal gingiva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5초

Laser Doppler Flowmetry를 이용한 치은혈류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ingival blood flow using laser Doppler flowmetry)

  • 김형수;이장희;송형근;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309-320
    • /
    • 1998
  • The periodontal health has been evaluated clinically by various epidemiological indices, and in researches by measurement of gingival crevicular fluid. Laser Doppler flowmetry is a reliable and objective method that allows immediate measurement of erythrocyte flux in approximately one cubic mm of the capillary bed without disturbing the tissu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human gingival blood flow was different according to measuring area, measuring time, and sex or not. Forty volunteers with good general and periodontal health, aged early twenties and unmarried, were selected. Laser Doppler flowmetry($floLAB^{(R)}$, Moor Instruments Ltd., England) was applied to measure the gingival blood flow of marginal gingiva, interdental papilla, attached gingiva and alveolar mucosa. The blood flow of interdental papilla was measured at 9-10 AM, 1-2 PM, and 5-6 PM. The difference of blood flow according to measuring area and measuring time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 way AOVA and Dunkan test, and the difference of blood flow between men and women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t-test. (1) Mean blood flow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veolar mucosa than in the gingiva(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flow between marginal gingiva and interdental papilla(p>0.1). (2) Mean blood flow was significantly higher at 5-6 PM than at 9-10 AM and 1-2 PM(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ingival blood flow between 9-10 AM and 1-2 PM(p>0.1).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ingival blood flow between men and women(p>0.1).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measurment of gingival blood flow using laser Doppler flowmetry may be clinically applicable to early determination of gingival inflammation and evaluation of healing status, but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standardize and simplify the measuring procedure.

  • PDF

전치부 심미치주성형술 (Periodontal plastic surgery for anterior esthetics)

  • 이용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12호
    • /
    • pp.880-888
    • /
    • 2010
  • Periodontal disease, trauma, deformity of tooth can jeopardize the esthetics of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Moreover, increasing the demand and concern about the esthetics, clinicians should place high value on esthetics during periodontal treatment. Analysis of various anatomical considerations; lip line, shape and location of marginal gingiva, and biologic width; and diagnosis should be performed prior to periodontal plastic surgery.

근단 변위 판막술을 이용한 상악 영구 절치의 맹출 유도 (ERUPTING GUIDANCE OF IMPACTED MAXILLARY PERMANENT INCISOR WITH APICALLY REPOSITIONED FLAP)

  • 임예진;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12-518
    • /
    • 2010
  • 임상적으로 흔히 관찰되는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은 대부분 치조골 순측에 매복되어 있다. 치조골의 순측에 매복되어 정상적인 맹출을 기대할 수 없을 때, 매복 원인을 제거 후 관찰하거나 필요시 외과적 노출술 또는 교정 장치물을 부착하여 교정적인 견인을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복치아가 치조점막부에 위치하거나, 치조골내 깊이 매복되어있는 경우, 단순히 치은절제술과 치조골 제거에 의한 매복치의 외과적 노출은 부착치은 폭경의 감소, 치은염 발생, 변연 치조골 상실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를 외과적으로 노출시키고 교정 장치물을 부착시킨 후 다시 판막을 피개하는 폐쇄 맹출법으로 교정적 견인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매복 치아가 가동성 점막 직하방에 존재한다면 근단 변위 판막술을 통해, 단순히 치은의 절제를 통한 노출시 발생하는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고, 매복치의 맹출 유도를 더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영구 절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근단 변위 판막술을 시행한 결과 부착치은의 상실없이 맹출 유도를 얻고 심미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상피하 결합조직 이식편을 이용한 치근 피개술 (Root coverage using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 김정현;허익;권영혁;박준봉;정종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1호
    • /
    • pp.91-96
    • /
    • 2008
  • Purpose: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periodontal reconstructive surgery is the coverage of exposed roots that occur due to gingival recession. and Aestheic concerns are usually the reason to perform root coverage procedure. This case repor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oot coverage using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SCTG) on Miller's Class I marginal tissue recession. Materials and Methods: One patient, with two Miller's class I marginal tissue recession on both maxiallay canines, was treated with root coverage using SCTG (modified Nelson's technique). At baseline, the following measurements were recorded: 1) recession depth; 2) width of keratinized giniga. At 9, 10 months post-surgery, all clinical measurements were repeated. Result: 1) The mean root coverage from baseline to 9, 10 months post-surgery was 92.3%. 2) The mean recession depth decreased from 6.5 mm to 0.5 mm. 3) The mean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increased from 1.25 mm to 3.5 mm. Conclusion: Within the above results, root coverage using SCTG is an effective procedure to cover Miller's class I marginal tissue recession defect. Also, patient with aesthetic concern could be satisfied with this result.

과당투여가 가토 구강점막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SUCROSE-OVERDOSAGE ON RAT ORAL MUCOSA)

  • 이춘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9권2호통권141호
    • /
    • pp.163-166
    • /
    • 1981
  • Sugar consumption has been increased in recent days according to an improvement in living condi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sugar is one of the causes of caries and that diabetes mellitus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iodontal diseases.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gain informations on the influence of overdosage of sugar and/or high blood sugar level on the periodontal tissue. 12 rats weighing about 1.5Kg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 one and 3-day, 7-day, 14-day ones after daily administration of 30-50 gm of sucro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aily adminisration of 30-50 gm of sucrose elevated blood glucose level as much as 10-20 mg% than before. 2. Epithelial keratinization was gradually conspicuous to the dosage of sucrose. 3. The severity of inflammatory infiltration was also increased to the dosage of sucrose. 4. Inflammatory infiltration was encountered in marginal gingiva more than other periodontal tissue.

  • PDF

아말감 충전후(充塡後) 수은(水銀)의 타액내(唾液內) 누출(漏出)에 관(關)한 연구(硏究) (MERCURY LEAKAGE TO SALIVA AFTER AMALGAM FILLING)

  • 김수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권1호
    • /
    • pp.8-10
    • /
    • 1975
  • This study is to determine or detect deposition of mercury particles emitted from dental amalgam fillings. Amalgam fillings were carried out routinely on the dogs' teeth. (CIV cavities) Mercury which contains about 200${\mu}Ci$ of $^{197}Hg$ was employed on this purpose in each cavity. Radioactivity was measured by means of well type scintillation counter from saliva and mucous membrane of surrounding tissue. The C. P. M. value from the saliva was highest, mucous membrane was moderate and least on blood and fecs, as shown table on I. II. III. IV. 1. C.P. Mvalue from Saliva reveals 114 to 135 (lowest and highest) throughout the measuring period until 41 hours. 2. From blood samples no significant value was found. 3. CPM value from feces at2nd day and 4th day was about 90. 4. The highest and lowest CPMvalue from marginal gingiva was 465 and 209 respectively. Palatine showed 281 and 189, esophagus 179 and 165, and pulp from experiment tooth 190 and 104 respectively.

  • PDF

BIOMETRICAL STUDT ON THE ZONE OF ATTACHED GINGIVA

  • 한수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4권6호
    • /
    • pp.539-542
    • /
    • 1976
  • 저자는 한국인 부착치은의 폭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건전한 치은 및 치주조직을 가진 10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기능적인 방법과 조직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부착치은 경계부인 Mucogingival Junction에서부터 Marginal gingva의 Crrest까지를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부위로, 상, 하악 공히 우측 제일대구치 원심면 Papilla로부터 시작하여 좌측 제일대구치 원심면 Pailla까지 각각 25개 부위로 구분하여 모두 50개 부위를 측정 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에 의한 측정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기능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측정치는 조직화학적인 방법에 의한 측정치보다 약 0.30~0.80mm의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2. 측정치중 가장 높은 폭경을 나타내는 부착치은의 부위는 상악측절치 근심면(9.03~8.84mm 기능적인 방법, 8.49~8.12mm 조직화학적인 방법)이며, 가장 적은 측정치를 나타낸 부위는 하악제일소구치 Cervical부위이다. (3.87~3.70기능적인 방법, 2.82~2.77mm 조직화학적 방법). 3. Frenum 부착부위 치은폭경은 상악 6.27~6.56mm, 하악 6.95~6.07mm 4. 부착치은 폭경 중 가장 측정키 어려운 하악 제 1대구치 cervical부위는 4.17~3.82mm기능적인 방법, 3.86~3.49mm조직화학적인 방법

  • PDF

구개부 치조골 결손을 보이는 상악 전치 상실부의 임플란트 심미보철수복: 증례보고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in the maxillary anterior missing area with palatal defect of the alveolar bone: a case report)

  • 오재호;강민구;이정진;김경아;서재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91-298
    • /
    • 2017
  • 치조골 폭이 협소한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인 임플란트 수복은 임플란트 식립체의 경사각과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에 단순한 임플란트 식립만으로는 심미적인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하기 어려운 일이다. 임플란트 보철물이 변연 치은과 조화로운 출현윤곽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식립체의 이상적인 치조골 내 위치와 식립각이 설정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종종 임플란트 식립 전 골증대술을 선행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구개측의 심한 골 결손을 동반한 얇은 치조골 폭을 보이는 상악 전치 상실부에 골증대술을 시행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심미 보철을 시행한 증례이다. 먼저 협측에 과량의 골증대술을 선행하여 불리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보상할 수 있는 구개측 식립 경사를 확보하였으며, 임시보철물의 외형을 조정하여 인접 치아와 조화로운 변연 치은 높이와 치간 유두를 형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지르코니아 코어를 가지는 도재수복물을 이용하여 보철 수복하였고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심미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치근 피개술 (Esthetic Root Coverage for Gingival Recession)

  • 안명환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6
    • /
    • 2017
  • 현대의 치과 치료에서는 환자들의 심미적 요구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심미 치과 영역에서 치은을 비롯한 연조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자연치나 임플란트 주위 조직을 분명히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를 해줌으로써 환자들의 요구도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조직 부위의 심미를 pink esthetic이라고도 하는데, 이 pink esthetic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치은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치은선은 순측 치은의 높이, 치간유두의 높이, 그리고 이 둘을 잇는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치에서 치은 퇴축이 발생한 경우, 순측 치은의 높이를 비롯한 자연스러운 치은선이 치근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더 많은 치아의 치근 부위가 노출되게 되어 비심미적인 모습을 보이게 된다. Root coverage technique(치근피개술)은 자연치의 치은 퇴축(marginal tissue recession)을 치료하기 위해서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어 왔던 술식으로, 치주 성형수술 영역에서는 대표적인 술식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임플란트 술식이 매우 보편화되었는데, 그만큼 임플란트의 부작용 또한 급증하고 있다고 할수 있다. 전치부 영역에서 임플란트의 부작용은 자주 심미적인 문제를 동반하게 된다. 기존의 전통적인 root coverage technique은 이러한 치과 임플란트 영역의 심미적 문제의 해결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응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다수의 치과에서 임플란트 치료가 시행되고 있는 현실을 생각한다면 그 심미적 부작용의 극복을 위해, root coverage technique을 비롯한 연조직 처치를 숙지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치근 피개술식들을 간단하게 살펴볼 것이며, 더 좋은 심미적 결과를 위한 단계별 고려사항들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한다.

Putty 인상재를 채용한 PVS 인상채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PRESSION TECHNIQUE USING PUTTY MATERIAL OF PVS IMPRESSION MATERIAL)

  • 전영찬;나경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35-543
    • /
    • 1997
  • In order to compare the accuracy of impression technique using the addition silicone putty and improved heavy body material, impression were taken for the natural 6 maxillary anterior teeth, and for the metal mast model that has full arch shape with 4 cylindrical abutment teeth. Marginal gingiva was retracted by routine method using retraction cord, and two techniques were tried to compare the length of impression materials in the gingival sulcus. This was aimed to see the effect of viscosity and hydraulic pressure of impression materials for the subgingival impression. Impressions for the full arch-shaped metal master model were taken to compare the linear stability of the different impression materials and their related techniques. The conclusions were as belows : 1. The one-step impression technique showed longer extension of impression material in gingival sulcus than two-step impression technique. 2. High viscosity and hydraulic pressure of impression material were useful to take subgingival impression.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two-dimensional accuracy of impression technique, but two-step technique showed better trend than one-step techniq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