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nutrient intak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8초

2020 단백질 섭취기준: 결핍과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한국인의 단백질 필요량 추정과 섭취현황 (2020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Protein: Estimation of protein requirements and the status of dietary protein intake in the Korean population)

  • 김은정;정상원;황진택;박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1호
    • /
    • pp.10-20
    • /
    • 2022
  •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개정에서 단백질은 기본적으로 질소평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단백질 양 0.66 g/kg 체중/일에 이용효율 90%를 적용한 평균필요량 0.73 g/kg 체중/일과 변이계수 12.5%를 적용한 권장섭취량 0.91 g/kg 체중/일을 생애주기별 체위기준치 변화에 따라 제시하였다. 그러나 성장기의 단백질 섭취기준에서는 체중 기준을 2017년에 개정된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 근거하고, 일본 DRI 자료를 참고로 단백질 식품 이용효율을 차등 적용하였으며, WHO/FAO/UNU 보고서상의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량 오류를 수정·반영하여 기준값을 개정하였다. 그 결과 일부 연령구간에서 섭취기준의 상향조정이 있었으나 한국인의 연령대별 1일 평균 단백질 섭취량은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단백질 평균필요량의 10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 75세 이상과 여자 65세 이상을 제외하고는 권장섭취량과 비교했을 때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단백질 섭취기준의 상향 조정은 국민의 평균 단백질 섭취기준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75세 이상의 단백질 섭취량은 근감소증 예방, 근력 강화 등을 위해 65-74세 단백질 섭취기준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이번 개정에서 단백질 에너지 적정비율은 기존의 7-20%를 유지하였으나 향후 단백질의 적정한 섭취수준 및 만성질환예방을 위한 단백질 필요량 설정에 관한 과학적 근거마련을 위해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중재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경북농촌지역 중식지원 초등생의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Status of School Lunch-Suppor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buk Rural Area)

  • 박나영;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4호
    • /
    • pp.341-352
    • /
    • 2008
  • The number of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who belong to low-income families has been rapidly increased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of school lunch-suppor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e hundred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and 119 non-supported children of fourth to sixth year class in 3 elementary schools in Gyeongbuk rural area were select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i.e., once during school term and once during summer vacation in 2006. Food consumption survey during school term was carried out through an interview by dieticians at school-lunch time using a 24-hour recall method, and the survey during summer vacation conducted by recording food intakes for three days by children. Nutrient intakes were calculated using CAN-Pro 3.0 program.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showed higher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rather irregular meal time as compared to non-supported students. Eating alone was more frequent in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than in nonsupported children. The average nutrient intakes and nutrient adequacy ratios were lower in supported children than in non-supported children. During term, percentages of nutrient intakes provided by school-lunch were higher in supported children than in non-supported children. Intakes of energy nutrients were within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s, but proportion of carbohydrate intake increased during vacation. Analysis of patterns of food intakes based on major food groups (dairy, meat, grain, fruit, vegetable) indicated that meals during term were more balanced as compared to meals during vacation. In conclusion,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of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were inferior to those of non-supported children during term and during summer vacation. They were provided with more nutrient intakes from school lunch during term as compared to non-supported children. Therefo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keep meal support program during vacation but also to provide a proper nutrition education as a part of school lunch program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and food behaviors of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우리나라 성인의 총 지방 및 지방산 섭취량 평가: 2016-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Evaluation of Total Fat and Fatty Acids Intakes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Data from the 2016-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송수진;심재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3-231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dietary intakes of total fat and fatty acids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the 2016-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 total of 10,772 subjects aged ${\geq}19y$ for which dietary data were available were selected. Data pertaining to energy and nutrient intakes were obtained by a 24-h recall method. Total fat and fatty acids intake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s (AMDR) of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by sex and age groups. All statistical analyses accounted for the complex sampling design effect and sampling weights. Results: The mean intakes of energy and total fat were 1,952 kcal (95% CI: 1928-1977) and 46.1 g (45.2-47.1), respectively, and about 21% of the energy was obtained from fat in this study population (21.7% in men and 20.2% in women). The mean percentages of energy from saturated, monounsaturate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6.4%, 6.7%, and 5.2%, respectively. About 18% of adults exceeded the AMDR for fat (30% of energy), whereas 37.6% exceeded the AMDR for saturated fatty acids (7% of energy). The proportions of subjects who consumed more than the AMDR for fat and saturated fatty acids decreased across age groups in both sexes. Among young adults (19-29 y), about 63% of the subjects obtained ${\geq}7%$ of their energy from saturated fatty acids. About 61% of older adults obtained less than 15% of their energy from total fat. Conclusions: Increased intake of fat energy was prominent in saturated fatty acids. Our findings suggest current information on total fat and fatty acids intakes in Korean adults and can be used to provide dietary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Regional disparitie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s and diet quality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2013-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Bo Young, Seo;Eun Sil, Her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6호
    • /
    • pp.755-764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Cardiovascular diseases (CVDs) are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ns, and eating habits, including diet quality, are among the etiologies of these diseases. Recently, various studies on regional health disparitie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are limited studies on their relationship with nutritional factor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agnitude of regional disparities in diet quality and prevalence of CVD in Korean adults. SUBJECTS/METHODS: This study included 17,646 participants aged ≥ 20 years from the 7th (2013-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residential areas: City 1, City 2, City 3, and non-cit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factors, body mass index (BMI), metabolic syndrome index, diet quality, and CVD prevalence were evaluated. RESULT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P < 0.001), marital status (P < 0.001), educational level (P < 0.001), and income (P < 0.001) were lower in the non-city category. Health-related factors such as monthly drinking rate (P < 0.01) and mental stress (P < 0.05) were the highest in City 1 and lowest in the non-city group. Conversely, the current smoking rate (P < 0.05), BMI (P < 0.05),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P < 0.001) were the highest in the non-city group (P < 0.05). The non-city group also had the highest prevalence of CVDs (35.6%). This group had the lowest diet quality index (68.36 ± 0.22, P < 0.01), caused by low intake of fruit and calcium, a lack of sodium moderation, and an overall imbalance in the macronutrient and fatty acid ratio. When the diet quality index was increased by 1, the odds ratio for the prevalence of CVDs was reduced by 0.991 (P < 0.001), but this was not the case in all region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nd data in identifying and resolving the regional health disparities related to CVD prevalence and implementation of public health nutrition systems.

우리나라 청소년의 고탄수화물 식사와 고지방 식사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199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The effect of high-carbohydrate diet and low-fat diet for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olescents: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1998-2009)

  • 한미란;임정현;송윤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3호
    • /
    • pp.186-192
    • /
    • 2014
  • 본 연구는 제1기~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998~2009) 자료를 이용하여 10~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고탄수화물 식사 그룹 (HCLF)과 고지방 식사 그룹 (LCHF)의 식사 특성이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1) 에너지 섭취비율은 HCLF 그룹의 경우 탄수화물 : 단백질 : 지질이 76.3 : 12.6 : 11.1 인 반면, LCHF 그룹의 경우 52.9 : 14.7 : 32.4 로 두 그룹 간 유의적 차이가 났으며, 에너지 섭취는 HCLF 그룹이 1,733.1 kcal로 LCHF 그룹의 2,233.0 kcal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2) 두 그룹 간 에너지 섭취를 연령별 에너지 필요 추정량에 대비해 평가해보니 HCLF 그룹은 평균 79.0%를 충족하였고, LCHF 그룹은 100.3%를 충족하였다. 3) 에너지 섭취 보정을 위해 1,000 kcal 당의 영양소 밀도로 평가해보면 HCLF 그룹은 탄수화물, 나트륨, 철, 칼륨, 비타민 C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단백질, 지방, 칼슘, 인,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4)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비교해보면, HCLF 그룹에서 LCHF 그룹에 비해 혈청 중성지질 농도와 수축기 혈압은 유의적으로 높았고, 혈청 H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다른 지표들은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 5) HCLF 그룹과 LCHF 그룹 간에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위험도와 대사증후군의 교차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 시기에도 고탄수화물 섭취가 대사증후군 지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 탄수화물 섭취는 매우 높은 편이어서 앞으로 이 시기의 탄수화물의 질적, 양적 섭취 수준과 대사질환과의 관련성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하며, 성인기 만성질환으로의 이행에도 관련이 있으므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Low HDL cholesterol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therogenic lipoproteins and insulin resistance in women classified with metabolic syndrome

  • Fernandez, Maria Luz;Jones, Jennifer J.;Ackerman, Daniela;Barona, Jacqueline;Calle, Mariana;Comperatore, Michael V.;Kim, Jung-Eun;Andersen, Catherine;Leite, Jose O.;Volek, Jeff S.;McIntosh, Mark;Kalynych, Colleen;Najm, Wadie;Lerman, Robert 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6호
    • /
    • pp.492-498
    • /
    • 2010
  • Both metabolic syndrome (MetS) and elevated LDL cholesterol (LDL-C) increase the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CVD). We hypothesized that low HDL cholesterol (HDL-C) would further increase CVD risk in women having both conditions. To assess this, we recruited 89 women with MetS (25-72 y) and LDL-C ${\geq}$ 2.6 mmol/L. To determine whether plasma HDL-C concentrations were associated with dietary components, circulating atherogenic particles, and other risk factors for CVD,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high HDL-C (H-HDL) (${\geq}$ 1.3 mmol/L, n=32) and low HDL-C (L-HDL) (< 1.3 mmol/L, n=57). Plasma lipids, insulin, adiponectin, apolipoproteins, oxidized LDL, Lipoprotein(a), and lipoprotein size and subfractions were measured, and 3-d dietary records were used to assess macronutrient intake. Women with L-HDL had higher sugar intake and glycemic load (P< 0.05), higher plasma insulin (P< 0.01), lower adiponectin (P< 0.05), and higher numbers of atherogenic lipoproteins such as large VLDL (P < 0.01) and small LDL (P<0.001) than the H-HDL group. Women with L-HDL also had larger VLDL and both smaller LDL and HDL particle diameters (P<0.001). HDL-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DL size (r=0.691, P<0.0001) and HDL size (r=0.606, P<0.001), and inversely correlated with VLDL size (r=-0.327, P<0.01). We concluded that L-HDL could be used as a marker for increased numbers of circulating atherogenic lipoproteins as well as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in women who are already at risk for CVD.

미숙사과를 이용한 사과마스크팩의 정기적인 사용이 중년여성의 피부상태 개선에 대한 임상효과 평가 (Clinical Effectiveness of Regular Use of Unripe Apple Mask Pack on Skin Status of Middle-aged Women)

  • 김미영;조경동;김은진;최상윤;김성수;한찬규;이복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5호
    • /
    • pp.453-462
    • /
    • 2010
  • The effects of unripe apple mask pack made from unripe apple extracts on the skin status of middle-aged women for 4 weeks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placebo mask pack as the control (PM, n = 8), apple mask pack (AM, n = 16), and apple mask pack + apple intake (AAM, n = 12). The study included a survey questionnaire, and evaluations of nutrients intakes and of skin status. Skin status was measured by Aramo-TS. After 4 weeks, facial moisture, elasticity, evenness, and wrinkle level were improved in AM and AAM. The facial moisture level (AM: $+3.13\;{\pm}\;2.73$, AAM: $+2.25\;{\pm}\;2.93$) and elasticity level (AM: $+5.81\;{\pm}\;8.27$, AAM: $+5.50\;{\pm}\;6.13$) of AM (p < 0.001) and AAM (p < 0.05) were increased. The facial evenness level (AM: $-5.25\;{\pm}\;8.13$, AAM: $-9.17\;{\pm}\;4.26$) and wrinkle level (AM: $-10.88\;{\pm}\;11.74$, AAM: $-17.83\;{\pm}\;12.2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AM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kin elasticity, evenness, and wrinkle. The skin status of PM was not changed. While the macronutrient intakes of all the subjects were not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e study, the daily intakes of some vitamins (vitamins $B_6$, C, and E and folic acid) during the stud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AM.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regular use of apple mask pack was effective in improving overall skin status. Furthermore, the consumption of apples with mask pack application was much better in improving skin status.

저나트륨 식생활 교육이 과체중 및 비만 중년여성의 식습관, 식사의 질 및 비만지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w-sodium Diet Education Program on Dietary Habits, Diet Quality and Obesity Index in Overweight and Obese Middle-aged Women)

  • 정수빈;박서연;안소현;김진남;김혜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13-526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w sodium diet education program on dietary habits, diet quality, and measures of obesity in overweight or obese middle-aged women. Methods: Subjects were 81 individuals aged 45 years or over, who completed an 8-week nutrition educat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normal group (N = 30) and an overweight-obese group (N = 51) according to the BMI. The effects were evaluated by anthropometric measurement, biochemical analysis, questionnaire, and diet record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Overweight-obese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weight (p < 0.0001), BMI (p < 0.0001), percent of body fat (p = 0.0087), waist circumference (p < 0.0001), systolic (p = 0.0003)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 = 0.0261). Nutrients intak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nd only sodium intake was decreased after education. Total score of general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odium intake, dietary diversity score (DDS), diet variety score (DVS), and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were improved in both groups compared to the baseline. Overweight-obe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having fruits everyday', 'having fish everyday', 'trying to eat many kinds of food', 'eating less broth when eating soup, stew, and noodles', 'eating less kimchi and salt-fermented vegetable', and 'propensity to think that dishes should be pretty seasoned'. In addition, moderation of empty calories food (p = 0.0064) and macronutrient ratio (p = 0.0004) were improved in the overweigh-obese group, but in the normal group, the result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ow sodium diet education program may contribute to obesity management by improving diet quality and dietary habits in middle-aged women.

학령 전 아동의 식습관, 신체 발달 및 영양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Physical Development and Nutrient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 유경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1호
    • /
    • pp.23-37
    • /
    • 2009
  •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영양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어린이의 올바른 식생활 형성, 관리 및 영양교육을 위한 영양관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울산시 보육 시설에 다니는 $3{\sim}6$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신체계측 및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영양섭취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어린이가 식사를 잘하지 않는 이유로는 '많은 간식으로 인하여'라는 답이 가장 높은 비율 (50.4%)을 차지하였으며, 규칙적 아침 식사에 있어서는 1주에 $3{\sim}4$번 하는 어린이가 17.9%, $1{\sim}2$번 하는 어린이가 6.2%로 아침 결식률이 높았다. 2) 간식의 빈도로 세 번 이상 주는 경우가 22.8%로 나타났으며 생우유 섭취량이 하루 3컵 이상 마시는 어린이도 11.7%였다. 3) 어린이의 식습관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항을 5점 척도로 식습관을 평가하였다. '식사 시간이 규칙적'이라는 문항에 대해서 평균 $3.5\;{\pm}\;0.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적당양을 섭취한다'의 문항으로 평균 $3.4\;{\pm}\;1.0$, '음식 투정을 하지 않는다' $3.1\;{\pm}1.0$, '음식을 골고루 섭취한다' $3.0\;{\pm}\;1.0$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식사를 빨리 끝낸다'의 문항에 대해서는 $2.7\;{\pm}\;0.9$의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또한 5문항 전체 평가에 있어서는 식습관이 우수하다고 판정되는 어린이가 9.0%에 불과했으며 대부분 식습관이 보통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식습관이 불량하다고 판정되는 경우도 6.2%로 유치원에서부터 어린이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4) 어린이의 식품군별 섭취빈도 점수를 점수화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가장 낮은 섭취를 나타낸 식품군은 녹황색 채소류로 평가 점수가 $1.8\;{\pm}\;0.9$였으며, 다음이 미역, 김 등의 해조류의 식품이 $2.1\;{\pm}\;1.1$, 과일류가 $2.5\;{\pm}\;1.2$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어육류, 계란, 콩 등 단백질 식품은 $2.6\;{\pm}\;1.1$, 우유 및 유제품의 경우는 $3.3\;{\pm}\;1.1$로 가장 자주 섭취하는 식품군으로 나타났으며, 튀김 음식의 경우 어린이의 32.4%가 주에 $1{\sim}2$번 정도로 거의 섭취하지 않는다고 답하여 평점 $3.0\;{\pm}\;0.9$로 식습관의 진단에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4) 어린이의 건강 상태를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감기 증상이 $3.1\;{\pm}\;1.0$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알레르기 증상이 $3.7\;{\pm}\;1.3$로 낮은 결과를 보여 영양소 섭취 부족에 의한 임상 증상들에 비해 면역에 대한 질환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의 건강 점수는 50.3%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7.6%가 보통, 2.1%가 건강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 어린이의 신장은 평균 $103.6\;{\pm}\;6.4\;cm$였으며 남아의 경우 $104.5\;{\pm}\;6.3\;cm$, 여아의 경우 $102.6\;{\pm}\;6.4\;cm$로 연령 간에는 유의한 차이 (p < 0.05)가 있었으며 남녀 어린이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중은 평균 $17.8\;{\pm}\;3.0\;kg$였고, 남아 평균 $18.4\;{\pm}\;3.2\;kg$, 여아 평균 $17.1\;{\pm}\;2.7\;kg$였다. 연령 간에는 4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5세, 6세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녀 어린이 간에는 4세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WLI를 기준으로 비만율을 판정한 결과 저체중율은 11.1%, 과체중 이상의 어린이 비율이 17.4%로 나타났다. Rohrer지수의 경우 비만도의 평가는 저체중율은 전혀 없었으며, 과체중 이상의 어린이가 86.8%로 높게 나타났다. Kaup 지수에 의한 비만율은 저체중율이 2.8%, 과체중 이상의 경우는 29.2%로 나타나 WLI에 의한 빈도보다는 조금 높았으며, 비만 지수 (Obesity Index)를 이용한 경우 저체중율이 2.1%, 과체중 이상 어린이가 20.8%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 어린이의 성장의 특징은 모든 지표에서 3세에 유의하게 비만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하면서 비만 지수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다른 연구 결과에 비해 저체중 비율이 낮았다. 7) 조사 대상 어린이의 영양소 섭취 상태를 조사한 결과에너지 섭취는 한국인영양섭취기준보다 낮은 수준으로 에너지필요추정량 (EER)의 85.7% 수준이었다. 에너지적정섭취비율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s:AMDR)은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비율이 62.6:21.5:15.7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제시하는 $55{\sim}70:7{\sim}20:15{\sim}30$과 비교 시 지방의 섭취 비율은 낮은 편이며 단백질의 섭취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의 섭취는 권장섭취량의 3배가 넘는 수준으로 높은 섭취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A의 경우 권장섭취량의 133%를 섭취하였으며, 어린이에서 가장 섭취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진 칼슘의 경우 권장섭취량의 98.9%를 섭취하였고 무기질과 비타민 중 엽산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권장섭취량을 초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열량섭취 부족의 어린이는 33.3%, 지방의 섭취가 부족한 어린이의 비율은 42.7%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엽산은 어린이의 85.5%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A, 나이아신, 비타민 C의 경우 각각 어린이의 29.1%, 35.0%, 47.0%가 섭취 부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대로 영양소 과잉 섭취 어린이의 비율은 나이아신의 경우는 24.8%, 비타민 A의 경우 4.3%, 철분은 1.7%로 나타났다. 울산 지역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식사를 잘하지 못하는 이유로 간식섭취가 높기 때문이라고 답한 비율이 높고 실제로 어린이의 간식 섭취 빈도나 우유 및 유제품 섭취량 또한 다른 연구와 비교 시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균형잡힌 식습관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또한 다른 지역 연구에 비해 저체중으로 판단되는 어린이의 비율이 낮고 과체중 이상 비만으로 판단되는 어린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점, 영양소섭취에 대한 조사결과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한국인영양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을 초과 섭취 하는 것으로 나타난 점등을 고려할 때 본 연구 어린이에 대해 과잉 영양소 섭취에 대한 좀 더 세밀한 관심과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보건소 및 대학, 유아기관 등에서 어린이의 식습관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며, 부모와 어린이의 식생활지도를 통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과천지역 초등학생의 Leptin 수준과 열량섭취, 체중 및 비만도 변화와의 관계 (Serum Leptin Levels and Changes in Body Weight and Obesity Index in Gwache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인경;강재헌;송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8호
    • /
    • pp.736-744
    • /
    • 2007
  • 과천에서 진행되고 있는 소아 코호트의 1차년도와 2차년도 조사에 모두 참여했던 소아 375명(남아 : 195명, 여아 : 180명)을 연구 대상으로 leptin 수준을 삼분위수로 나누어 leptin 수준에 따른 신체조성 성분 변화를 관찰한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1차년도 비만 유병률은 남학생이 경도비만 8.7%, 중등도 비만 3.6%였고, 여학생은 경도비만이 1,7%로 관찰되었다. 2) 1, 2차년도의 비만지수(OI), BMI, 허리둘레 수치와 2차년도 leptin, 체지방률, 체지방량 수치들 상호간의 관계를 보았을 때, 남학생의 혈중 leptin 수준과 신체지수와의 관계는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허리둘레, 제지방량의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leptin의 농도가 높을수록 현재의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도, 허리둘레, 체지방률이 높았다(p<0.001). 이는 여학생의 경우에도 유사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leptin과 지방섭취량, 탄수화물 섭취량과의 관계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혈중 leptin 수준을 삼등분하여 그 수준이 최상위 삼분위에 포함되는 어린이 집단의 비만 유병률은 남 34.3%, 여 5% 이었으나 최하위군 에서는 0%이었다. 최상위군의 경우 1년 전의 비만유병률도 유사하였다(남 34.3%, 여 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소아의 leptin 수준은 현재의 비만도를 반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1년 전의 비만상태도 예측이 가능하다. 비만도가 높은 소아의 경우 적극적 개선이 행해지지 않으면 체중 및 비만상태가 1년간 지속되므로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을 조기에 예측, 관리하는 체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