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eliness of elderly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3초

곤충체험을 통한 치유농업의 심리치유효과 -왕귀뚜라미 사례 - (Psychological Effects of Elderly Activities Interacting with Interacting with Oriental Garden Cricket)

  • 김소윤;박해철;박인균;김성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5권2호
    • /
    • pp.99-110
    • /
    • 2018
  • Research confirms that healthful benefits accrued when people connect with nature and insect by viewing and interacting with them. Insect rearing is easy, relatively inexpensive, and can breed small spa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animal assisted activity using insect(Oriental garden cricket) with diets and a rearing manual. The group of insect activity whose ages ranged from 65 to 82 years old that attending a community center in Daegu, Korea, were enrolled in the study between April and May 2014.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is. Qualitative study is utilized to explore mental models, and their linguistic, affective, cognitiv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e result showed that people-insect interactions promote well being of the elders, and the important aspect of insect activity aids in improvements in their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functioning which were enhancing life satisfaction, reducing loneliness and increasing activities of daily life.

노인의 멘토링 실태와 요구에 대한 연구 (A Survey on Elders' Experience in and Preference for a Mentoring Program)

  • 김희걸;이금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4-56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ders' experience in a mentoring program and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Methods: Two hundred and ten elders dwelling in Sungnam-si.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April 1 to May 30, 2008. Using SPSS Win 10.0,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performed. Result: About two thirds of the elders had experience as a mentee, and a large number of them reported that it was helpful. Compared to those without, the elders with the mentee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it is easier to build a mentor-mentee relationship. The most common reason for wanting a mentee experience was loneliness, whereas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not wanting was feeling a burden when meeting a stranger.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a mentoring program differed between the elders who had the mentee experience and those who did not.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a mentoring program is highly likely to provide psycho-social support to the elderly, Also, a large number of the elders who had never had a mentor-mentee relationship wanted to have it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healthcare professionals include a mentoring program in health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considering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a mentor-mentee relationship.

  • PDF

한국여성 독거노인을 위한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Well-being Enhancement Program for the Korean Female Elderly Living Alone)

  • 서경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4호
    • /
    • pp.595-615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여성 독거노인의 웰빙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자기노출, 후회다루기, 원한감정 처리, 용서, 감사 및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삶과 행복의 의미를 탐구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전에 6명의 여성 독거노인에게 파일럿 프로그램을 적용하며 그 효과를 예측하고 프로그램을 보완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11명의 여성 독거노인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외에도 활동 위주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11명을 비교집단으로 하고 또 다른 12명으로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독거노인이 웰빙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인간관계에서의 후회와 자신에게 피해를 준 사람에 대한 원한 수준이 감소하였고 자기를 노출하는 수준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웰빙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독거노인의 불안, 외로움 및 노화에 대한 인식 수준 모두 감소하여 노년기 주관적 웰빙 수준이 증진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후 부정정서는 감소하였으나 삶의 만족과 긍정정서 수준은 증가하였으며 행복감도 더 느끼게 되었다. 이런 모든 변화는 통제집단은 물론 비교집단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여성 독거노인 웰빙 증진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어 노인복지관인 상담센터 등과 같은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과 남성노인의 우울 위험요인 비교 (Gender Difference in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 김철규;박승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36-14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egree of depression between men and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depression.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ere 263 persons over 65 years old (men: 103, women: 160).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 to face interviews using questionnaires and were done in two urban areas in 2010. Research instrument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SGDS, MMSE-K, SRH, FILE, sleep pattern scale, family and friend support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elders. Results: The proportions of participants with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52.4% vs. 67.5%). Regression model for depression in elderly men significantly accounted for 54%; disease stress (32%), economic stress (10%), perceived health status (4%), and family support, educational level, age, and hypertension. Regression model for depression in elderly women significantly accounted for 47%; disease stress (25%), perceived social loneliness (8%), friend support (5%), family stress (4%), and sleep satisfaction, and family support. Conclusion: Results demonstrate that depression is an important health problem for elders, and show gender differences for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These results could be used in the developing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s.

'현대화 이론'에 의한 노인 문제와 죽음의 결정요인 탐구 -영화 '죽여주는 여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the Elderly Problem and Death by 'modernization theory' -Focused on the movie 'The Woman Who Kills')

  • 한명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18-526
    • /
    • 2022
  • 현대화에 따른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년기 돌봄과 질병에 있어 수혜 시간의 연장을 의미한다. 그러나 노인 증가에 비해 자녀들의 부모부양책임에 대한 태도는 점점 약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상은 노년기 삶에 소외, 절망감, 스트레스를 가져다주고 이로 인한 무망감으로 자살 생각이나 의도적인 죽음(자살)을 불러오는 요인이 되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의 의도적인 죽음(자살)은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사회현상으로 영화를 통해서도 그 실상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죽여주는 여자'에 등장하는 주인공 '소영'과 주변 인물인 '송 노인', '종수', '재우' 등의 대화 속에서 노인 문제와 죽음 요인에 해당되는 내용을 매트릭스(Matrix) 분류체계 방법으로 정리한 후, 임병우(2019)가 정리한 '현대화에 따른 노인 문제 발생 흐름도'에 적용하여 의도적 죽음(자살) 요인을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4명의 노인들은 질병, 소외와 고독, 빈곤, 상실 등 노인 문제에 노출되었으나, 현대화로 인한 지위 하락과 부양의식 태도 변화로 인한 돌봄 부족의 스트레스가 지속되자, 삶에 대한 절망감에 빠져 의도적 죽음(자살)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령화에 따른 도시형 노인 시니어 멀티 케어존 실효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Urban Senior Multi-Carezon for the Elderly)

  • 이종식
    •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3-286
    • /
    • 2018
  •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다양한 인구정책을 펴고 있지만 인구 통계학적 결과에 따르면 급속히 고령화가 이어지고 있고 앞으로도 더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많은 노인들은 열악한 경제적인 여건과 체계적이지 못한 건강관리에 노출이 되어있고 대 부분 정신적인 질환과 만성질환에 항상 시달리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기존에 도시의 노인들은 대가족 구조에서 소가족으로 바뀌면서 가족의 소외감과 혼자 거주하는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현재 혼자 주거하는 노인들의 건강관리는 더욱 더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또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매우 빈약한 관리아래 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노년기를 거쳐야 되며 우리는 노년의 과정을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보내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의 기본적인 연령이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복지정책과 의료정책 등 여러 측면에서 고려하여야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100명의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경제학적인 상황과 신체적인 건강 상태와 정신적인 건강상태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심각한 소외감과 고독감 그리고 정서적인 상황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최신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일명 "도시형 시니어 멀티 케어존"이 실제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는 노인의 맞춤형 건강관리를 통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을 찾고자 연구하였다.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의 노인만화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참여 노인들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artoon for the elderly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 Focused on the Case Analyses of Participants)

  • 권경민;양정빈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7호
    • /
    • pp.171-191
    • /
    • 2017
  • 최근 노년기의 정신적, 신체적 특징과 변화를 고려해서 노년층과 함께하는 예술과정을 포함한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방적인 강의 형태가 아니라 함께 참여하며 체험할 수 있는 문화예술사업이 그림, 연극, 노래, 사진, 회화, 무용, 만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은 인간을 사회적, 정서적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은 노년의 삶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교수법 및 프로그램의 다양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화콘텐츠는 노인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적절한 교구로서 충분한 기능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만화 창작을 중심으로 창작자 질적 연구를 실시하여 노인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의 만화 수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만화는 일상을 역동적으로 만들어 주는 재미있는 노년의 여가활동이면서 동시에 주변의 사람들과 연계되는 사회적 통로가 되기도 하였다. 만화를 통해 자신의 인생을 드러내 보이기도 했고, 떠나간 추억의 존재들을 재조명하는 성찰의 시간, 그리움의 시간이기도 하였다. 그러면서 외로움을 덜 수 있는 나만의 독특한 시간이었고 신체적 장애가 치료되는 효과를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리는 과정에서 애로점도 경험하였는데 특히, 내가 그리고자 하는 것이 생각대로 잘 그려지지 않을 때 힘들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만화가 갖는 다양한 유용성을 분석하고, 노인들에게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논의해 보았다.

The Effect of Cognitive Impairment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Network Properties and Mortality Among Older Korean Adults

  • Eunji Kim;Kiho Sung;Chang Oh Kim;Yoosik Youm;Hyeon Chang Kim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1호
    • /
    • pp.31-40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gnitive impairment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network properties and mortality among older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It obtained 814 older adults' complete network maps across an entire village in 2011-2012. Participants' deaths until December 31, 2020 were confirmed by cause-of-death statistics. A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risks of poor social network properties (low degree centrality, perceived loneliness, social non-participation, group-level segregation, and lack of support) on mortality according to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In total, 675 participants (5510.4 person-years) were analyzed,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data and those whose deaths could not be verified. Along with cognitive impairment, all social network properties except loneliness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ortality. When stratified by cognitive function, some variables indicating poor social relations had higher risks among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with adjusted hazard ratios (HRs) of 2.12 (95% confidence interval [CI], 1.34 to 3.35) for social nonparticipation, 1.58 (95% CI, 0.94 to 2.65) for group-level segregation, and 3.44 (95% CI, 1.55 to 7.60) for lack of support. On the contrary, these effects were not observed among those with normal cognition, with adjusted HRs of 0.73 (95% CI, 0.31 to 1.71), 0.96 (95% CI, 0.42 to 2.21), and 0.95 (95% CI, 0.23 to 3.96),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properties was more critical among the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Older adults with poor cognitive function are particularly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to reduce the risk of mortality.

모바일 통신기기 사용이 노인의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obile Communicational Devices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Elder Person)

  • 김수연;채명신;정창덕;홍유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19-226
    • /
    • 2009
  • 본 연구는 고령자의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요인 중에 정보통신기기를 중심으로 한 연구이다. 특히 정보통신기기에 대한 인식 및 경험 상태를 알아보고자 고령층에서 가장 많이 시용되고 있는 모바일 기기와 인터넷 기술 서비스를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실증함으로써 정보통신기기의 사용이 고령자의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정보화에 대한 노출이나 관심이 어느 정도 있어야 실질적인 의견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55세 이상의 서울에 거주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t검증경과 유선인터넷과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그룹은 사용하지 않는 그룹에 비하여 우울감과 고독감은 낮아지고 자아존중감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 능력에 있어서 숙련도가 높은 그룹의 고령자는 숙련도가 낮은 그룹보다 우울감 및 고독감은 낮아지고 자아존중감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노인의 건강관련체력과 인지기능 및 고립감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Isolation in the Elderly)

  • 이경하;최재원;이나은;강성구;정혜연;천명업;유하나;박지수;박정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85-301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소재 65세 이상 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체력요인과 인지기능 및 고립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사회인구학적특성(연령, 학력, 음주유무, 배우자유무, 운동참여유무)과 건강관련체력(상지근력, 하지근력, 유연성, 평형성), 인지기능(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숫자외우기검사) 그리고 고립감(사회적 정서적 고립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의 사회인구학적특성에 따라 건강관련체력, 인지기능, 고립감에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관련체력, 인지기능에는 정적상관관계, 건강관련체력, 인지기능과 고립감에는 부적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건강관련체력은 인지기능에 통계적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넷째, 노인의 건강관련체력은 고립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노인의 인지기능은 고립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미래 노인복지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확장 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