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the Elderly Problem and Death by 'modernization theory' -Focused on the movie 'The Woman Who Kills'

'현대화 이론'에 의한 노인 문제와 죽음의 결정요인 탐구 -영화 '죽여주는 여자'를 중심으로

  • 한명자 (세한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Received : 2022.02.17
  • Accepted : 2022.03.29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e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due to modernization means an extension of the benefit time for elderly care and disease. However,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the attitude of children toward parental responsibility is gradually weakening. These social phenomena bring alienation, hopelessness, and stress to life in old age, and the resulting sense of helplessness leads to suicidal thoughts or intentional death (suicide), becoming a social problem. The intentional death (suicide) of the elderly is a social phenomenon that often occurs around them, and the reality can be seen through the movie. In this study, the main character 'Soyoung' in the movie 'The Woman Who Kills' and the surrounding characters 'Song Old Man', 'Jongsu', and 'Jaewoo' in conversations with the elderly problem and death factors were analyzed in the Matrix. ), and then applied to the 'flow chart of problems in the elderly due to modernization' compiled by Byeong-Woo Lim (2019), to explore the factors of intentional death (suici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ur elderly were exposed to problems of the elderly such as disease, alienation and loneliness, poverty, and loss. (Suicide) was analyzed.

현대화에 따른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년기 돌봄과 질병에 있어 수혜 시간의 연장을 의미한다. 그러나 노인 증가에 비해 자녀들의 부모부양책임에 대한 태도는 점점 약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상은 노년기 삶에 소외, 절망감, 스트레스를 가져다주고 이로 인한 무망감으로 자살 생각이나 의도적인 죽음(자살)을 불러오는 요인이 되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의 의도적인 죽음(자살)은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사회현상으로 영화를 통해서도 그 실상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죽여주는 여자'에 등장하는 주인공 '소영'과 주변 인물인 '송 노인', '종수', '재우' 등의 대화 속에서 노인 문제와 죽음 요인에 해당되는 내용을 매트릭스(Matrix) 분류체계 방법으로 정리한 후, 임병우(2019)가 정리한 '현대화에 따른 노인 문제 발생 흐름도'에 적용하여 의도적 죽음(자살) 요인을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4명의 노인들은 질병, 소외와 고독, 빈곤, 상실 등 노인 문제에 노출되었으나, 현대화로 인한 지위 하락과 부양의식 태도 변화로 인한 돌봄 부족의 스트레스가 지속되자, 삶에 대한 절망감에 빠져 의도적 죽음(자살)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https://kosis.kr/부모부양 및 부모 책임에 대한 조사.
  2.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74883&ref
  3.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74883&ref
  4. 이금룡, 조은혜,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1호, pp.162-189, 2013. https://doi.org/10.15709/HSWR.2013.33.1.162
  5. 이금룡, 조은혜,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1호, p.163, 2013.
  6.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159-172, 2002.
  7. 우정권, "영화스토리와 관객 감성반응의 상관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pp.13-19,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7.013
  8. 곽상인, "영화 <국제시장>에 나타난 시간과 기호의 서사," 문화와 융합, 제42권, 제9호, p.373, 2020.
  9. 계운경, "도가니의 참여적인 객관성을 위한 재현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85-9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085
  10. 임병우, 김은주, 임중철, 주경희, 노인복지론, 공동체, p.59, 2019.
  11. 임병우, 김은주, 임중철, 주경희, 노인복지론, 공동체, p.60, 2019.
  12. D. O. Cowgill and I. D. Holmes, Aging and Modernization, NY : Appleton-century-crofts, 1972.
  13. 임병우, 김은주, 임중철, 주경희, 노인복지론, 공동체, p.59, 2019.
  14. 최해경, 노인복지론, 학지사, p.112, 2020.
  15. 통계청, https://kosis.kr/생애설계 준비정도 조사.
  16. 모선희, 김형수, 유성호, 윤경아, 정윤경, 현대노인복지론 6판, 학지사, p.69. 2019.
  17. 최일섭, 최성재,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경기: 나남출판, 1995.
  18. 통계청, https://kosis.kr/2019a.
  19.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20. 통계청, https://kosis.kr/2020, 부모 생존 및 동거여부 조사, 1인가구의 특성.
  21. M. Miller, Suicide After Sixty: The Final Alternative, New York: Springer. 1979.
  22. 모선희, 김형수, 유성호, 윤경아, 정윤경, 현대노인복지론 6판, 학지사, pp.276-277, 2019.
  23. 중앙자살예방센터개인 특성별(성별&연령대별) 자살현황 조사, https://kfsp-datazoom.org/korea02.do(2020).
  24. 김상식,박종혜, 박현규, 유영식, 최영숙, 노인자살예방, 한국고령사회교육원, pp.62-66, 2013.
  25. B. M. Miles and A. M. Huberman,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1994.
  26. 황성동, 알기 쉬운 사회복지조사론, 학지사, p.334, 2017.
  27. 민성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으로서 매트릭스 분석(Matrix Analysis)의 이해," 질적탐구, 제2권, 제2호, pp.161-191, 2016.
  28. 권중돈, 엄태영, 김유진. "독거노인의 자살위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1호, pp.89-114, 2012. https://doi.org/10.15709/HSWR.2012.32.1.89
  29. 한규량, "자살시도자의 삶과 죽음-노년영화를 중심으로," 윤리연구, 제127호, p.169, 2020. https://doi.org/10.15801/JE.1.127.201912.169
  30. 장경희, "문학치료적 관점으로 본 영화 '죽여주는 여자' 소영의 서사분석-소외된 노인의 문제와 죽음의 의미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9권, 제3호, p.300,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