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environmental factor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1초

도시개발에 따른 국지 바람장 분석 (An Analysis of Local Wind Field based on Urban Development)

  • 송동용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2호
    • /
    • pp.133-140
    • /
    • 2011
  • A numerical study with Envi-met model is experimen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ind pattern in Gangwon innovation city. In all case, most conditions such as wind speed, temperature, and surface are considered as the same, but wind direction is the only different factor. The wind directions considered in this study have a meaning of prevailing wind direction. When the prevailing wind with the direction of $247^{\circ}$ blows into the city, the ventilation passage toward the outside of city is formed and the stagnation of air is not expressed. In case of having the direction of $270^{\circ}$, most evident ventilation passages are composed. When the inflow wind direction is the north, $0^{\circ}$, there is some possibility of stagnation phenomenon. The case where the representative wind direction of three kind will flow with development, in compliance with the building is caused by with screening effect of some and shows a true stagnation phenomenon, wishes in the park and flowing water and the greens area to be for a long time formed and the wind direction is maintained.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to seismic site classification prediction model using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of strong-ground motions

  • Francis G. Phi;Bumsu Cho;Jungeun Kim;Hyungik Cho;Yun Wook Choo;Dookie Kim;Inhi Ki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7권6호
    • /
    • pp.539-554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for seismic site classific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ith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methodologies. To improve model accuracy, the research employs outlier detection methods and, synthetic minority over-sampling technique (SMOTE) for data balance, and evaluates using seven machine learning models using seismic data from KiK-net. Notably, light gradient boosting method (LGBM), gradient boosting, and decision tree models exhibit improved performance when coupled with SMOTE, whil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and Support vector machine (SVM) models show reduced efficacy. Outlier detection techniques significantly enhance accuracy, particularly for LGBM, gradient boosting, and voting boosting. The ensemble of LGBM with the isolation forest and SMOTE achieves the highest accuracy of 0.91, with LGBM and local outlier factor yielding the highest F1-score of 0.79. Consistently outperforming other models, LGBM proves most efficient for seismic site classification when supported by appropriate preprocessing procedures. These findings show the significance of outlier detection and data balancing for precise seismic soil classification prediction, offering insights and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machine learning in optimizing site classification accuracy.

재봉작업 여성근로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in Sewing Female Worker)

  • 손부순;장봉기;박종안;강현준;노영만
    • 환경위생공학
    • /
    • 제21권4호
    • /
    • pp.19-2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 for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212 sewing worker.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the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from August 5 to 7 in 2005.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75.8% and the those of the local symptoms were 71.7 % for shoulder, 60.4 % for neck, 35.8 % for arm and 50.9 % for wrist. The risk factors related the self-reported MSDs had not shown in general characteristic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aily working hour and wrist, working speed and neck,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wrist for work related factor. Also, it was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air height and neck, the height of sewing machine and wrist among the space below work station, neck, waist for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for daily working hour and wrist, working speed and arm, work load and shoulder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arm for work related subjective symptom. Considering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e ergonomic design be provided to working hour, the height of chair and work station as well as daily working hour eve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prevalence of symptoms in each body part for sewing workers.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한 6-14세 어린이들의 보행 중 교통사고에 대한 역학적 조사 (An Epidemiological Study for Child Pedestrian Traffic Injuries that Occurred in School-zone)

  • 신민호;권순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2호
    • /
    • pp.163-169
    • /
    • 2005
  • Objectives: Pedestrian traffic injuries have been an important cause of childhood mortality and morbidity for decad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pedestrian traffic injuries that occurred during 2000 in one metropolitan city and its school-zones,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ose acci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in 2001. Police records were used to identify the cases of pedestrian injury. Children aged between 6 and 15 years, injured during road walk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direct survey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within the school-zones in study area (n=116) was also perform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via mail and telephone surveys, were used to assess the safety education programmes. The schoo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pedestrian traffic injuries in their school-zone. Results: Pedestrian injuries (n=597) were found to account for 3.2% of all traffic injuries in the subject area.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s. There were some significant risk factors within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ocal road (OR: 2.3, 95% CI=1.05-5.35), heavy traffic volume (OR: 2.2, 95% CI=1.00-5.04), poor visibility of speed-limit signs (OR: 2.8, 95% CI=1.25-6.42), no separation of pedestrian routes from cars (OR: 2.6, 95% CI=1.02-6.75) and barriers on the pedestrian routes (OR: 2.2, 95% CI=1.01-5.08). Only one factor, that of education in a safety-park (OR: 0.3, 95% CI=0.09-0.96),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in the traffic and pedestrian safety education factors. Conclusion: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pedestrian injury risk were identified in some of the modifiable environmental factors than in the educational factors.

수방능력 및 재해위험을 고려한 침수위험도 결정 (Determination of Flood Risk Considering Flood Control Ability and Urban Environment Risk)

  • 이의훈;최현석;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9호
    • /
    • pp.757-768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는 짧은 시간의 지역적인 집중호우와 예상치 못한 폭우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생명과 재산의 손실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술평균방법, 가중평균방법, 주성분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침수위험도에 따른 순위를 결정하였다. 재해연보 및 도시계획 현황에서 선택한 인자들에 대한 표준화를 통해 단위를 통일시켰으며 표준화를 통한 산술평균방법,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가중평균방법, 상관도가 높은 인자들을 묶어 분석한 주성분 분석방법을 통해 침수위험도를 결정하고 그 순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산술평균방법의 경우 간단하기는 하지만 각각의 인자들이 동일한 가중치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고 가중평균 방법의 경우 각각의 인자들이 다른 가중치를 갖기는 하지만 많은 변수들 때문에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지역의 수방능력 및 재해위험을 고려한 침수위험도를 결정하였다.

벚나무의 계절현상과 이를 이용한 지역축제와의 관계 - 창원시 진해 군항제 사례 - (Relationship with the Phenology of Cherry Blossoms and Associated Festival : Case of Changwon Jinhae Gunhangje)

  • 도윤호;김성보;주기재;최기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6-453
    • /
    • 2013
  • 식물 계절현상을 이용한 축제는 생태계서비스의 한 형태로서 생태계와 인간이 문화적 요소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예이다. 봄철 식물의 계절현상을 이용한 대표적인 축제는 창원시 진해 군항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87년부터 2013년까지의 벚나무의 계절학적 자료와 군항제 개최시기 및 방문자수를 조사하여 식물계절학과 지역축제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행사기간 중 기상조건 (평균기온, 최저 최고기온, 강수량, 강수일수)과 행사시기특성(년도, 휴일수-토, 일요일 수, 행사기간일수, 행사시작일-개화일 차이)을 파악하여 군항제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시계열분석 결과 지난 26년 동안 벚나무의 발아일과 개화일의 주기성을 보이지 않거나 나타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방문객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는 기온, 일자(day), 강수요인이 추출되었다. 군항제기간의 기온이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벚나무의 개화시기와 행사기간이 불일치하더라도 방문객 수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확실성이 떨어지는 개화시기를 맞춰 축제기간을 설정하기 보다는 행사기간을 고정하고 일부 유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행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것이 군항제의 성공적인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화력발전소에서의 국내 배출계수 산정 방안 연구 -먼지를 중심으로- (Estimating PM Emission Factor from Coal-Fired Power Plants in Korea)

  • 장기원;김형천;이용미;송덕종;정노을;김상균;홍지형;이석조;한종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85-493
    • /
    • 2011
  • In Korea, PM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caused by coal-fired power plants are measured by a system, so called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 which uses foreign emission factors. However, the system fail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power pla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develop local, accurate domestic emission factors. The study measured the amount of TSP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PM10 and PM2.5 by collecting samples from the latter parts of pollution control devices which were installed at 3 bituminous-fired power plants and 3 anthracite-fired power pl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SP, PM10 and PM2.5 measured at bituminous-fired power plants were 4.63 mg/$Sm^3$, 2.96 mg/$Sm^3$ and 3.07 mg/$Sm^3$ respectively, much higher than those from anthracite-fired power plants (2.96 mg/$Sm^3$, 2.47 mg/$Sm^3$ and 1.37 mg/$Sm^3$, respectively). In addition, bituminous-fired power plants showed higher ratios of PM10/TSP and PM2.5/TSP with 0.66 and 0.92, respectively, compared to 0.82 and 0.46, the ratios of PM10/TSP and PM2.5/TSP measured in anthracite-fired power plants. Emission factors based-on concentration measurements were also higher for bituminous-fired power plants, and PM with smaller particles tended to have bigger difference in emission factors between the two fuels. This study calculated the amount of PM emissions by using the estimated emission factors. When it comes to the PM emissions, it was less than that of CAPSS while similar to that of CleanSYS in its amount. It is expected that the emission factors develop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in Korea replacing foreign emission factors currently used in Korea by ensuring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as domestic emission factors.

필라폭이 병설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pillar width on the stability of a twin tunnel)

  • 유광호;김종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15-131
    • /
    • 2011
  • 최근 들어 방재 및 환경훼손 측면을 고려하여 병설터널의 시공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병설터널의 굴착 시 필라(Pillar)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터널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필라부의 거동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수치해석과 실내 모형 실험을 통한 병설터널의 거동평가 및 지표침하 경향 분석 등에 국한되어 있어서, 필라부의 정량적 안정성 평가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설터널의 필라폭이 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토피고가 다른 두 단면에 대해 전단강도 감소법을 이용한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구한 터널 전체 안전율, Matsuda 등이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구한 필라부 국부안전율, 및 필라부의 강도/응력비를 산정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합리적인 병설터널의 필라부 설계를 위해, 평균 강도/응력비, Matsuda 제안식에 의한 안전율, 수치해석적으로 구한 전체 안전율이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유기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요소생산성을 고려한 한국의 CO2 배출량에 대한 EKC 가설 검증: 지역별 CO2 배출량과 GRDP를 중심으로 (EKC Hypothesis Testing for the CO2 Emissions of Korea Consider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Focusing on the CO2 Emissions by Region and GRDP)

  • 김수이;정경화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3권4호
    • /
    • pp.667-688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CO_2$ 배출량과 지역별 GRDP데이터를 사용하여 EKC(Environment Kuznets Curve)를 검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서 1990년부터 2010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15개 광역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지역별 $CO_2$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일인당 GRDP, 인구, 총요소생산성 등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이 $CO_2$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분석 방법은 Lantz and Feng(2006)에서와 마찬가지로 패널 GLS 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EKC 가설이 성립하지 않았지만 총요소생산성의 경우에는 $CO_2$ 배출량과 역 U자형 관계가 성립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특히 기술 진보를 대변하는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할수록 $CO_2$ 배출량이 증가하지만 일정수준 이후에는 $CO_2$ 배출량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향토음식점 이용고객의 구전정보 이용 특성 분석: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Word-of-Mouth(WOM) Information in the Customers of Korean Local Food Restaurants: Focused on Jeonbuk Area)

  • 김철호;차진아;최미경;정현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32
    • /
    • 2011
  • 본 연구는 향토음식점에 대한 구전정보에 대한 고객행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북지역 거주자 500명을 대상으로 총 455부(회수율 91.0%)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향토음식점에 대한 구전정보 중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정보원에 있어서는 '직접 경험해 본 주위사람들의 추천'$(M=3.57{\pm}1.24$)과 '주변사람들을 통한 구전'($M=3.52{\pm}1.20$)이 높게 나타났고, 향토음식점에 대한 구전정보를 구할 때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속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서는 '음식의 맛'($M=4.16{\pm}1.15$), '음식점의 종사원 서비스'($M=3.79{\pm}1.11$)를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토음식점을 주위사람들에게 추천을 하는 동기에 대해 분석한 결과 '맛, 영양, 품질 모두 현지에서만이 유지할 수 있으므로'($M=3.53{\pm}1.10$)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토음식을 통해 지역 방문 기약을 오래도록 남기기 위하여'($M=3.52{\pm}1.03$), '향토음식을 구전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으므로'($M=3.51{\pm}1.06$)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의 향토음식점에 대한 추천이 음식 자체의 품질과 방문지역의 특성에 있음 보여준다. 연구결과 향토음식점에 대한 고객행동에 있어 구전정보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