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in Sewing Female Worker

재봉작업 여성근로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 Son, Bu-Soon (Department of Environment Health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
  • Jang, Bong-Ki (Department of Environment Health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
  • Park, Jong-An (Department of Environment Health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
  • Kang, Hyun-Joon (Department of Environment Health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
  • Roh, Young-Man (Institute of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손부순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 장봉기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 박종안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 강현준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 노영만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 for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212 sewing worker.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the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from August 5 to 7 in 2005.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75.8% and the those of the local symptoms were 71.7 % for shoulder, 60.4 % for neck, 35.8 % for arm and 50.9 % for wrist. The risk factors related the self-reported MSDs had not shown in general characteristic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aily working hour and wrist, working speed and neck,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wrist for work related factor. Also, it was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air height and neck, the height of sewing machine and wrist among the space below work station, neck, waist for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for daily working hour and wrist, working speed and arm, work load and shoulder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arm for work related subjective symptom. Considering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e ergonomic design be provided to working hour, the height of chair and work station as well as daily working hour eve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prevalence of symptoms in each body part for sewing workers.

Keywords

References

  1.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Health Hazard Evaluation-Eagle Convex Glass Co. : Cincinnati, OH : 1990 HETA 89-137-2005
  2.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stration. Federal register Vol 64, No. 225, Ergonomics Program : OSHA, 2000
  3. 노동부, 산업재해조사분석, 노동부, 2003
  4. 강성규, 근골격계질환은 내주변에 있다. 안전을 지키는 사람들, 2006, 11월호 35쪽
  5. WHO, Report on a WHO meeting. Work with visual display terminals, Psychosocial aspects and health. J Occup Med 1989; 31(12) : 950-68
  6. 윤철수, 이세훈. 자동차 관련직종 근로자에서 상지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4):439-448
  7. 김양옥, 박종, 류소연. 전자렌지 조립작업자에서 발생한 경견완증후군의 조사 연구 ( I ). 대한산업의학회지 1995;7(2): 306-319
  8. 김양옥, 박종, 류소연. 전자렌지 조립작업자에서 발생한 경견완증후군의 조사연구 (II). 대한산업의학회지 1995;7(2):320-331
  9. 이원진, 이은일, 차철환.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들에서 발생한 수근터널증후근에 대한 조사연구. 예방의학회지 1992;25(1):26-32
  10. 박정일, 조경환, 이승한. 여성 국제전화 교환원들에 있어서의 경견완장애. 대한산업의학회지 1989;1(2):141-150
  11. 임상혁, 이윤근. 한국통신공사 전화교환원들의 경견완장애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보고서. 구로의원 산업보건연구실. 1995
  12. 이윤근, 임상혁. 의료보험 심사 업무의 작업자세(Work Postures) 특성과 누적외상성 질환.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8;8(1):36-49
  13. 박희석, 이윤근, 임상혁: 단순반복작업에 관한 인간공학적인 연구 제조업에서 발생하는 누적외상성질환의 인간공학적 요인 파악 및 예방대책 개발, 직업병을 예방을 위한 연구용역 보고서 1997
  14. 주영수,권호장,김돈규,김재용,백남종,최홍렬,배인근,박종만,강종두,조수헌. VDT 작업별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근골력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4): 463-475
  15. 차봉석, 고상백, 장세진, 박창식. VDT 취급근로자의 신체적 자각증상과 정신사회적 안녕상태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3):403-413
  16. 구정완, 이승한. 은행원의 VDT작업에 따른 피로 자각증상. 예방의학회지 1991; 24(3) : 305-13
  17. 송정일, 이수진, 송재철, 박항배. 일부 VDT사용 근로자의 자각증상과 심리증상과의 관련성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5; 28(2):433-449
  18. 임상혁, 이윤근, 조정진, 손정일, 송재철. 은행 청구작업자(VDT작업자)의 경견완장애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85-98
  19. 박계열, 백기주, 이중근, 이연수, 노재훈. VDT작업자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156-169
  20. 양진재, 노영만, 일개 자동차 회사 연구직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증상호소율과 관련요인,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3;13(4):226-233
  21. 송재철, 이원영, 권영준, 기모란, 이수진, 박시복, 남정현. VDT 작업 여성근로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다면적인성검사의 영상척도들과의 연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0(4):599-609
  22. 김돈규, 조수헌, 한태륜, 권호장, 하미나, 백만종. VDT업무가 근골격계장애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4):524-533
  23. Linston SJ. Risk factors for neck an back pain in a working population in Sweden. Work Stress 1992;4(1):41-9 https://doi.org/10.1080/02678379008256963
  24. Kamwendo K. Linton SJ, Moritz U. Neck and shoulder disorders in medical secretaries; part 1. pain prevalence and risk factors. Scand J Rehabil Med 1991; 23(3):135-42
  25. Bernard B. Sauter S. Fine L. Petersen M. Hales T. Job task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ctal disorders among newspaper employee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4;20:417-26 https://doi.org/10.5271/sjweh.1379
  26. 권호장, 하미나, 윤덕로, 조수헌, 강대희 등. VDT작업자에서 업무로 인한 정신 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가 근골격계장애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 8(3):570-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