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vesicle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Halobacterium Halobium의 Membrane에서 Fluoxetine의 Partial Molar Volum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ial Molar Volume of Fluoxetine in Membrane of Holobacterium Holobium)

  • 김기준;정형학;김주한;송희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7-162
    • /
    • 2018
  • Halobacterium Halobium에서 항우울제의 부분 몰 부피와 몇 가지 지질의 부유물은 과량의 부피 팽창 계를 사용하여 $25^{\circ}C$에서 측정되었다. 일반적인 항우울제 인 Fluoxetine의 효능은 오랫동안 지질 용해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Halobacterium Halobium의 보라색 막에서 유일한 막 단백질 인 소포의 변성은 280nm에서 흡수 변화에 의해 연구되었고 과도한 부피 팽창 계로 330nm에서 형광 변화를 보였다. 확산 교환에 의한 점성 중합체 용액의 1H NMR 분석은 측정을 위한 중요한 단계로,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Fluoxetine의 부분 몰 부피와 입자 크기는 양성으로 측정되었다. 항우울제는 낮은 사기와 우울증에 근거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증상을 유발하는 질병을 예방하여 일일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는 걸로 나타났다.

방사선조사가 백서 이하선의 선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ACINAR CELLS OF RAT PAROTID GLAND)

  • 고광준;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18권1호
    • /
    • pp.31-45
    • /
    • 1988
  • The author studied the histopathologic changes according to a single or a split dose and the time after irradiation on the acinar cells of rat parotid gland. 99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about l20gm,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3 experimental groups. In experimental groups, GroupⅠ and Ⅱ were delivered a single dose of l5Gy, 18Gy and Group Ⅲ and Ⅳ were delivered two equal split doses of 9Gy, 10.5Gy for a 4 hours interval,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elivered by a cobalt-60 teletherapy unit with a dose rate of 222cGy/min, source-skin distance of 50㎝, depth of l㎝ and a field size of l2×5㎝.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1, 2, 3, 6, 12 hours, 1, 3, 7 days after irradiation and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the radiation dose increased and the acinar cells delivered a single dose exposure were more damaged, and the change of acinar cells appeared faster than those of a split dose exposure. 2. The histopathologic change of acinar cells appeared at 1 hour after irradiation. The recovery from damaged acinar cells appeared at 1 day after irradiation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recovery from damage of a split dose exposure was somewhat later than that of a single dose exposure. 3. Light microscope showed atrophic change of acinar cells and nucleus, degeneration and vesicle formation of cytoplasm, widening of intercellular space and interlobular space. 4. Electron microscope showed loss of nuclear membrane, degeneration of nucleus and nucleoli, clumping of cytoplasm, widening and degeneration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loss of cristae of mitochondria, lysosome, autophagosome and lipid droplet. 5. Electron microscopically, the change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as the most prominent and this appeared at 1 hour after irradiation as early changes of acinar cells. The nuclear change appeared at 2 hours after irradiation and the loss of cristae of mitochondria was observed at 2 hours after irradiation in all experimental groups.

  • PDF

지방산 첨가가 리포좀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Fatty Acid on the Membrane Fluidity of Liposomes)

  • 이진선;지경엽;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28권2호
    • /
    • pp.177-18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스테아르산(SA), 올레산(OA), 리놀레산(LA) 등의 지방산이 지질 소포체 막과의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지방산 종류 및 농도 변화에 따른 리포좀 평균 입자 크기 및 제타 전위, 리포좀 막의 deformability, fluorescence anisotropy ratio 등을 측정하고 TEM 관찰을 통하여 지방산 첨가가 리포좀 막의 유동성 변화에 미치는 역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SA, OA, LA 등의 지방산 첨가는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지방산을 첨가함에 따라 리포좀이 보다 치밀한 패킹을 갖게 되어서 리포좀의 크기는 감소하고 제타 전위 값은 증가하였으나, 지방산의 과도한 첨가는 리포좀에서 다형(polymorphic) 구조를 가지는 지질 입자 응집체로의 전이를 일으켰다. SA, OA 및 LA 지방산 시스템에서의 최소 리포좀 크기와 가장 치밀한 리포좀 패킹은 레시틴 대비 지방산의 몰 비율이 각각 0.70, 0.50, 0.25인 조건에서 관찰되었으며, 리포좀 막의 deformability와 fluorescence anisotropy ratio 측정에 의한 리포좀 막의 유동성 측정 결과는 TEM 및 입자 크기 측정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n-Alkanols가 소의 대뇌피질로부터 분리한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의 측방확산운동 범위와 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lkanols on the Lateral Diffusion of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Isolated from Bovine Cerebral Cortex)

  • 정인교;강정숙;윤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7-163
    • /
    • 1993
  • n-Alkanols의 분자적 약리작용기전 탐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의 신선한 대뇌피질로부터 분리한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SPMV) 지질 이중층의 측방확산운동에 미치는 n-alkanols의 영향을 형광 probe법으로 검색하였다. n-Alkanols는 SPMV 지질 이중층의 측방확산운동 범위와 속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1-nonanol까지는 탄소수가 두개 증가될 때마다 그 효력은 약 10배 가량 증가되었으나 탄소수 10개인 1-decanol의 효력은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Influences of Hinge Region of a Systhetic Antimicrobial Peptide, Cecropin A(1-13)-Melittin(1-13) Hybrid on Antibiotic Activity

  • 신송엽;강주현;이동건;장소윤;서무열;김길룡;함경수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0권9호
    • /
    • pp.1078-1084
    • /
    • 1999
  • A synthetic cecropin A(1-13)-melittin(1-13) [CA-ME] hybrid peptide was known to be an antimicrobial peptide having strong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tumor activity with minimal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erythrocyte. Analogues were synthesiz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flexible hinge region of CA-ME on the antibiotic activity. Antibiotic activity of the peptides was measured by the growth inhibition against bac-terial, fungal and tumor cells and vesicle-aggregating or disrupting activity. The deletion of Gln-Gly-Ile (P1) or Gly-Gln-Gly-Ile-Gly (P3) from CA-ME brought about a significant decrease on the antibiotic activities. In contrast, Gly-Ile-Gly deletion (P2) from CA-ME or Pro insertion (P5) instead of Gly-Gln-Gly-Ile-Gly of CA-ME retained antibiotic activity.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flexible hinge or β-bend structure provided by Gly-Gln-Gly-Ile-Gly, Gln-Gly, or Pro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eptides is requisite for its effective antibiotic activity and may facilitate easily the hydrophobic C-terminal region of the peptide to penetrate the lipid bilayers of the target cell membrane. In contrast, P4 and P6 with Gly-Gln-Gly-Pro-Gly or Gly-Gln-Pro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eptide caused a drastic reduction on the antibiotic activitie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con-secutive β-bend structure provided by Gly-Gln-Gly-Pro-Gly or Gly-Gln-Pro in the central hinge region of the peptide seems to interrupt the ion channel/pore formation on the target cell membranes.

초임계 상태에서 리포좀의 생성 및 약물봉입 (Liposome Formation and Active Ingredient Capsulation on the Supercritical Condition)

  • 문용준;차주환;김인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687-1698
    • /
    • 2021
  • 이 연구는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활성성분을 안정하게 봉입하기위해 초임계 상태에서 다중층의 리포좀을 생성하고 유효성분을 봉입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초임계 상태에서 원활하게 리포좀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식물성유래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과 그 유도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 계면활성제를 고순도로 합성하였다. 이것을 반응조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초임계상태를 만들고 교반함으로써 거대 리포좀을 생성시키고, 여기에 제니스테인(genistein)과 쿼세틴(quercetin)을 첨가하여 봉입하는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혼합지질계면활성제(SC-Lipid Complex)의 HLB는 12.50이었으며, 아주 낮은 농도에서도 다중층의 리포좀 소포체가 형성되었다. 이 계면활성제의 외관은 엷은 황색의 페이스트로 특이취가 있었으며, 비중은 0.972이었고, 산가는 0.12로 고순도로 합성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SC-Lipid Complex를 사용하여 20 wt%의 카플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와 트리에칠헥사노인을 사용한 유화력 실험결과 96.2 %의 유화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니스테인을 봉입한 초임계 리포좀에 대하여 투과전자현미경(Cryo-TEM)을 통해 다중층의 리포좀 소포체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니스테인이 봉입된 1차 리포좀화한 입자 크기는 253.9 nm이었고, 2차 캡슐의 크기는 18.2 ㎛ 이었다. 제니스테인을 표준물질로 하여 초임계 상태 리포좀의 봉입효율은 99.5 %이었고, 일반적인 리포좀은 93.6 %의 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쿼세틴을 봉입한 항산화력 실험은 DPPH법으로 확인한 결과 초임계리포좀에서 유의성 있게 우수한 항산화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는 우수하나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원료를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초임계 상태에서 리포좀에 봉입하고, 고기능성의 스킨케어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두피보호용 화장품 등 다양한 제형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Coordinated alteration of mRNA-microRNA transcriptomes associated with exosomes and fatty acid metabolism in adipose tissue and skeletal muscle in grazing cattle

  • Muroya, Susumu;Ogasawara, Hideki;Nohara, Kana;Oe, Mika;Ojima, Koichi;Hojito, Masayu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1호
    • /
    • pp.1824-1836
    • /
    • 2020
  • Objective: On the hypothesis that grazing of cattle prompts organs to secrete or internalize circulating microRNAs (c-miRNAs) in parallel with changes in energy metabolism, we aimed to clarify biological events in adipose, skeletal muscle, and liver tissues in grazing Japanese Shorthorn (JSH) steers by a transcriptomic approach. Methods: The subcutaneous fat (SCF), biceps femoris muscle (BFM), and liver in JSH steers after three months of grazing or housing were analyzed using microarray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followed by gene ontology (GO) and functional annotation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of transcriptomics indicated that SCF was highly responsive to grazing compared to BFM and liver tissues. The 'Exosome', 'Carbohydrate metabolism' and 'Lipid metabolism' were extracted as the relevant GO terms in SCF and BFM, and/or liver from the >1.5-fold-altered mRNAs in grazing steers. The qPCR analyses showed a trend of upregulated gene expression related to exosome secretion and internalization (charged multivesicular body protein 4A, vacuolar protein sorting-associated protein 4B, vesicle associated membrane protein 7, caveolin 1) in the BFM and SCF, as well as upregulation of lipolysis-associated mRNAs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A, hormone-sensitive lipase, perilipin 1, adipose triglyceride lipase,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and most of the microRNAs (miRNAs) in SCF. Moreover, gene expression related to fatty acid uptake and inter-organ signaling (solute carrier family 27 member 4 and angiopoietin-like 4) was upregulated in BFM, suggesting activation of SCF-BFM organ crosstalk for energy metabolism. Meanwhile, expression of plasma exosomal miR-16a, miR-19b, miR-21-5p, and miR-142-5p was reduced. According to bioinformatic analyses, the c-miRNA target genes are associated with the terms 'Endosome', 'Caveola', 'Endocytosis', 'Carbohydrate metabolism', and with pathways related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endocrine system. Conclusion: Exosome and fatty acid metabolism-related gene expression was altered in SCF of grazing cattle, which could be regulated by miRNA such as miR-142-5p. These changes occurred coordinately in both the SCF and BFM, suggesting involvement of exosome in the SCF-BFM organ crosstalk to modulate energy metabolism.

C57BL/6N 마우스에서 전립선암의 발병률 및 진행에 대한 고지방식이-유도 비만의 영향 (Effect of High-Fat Diet-induced Obesity on the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Prostate Cancer in C57BL/6N Mouse)

  • 최윤주;김지은;이수진;공정은;진유정;이재호;임용;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532-541
    • /
    • 2022
  • 고지방식이(High fat diet, HFD)에 의해 유발되는 비만은 정상적인 마우스에서는 연구되지 않았지만 여러 유전자변형마우스의 전립선암(Prostate cancer)에 대한 강력한 위험인자 및 예후인자로 검증되었다. HFD-유도 비만이 정상적인 마우스에서 전립선암의 발생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16주 동안 60% HFD 식이를 급여한 비만 C57BL/6N 마우스에서 전립선의 무게 및 조직학적 구조 변화와 암관련 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였다. 첫째, HFD 식이를 급여한 C57BL/6N 마우스는 체중, 장기의 무게, 지방축적, 혈청지질 수치의 증가 등을 포함한 비만증상을 성공적으로 유도되었다. 전립선의 무게는 No그룹에 비해 HFD-유도 비만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전립선의 4가지 엽들 중 외측전립선(Dorsolateral prostate, DLP)과 정낭(Seminal vesicle, SV)의 무게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지만, 복부전립선(Ventral prostate, VP)과 전방전립선(Anterior prostate, AP)의 무게는 No그룹보다 HFD-유도 비만마우스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전립선의 조직학적 구조에서 과형성(Hyperplasia) 및 비호지킨림프종(Non-hodgkin's lymphoma, NHL)의 발생률은 HFD-유도 비만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같은 그룹에서 AP의 상피두께도 증가하였다. HFD-유도 비만마우스에서 AKT (Protein kinase B) 신호경로에서 주요 단백질의 인산화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HFD-유도 비만은 C57BL/6N 마우스에서 전립선암의 발생과 진행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람 적혈구막 Band 3의 정제 및 Liposome으로의 도입 (Purification of Band 3 from the Human Erythrocyte Membrane and its Incorporation into Liposome)

  • 김재룡;김정희;이기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41-48
    • /
    • 1986
  • 사람의 적혈구막으로부터 Band 3를 분리정제하고 이를 liposome 내로 도입시켜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적혈구를 약알칼리 저장액으로 용혈시켜 막을 분리한 후, 저이온강도 용액으로 처리하여 Band 4를 추출하였다. Triton X-100 추출액에 p-chloromercuribenzoate를 가하고 sucrose 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후 fractionation하여 Band 3를 정제하였다. phosphatidyl L-serine과 cholesterol을 1 : 1 molar ratio로 섞고 진공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chloroform을 제거한 후 Triton X-100을 제거한 Band 3용액을 가하고 sonication함으로 liposome(reverse-phase evaporation vesicle)을 만들면서 Band 3를 도입 시켰다 Band 3의 분리정제 및 liposome에 도입되었음은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전기영 동 후 coomassie brilliant blue 염색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국소마취제가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의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cal Anesthetics on the Fluidity of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Isolated from Bovine Brain)

  • 윤일;한석규;백승완;김남홍;강정숙;정준기;이은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3-52
    • /
    • 1988
  • 국소마취제의 약리학적 작용기전을 탐구키 위하여 소의 신선한 대뇌피질로부터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SPMV)를 분리한 후 그 소수성 중심부의 microviscosity에 미치는 국소마취제의 영향을 pyrene 형광 probe법으로 측정한 결과 lidocaine HCI과 procaine HCI이 microviscosity를 낮춘다는 것을 알았고 그 정도는 procaine HCI에 비하여 tidocaine.HCI이 더욱 컸다. 또 국소마취 제 가 dimyristoylphosphatidylcholine (DMPC) multilamellar liposomes의 상전 이온도를 낮추며 cooperative unit크기를 감소시킨다는 것도 시차 열량분석법으로 알게 되었다. 상전이온도와 cooperative unit 크기의 감소 정도는 dibucaine HCI>tetracaine HCI>lidocaine HCI > procaine HCI의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