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at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2초

우유 지방구막의 고밀도 표피에 결합된 지질의 조성 (Composition of Lipids Associated with Dense Coat-enriched Fractions of Bovine Milk Fat Globule Membrane)

  • 곽해수;정충일;이재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6-734
    • /
    • 1989
  • 우유 지방구막의 고밀도 표피에 결합된 지질의 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방구막의 고밀도 표피부분을 여러 농도의 비이온성 세제 Triton X-100으로 처리하였고 세제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 즉 지방과 결합된 성분을 분석하였다. 유지방구막의 단백질, 인지질, 콜레스테롤과 ganglioside의 양은 Triton X-100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불용성 표피물질로서 butyrophilin(band 12), xanthine oxidase (band 3)와 band 16이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한 전기영동에서 나타났다.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serine, phosphatidyl inositol 및 spingomyeline 함량은 처리되지 않은 원래의 막의 것과 큰 차이가 있어 표피물질의 주요 인지질로 규명되었다. 전체 지질에서 지방산은 myristate, palmitate, stearate(주요 포화지방산), oleate, linoleate(주요 불포화지방산)이었다. 단백질에 결합된 콜레스테롤은 다른 성분에서보다 단백질에 더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었다. Ganglioside의 함량은 Triton X-100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 감소하였다.

  • PDF

지충이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thunbergii)

  • 최선영;김순영;허종문;최한길;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9-144
    • /
    • 2006
  • 지충이 (Sargassum rhunbergii)의 기능성 을 밝히고 식품으로서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자공여 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 SOD 유사활성, 환원력 및 $\beta-carotene-linoleate$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chloroform 추출물이 $22.5{\pm}0.8$ mg/100 mL, methanol 추출물이 $20.1{\pm}0.6$ mg/100 mL였으며, 전자공여작용은 hexane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효과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일 때 methanol 추출물과 water 추출물에서 각각 $70.4\%$$63.2\%$로 radical 소거능이 강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2.5 반응용액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뛰어난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1000{\mu}g/mL$에서 methanol 추출물이 $89.4{\pm}0.9\%$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보였고 반대로 water 추출물은 $38.6{\pm}0.5\%$로 낮은 소거효과를 보였다. SOD 유사활성은 chloroform 추출물이$1000{\mu}g/mL$ 첨가시 $61.4\%$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beta-carotene-linoleate$ model system에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시료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활성이 높은 methanol 추출물의 경우 $1000{\mu}g/mL$ 농도에서 $78.4\%$로 대조구인 BHT$(72.1\%)$ 보다 더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Overproduction of Lactic Bacterial Enzymes and Bioactive Components

  • Lee, Byong-H.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02년도 제54회 춘계심포지움 - 우유와 국민건강
    • /
    • pp.45-55
    • /
    • 2002
  • Recent developments in the application of molecular biology to food grade lactic acid bacteria (LAB) have shown that it could be feasible to engineer metabolic pathways to either enhance specific metabolic fluxes or to divert metabolites for the production of different or new end products. This engineering requires detailed knowledge of enzymes involved in metabolism and regulation within the targeted organism but little works have been done in this area. During biochem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ation of lactic bacterial enzymes, some of probiotic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species were found to be very useful for food, nutraceut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The enzymes are usually intracellular and the yields are very low to be useful for industrial applications. Among many enzymes and proteins of lactic bacteria studied, some of our gene cloning achievements have contributed to overproduction of lactic bacterial enzymes such as peptidases, esterases, lactases, bile salt hydrolases and linoleate isomerases for foods and nutraceuticals.

  • PDF

Antibacterial effect of naturally occurring unsaturated fatty acids from Prunus japonica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 Sultan, Md Zakir;Lee, Ki-Moo;Moon, Surk-Sik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9권1호
    • /
    • pp.90-96
    • /
    • 2009
  • The antibacterial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MeOH extract of seeds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 Prunus japonica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linoleic acid and cis-11-eicosenoic acids, and their methyl esters. Linoleic acid inhibited the growth of Propionibacterium acnes, the acne-causing anaerobic bacterium, but cis-11-eicosenoic acid, methyl linoleate, and cis-11-eicosenoate were found to be inactive. Together with isolated linoleic acid, authentic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also tested against P. acnes with other bacteria and fungi. Most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s possessed anti-acne (MIC $16-128{\mu}g/m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Statistical Analysis of Effective Components for Aroma of Sigumjang

  • Choi, Ung-Kyu;Park, June-H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249-254
    • /
    • 2005
  • The relationship between Sigumjang gas chromatographic patterns precisely analyzed with capillary column and ranked order in sensory analysis was investigat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ghly predictable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obtained in the analysis. Ninety percent of the Sigumjang aroma was explained by the regression models at step 15 in four transformation except for absolute value transformed with root square and relative value transformed with logarithm. The aroma of Sigumjang was most affected by 2,3-dimethylpyrazine at absolute value and absolute value transformed with logarithm and by 2-furancarboxaldehyde in other transformation. The quality of sigumjang was highly affected by ${\beta}$-phallendrenal, methylpyrazine, tetramethylpyrazine, 5-methyl-2-furancarboxaldehyde, unknown 2, octanoic acid, 4-ethylphenol, methyl 10,13-octadecanoate and ethyl linoleate.

Riboflavin 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boflavin on Lipid Metabolism)

  • 박란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9권3호
    • /
    • pp.169-176
    • /
    • 1986
  • The effect of riboflavin feeding on lipid emtabolism in rat were studied. 70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7 diet group ; control, riboflavin, cholesterol, MLHP (methyl linoleate hydroperoxide) cholesterol plus MLHP, cholesterol plus riboflavin, cholesterol plus MLHP plus riboflavin. After 4 weeks formular feeding sera of animals were collected, then checked 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levels and lipoprotein by use of cellulose acetate pap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arked increase of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levels were found in the group feeding with cholesterol, cholesterol plus MLHP. 2) Combined riboflavin feeding prevented the increase of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levels in the group of cholesterol, cholesterol plus MLPH. 3) Also combined riboflavin feeding prevented the increase of $\beta$-lipoprotein fraction in cholesterol feeding group.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riboflavin has an inhibitory effects on the derangements of lipid metabolism due to administration of cholesterol, cholesterol plus MLHP.

  • PDF

Cholesterol 과 MLHP 로 유발한 지방간에 대한 Riboflavin 의 치료 효과 (Prevention of Cholesterol and MLHP -induced Fatty Liver by Riboflavin)

  • 박란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9권3호
    • /
    • pp.161-168
    • /
    • 198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boflavin on cholesterol and MLHP (methyl linoleate hydroperoxide) -induced fatty liver electron microscopically, riboflavin was given to rate receiving high cholestero and MLHP diet for 4 weeks, 8 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rated diets daily, as following group ; usual diet (control ), riboflavin 910 ug/20gm BW), cholesterol (50mg/gm BW), MLHP(0.1ml/20gm BW), cholesterol plus MLHP, cholesterol plus riboflavin, cholesterol plus MLHP plus riboflavin, by means of intubation into the stomach for 4 weeks. Each group consisted of 10 rats, The liver of the animals were examined ultrstructurally by transmission electronmicroscope. The results wee as follows ; 1) The three group including cholesterol, MLHP, cholesterol plus MLHP feeding resulted in fatty liver. 2) The main finding of the fatty liver were swelling and vacuolation of mitochondria, a lot of lipid droplets, disarrangements and loss of rough endoplamic reticulums. 3) the most striking features in the group of cholesterol plus riboflavin, cholesterol plus MLHP plus riboflavin feeding were decrease of size and number of lipid droplets, mitochondrial swelling and vesiculation, with restortion of rough endoplasmic retriculums. It is postulated with above findings that riboflavin was effective in prevention of cholesterol and MLHP -induced fatty liver.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의 형성과 식품중의 함량 및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Contents of Food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 안명수;우나리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4-90
    • /
    • 1998
  • Conjugated linoleic acid(CLA)의 생성과 식품중의 함량 및 유지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ethyl linoleate(LA)와 대두유(SBO)를 20$\pm$1$^{\circ}C$, 40$\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그의 생성량을 측정하였고 상용되고 있는 시판우유 6종류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그리고 청어, 고등어, 삼치, 꽁치 중의 CLA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CLA, BHT, tocopherol을 기질 대두유에 첨가하고 40$\pm$ 1$^{\circ}C$에서 저장하고, 상승제로서 citric acid를 같이 첨가하여 60$\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를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이들을 180$\pm$1$^{\circ}C$에서 가열하면서 그의 효과를 동시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LA에서의 CLA의 생성은 20$\pm$1$^{\circ}C$에서 저장한 경우, 28일째에 초기량(188ppm)의 약 14배 이상으로 증가되었으며 40$\pm$1$^{\circ}C$에서는 14일까지 생성량이 증가되나 그 이후는 감소되었다. 대두유에서도 20$\pm$1$^{\circ}C$인 때 14일까지 생성량이 높았으며 40$\pm$1$^{\circ}C$인 때는 7일까지 생성량이 증가되나 그 이후 약간씩 감소되어 LA 및 SBO 모두 20$\pm$1$^{\circ}C$인 때에 CLA의 생성 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식물성 기름 중에서 CLA함량은 유채유에 348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40$\pm$1$^{\circ}C$에서 저장시 면실유의 경우 초기에 292ppm이던 것이 저장 28일째에 1322 ppm으로 증가되고 또한 POV도 10.05 meq/kg oil로 낮아 CLA의 생성이 매우 유효하였다. 대두유는 저장 7일에 767 ppm으로 상당히 큰 증가량을 보인 반면 유채유는 대체적으로 저장시 에 감소되었다. 3. 시판 우유중의 CLA함량은 293~2148 ppm이었으며 제조회사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었고 육류중에서는 돼지고기에 2370ppm으로 높았으며 생선 중에서는 삼치에 1040 ppm으로 높았으며, 삼치를 조림했을 경우에는 2039 ppm으로 증가되었다. 4. 저온 저장시 CLA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효과는 대두유에서는 초기 7일에는 tocopherol 보다는 크고 BHT와 거의 유사하였으며, 21일 이후에는 항산화효과가 없고 오히려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LA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항산화효과는 떨어졌으나 상승제인 citric acid가 공존하면 항산화효과가 BHT나 tocopherol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유에서 CLA의 항산화효과는 저장 중 BHT나 tocopherol 보다 항산화효과가 높게 나타나 기질유지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180$\pm$1$^{\circ}C$에서 유지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CLA의 항산화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BHT나 tocopherol과 거의 유사하였고 저온 저장시의 경우 보다 더 높은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 PDF

CLA의 생물학적 기능 (Beneficial Biological Activi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 하영래;김정옥;김영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65-973
    • /
    • 2017
  • CLA는 탄소가 18개(C18)인 linoleic acid의 이중결합이 C9,C11; C10,C12 위치로 이동됨으로 생성되는 입체이성(c,c; c,t; t,c; t,t)체를 총괄적으로 일컷는 말이다. 이론적으로 가능한 이성체 중에서 c9,t11-CLA가 rumen bacteria, lactic bacteria, 버섯균 등의 linoleate isomerase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합성된다. 그러나 linoleic acid를 알카리 이성화로 합성한 CLA에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CLA 이성체가 존재한다. 그 중 c9,t11-CLA와 t10,c12-CLA가 약 45%씩 동일량 존재한다. CLA가 1939 년 linoleic acid의 elaidinization 반응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과학적인 이용가치가 없어 과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7년에 CLA가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으로 유도한 mouse skin carcinogenesis에서 항암성이 있다는 보고 이후 CLA에 관한 연구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현재까지 약 6,100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CLA와 c9,t11-CLA 및 t10,c12-CLA 이성체는 in vitro와 in vivo에서 항암성, 항당뇨성, 항혈압성, 항동맥경화성, 면역증강성, 항산화성, 체지방감소성, testosterone 생산성 등의 생물학적 기능이 갖는다고 밝혀졌다. 이들 생리활성에 c9,t11-CLA와 t10,c12-CLA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다른 활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합성 CLA에 소량 혼합되어 있는 t,t-CLA가 carcinogen으로 유도한 동물모델이나 암세포에서 다른 이성체 보다 강한 항암성을 보이는 결과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될 것이다. 본 총설에서는 CLA 관련 연구가 시작된 1939년부터 현재까지의 CLA 연구 트렌드를 살펴보고 밝혀진 주요 기능성을 보고한다.

전주 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화합물 성분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Compounds in Jeonju Moju)

  • 권영희;조성진;김혜련;이향정;김재호;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03-508
    • /
    • 2009
  • 전주의 음식점 12곳에서 판매되는 모주를 수집하여 제조방법과 알코올 함량, pH, 산도, 고형분 함량, 환원당, 자외부흡수, 유기산 및 유리당 등의 이화학적 특성, 색도, 점도 등의 물리적 특성 그리고 휘발성 화합물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원주 막걸리 이외에 감초, 인삼, 당귀, 계피 등의 한약재와 설탕 등을 첨가하여 40분-6시간 끓여 제조한 자가 모주의 알코올 함량은 2.1%이하로 나타났고 pH는 3.85-4.38의 수준을 보였고 총산, 고형분 함량 그리고 자외부 흡수는 모주 제조 시 첨가하는 부재료에 따라 각각 다른 값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은 일반 탁주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유기산 중 malic acid와 lactic acid는 다른 4종의 유기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유리당은 maltose>glucose>fructose의 순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전체적으로 명도값이 낮고 황색도 값이 높아 탁하고 황색을 많이 띄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제조 시 가열 공정을 거쳐 일반 탁주에 비하여 걸쭉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GC와 GC/MSD를 사용한 휘발성 화합물 성분 분석 결과 검출된 30개의 휘발성 향기 성분 중 alcohol은 3종, ester는 12종, hydrocarbon은 7종 그리고 aldehyde는 4종이 동정되었다. Alcohol 중 isoamyl alcohol에 비하여 benzeneethanol의 면적 비율이 높았으며, 원주인 막걸리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는 ester 중 ethyl caprate, ethyl palmitate 그리고 ethyl linoleate도 높은 면적 비율을 나타내었다. 동정된 7개의 hydrocarbon 중 모주의 종류에 관계없이 (E)-cinnamaldehyde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검출된 (E)-cinnamyl acetate와 함께 자가 모주 제조 공통적으로 첨가하는 계피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