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tip distanc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초

Comparison of Surface Microhardness of the Flowable Bulk-Fill Resin and the Packable Bulk-Fill Resin according to Light Curing Time and Distance

  • Hyung-Min Kim;Moon-Jin Jeong;Hee-Jung Lim;Do-Seon L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31
    • /
    • 2023
  • Background: As a restorative material used to treat dental caries, the light-curing type resin is widely used,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polymerization shrinkage. The Bulk-Fill composite resin was developed to solve these shortcomings, but the existing research mainly focused on compa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composite resin and a Bulk-Fill resin. A study on the light curing time and distance of the Bulk-Fill resin itself tend to be lacking. Methods: This study compares the surface microhardness of specimens prepared by varying the light curing time and distance of smart dentin replacement (SDR) as a flowable Bulk-Fill resin and Tetric N-ceram as a packable Bulk-Fill resin, and confirms the polymerization time and distance that becomes the optimum hardness. To determine the hardness of the specimen, it was measured using the Vickers Hardness Number (Matsuzawa MMT-X, Japan). Results: In SDR, the surface microhardness decreased as the distance increased in all time groups in the change distance from the curing tip. In the change of light curing time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from curing tip, the surface microhardness increased as the time increased. In Tetric N-ceram, the surface microhar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distance of curing tip in the group of 20 and 60 second. But in the group of 10 and 40 seconds, decreased as the distance increased. The surface microharness increased as the light curing time increased in all distance groups. Conclusion: When using SDR and Tetric N-ceram in clinical practice, it is considered that as the distance from the polymerization reactor tip increases, a longer light curing time than the polymerization time recommended by the manufacturer is required.

광섬유를 이용한 광중합에 따른 교정용 버튼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uttons by Light Curing Using an Extended Optic Fiber)

  • 윤가람;이난영;이상호;지명관;최원석;성민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05-114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기의 조사단에 광섬유를 적용하였을 때, 조사단과 교정용 버튼의 베이스 사이의 거리와 광섬유 직경에 따른 교정용 버튼의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발치된 소구치 315개를 I, II, III군으로 나누어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거나 3.0, 5.0 mm 직경의 광섬유를 사용하였고 각 군을 A, B, C의 하위군으로 분리하여 5.0, 10.0, 15.0 mm 깊이로 조사단과의 거리를 설정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거리 증가에 따라 I군의 전단결합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광섬유 직경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했을 때 거리가 5.0 mm인 경우 군 간에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10.0 mm인 경우 IB군에 비해 IIIB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고 15.0 mm인 경우 IC군에 비해 IIC, IIIC군 모두 유의하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고로 광중합기의 접근성이 떨어질 때, 광섬유 사용이 추천되며 직경이 큰 광섬유가 성공적인 버튼 부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광원에 따른 조사거리의 증가가 복합레진의 중합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IP DISTANCE ON DEGREE OF CONVERSION OF COMPOSITE RESIN IN CURING WITH VARIOUS LIGHT SOURCES)

  • 김상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3-279
    • /
    • 2004
  • 최근에 소개된 single high-intensity LED 중합기는 이전의 LED 중합기에 비해 높은 광도를 가지며 짧은 중합시간에 적절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고 한다. 본 연구는 single high-intensity LED 중합기의 중합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거리에 따른 중합도를 조사하였다. Mylar strip사이에 복합레진(Filtek Z250)을 넣고 압접시켜 만든 얇은 필름형 시편을 LED 중합기(Elipar Freelight 2, 10초), 플라스마 중합기(Flipo, 6초)와 할로겐 중합기 (XL3000, 20초)를 사용해 0mm, 2mm, 4mm, 6mm에서 광도를 측정하고 중합시켰다. 중합된 시편을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FTIR)를 이용해 중합도를 측정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중합기에서 거리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광도가 감소하였으며 LED중합기의 경우 6mm에서 다른 중합기에 비해 가장 많은 광도 감소율을 보였다(p<0.05). 2. 모든 중합기에서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4mm까지는 중합도가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하지만 4mm와 6mm사이에서는 모든 중합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3. 각 거리에 따른 중합기간의 중합도 차이는 0mm, 2mm, 4 mm에서 LED중합기가 다른 중합기보다 유의하게 높은 중합도를 보였으며 (p<0.05) 플라스마 중합기와 할로겐 중합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6 mm에서는 모든 중합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시간과 거리에 따른 중합도의 변화 (A STUDY ON THE CHANGES IN POLYMERIZATION OF LIGHT-ACTIVATED COMPOSITE RESIN WITH VARIOUS EXPOSURE TIME AND DISTANCE)

  • 안명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93-29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광중합형 복합레진을 대상으로 중합거리와 시간의 변화에 따른 중합도와 거리에 따른 적절한 중합시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정 중합 광도하에서 중합거리와 시간을 달리하여 재료의 표면과 2mm 하방의 미세경도를 측정한 후 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중합도를 평가하였다. 광중합형 복합레진으로 Z100과 Z250을 사용하였고 각 재료별로 조사단과의 거리가 0, 2, 4, 6mm인 상태에서 20, 30, 40, 60, 80초간 광조사를 시행하였다. 중합 후 표층과 내층의 경도를 미세경도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거리의 증가에 따라 상대광도는 2mm이상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p<0.05). 2. 미세 경도는 상대광도와 조사시간의 증가에 따라 표층 및 내층에서 모두 증가하였다(p<0.05). 3. 내층이 표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합거리와 시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p<0.05). 4. 조사 시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Z100 시편에서 중합거리가 4mm 이하군과 6mm군에서, Z250 시편에서는 2mm 이하군과 4mm 이상군에서 내층의 미세 경도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p<0.05).

  • PDF

Plasma arc light curing unit을 이용한 광중합형 수복재의 중합양상 (A STUDY ON THE MODE OF POLYMERIZATION OF LIGHT-CURED RESTORATIVE MATERIALS CURED WITH PLASMA ARC LIGHT CURING UNIT)

  • 우연선;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2-269
    • /
    • 2002
  • 본 연구는 할로겐광과 비교하여, 고강도의 단축된 중합 시간을 장점으로 하는 플라즈마광의 효율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첫째, 중합 시간과 중합 거리에 따른 중합도의 변화를 검토, 광조사 시간을 증가시킬 경우 특정거리 이상에서도 수복물 하층까지 충분한 중합이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 둘째, 중합 반경에 따라 균일한 중합이 이루어지는지 보기 위해 광조사 부위의 중심부와 외측 변연부의 중합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2mm 두께의 복합레진 시편의 상 하면 미세경도 측정을 통해 중합도를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거리증가에 따른 상대광도의 감소는 할로겐광에 비해 플라즈마광에서 그 차이가 적었다(p<0.05). 2. 플라즈마광, 할로겐광 모두 상면의 미세경도는 중합거리 2mm 이상부터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중합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다(p<0.05). 3. 플라즈마광 3초를 제외하고, 하면의 미세경도 변화는 4mm 이상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상면에 비해 중합시간과 거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p<0.05). 4. 플라즈마광, 할로겐광 모두 조사시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4mm와 6mm 사이에서 하면의 미세 경도차는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p<0.05). 5. 플라즈마광을 $6{\sim}9$초 적용한 때와 할로겐광을 $40{\sim}80$초 적용한 때의 미세경도치 및 거리에 따른 경도 변화는 유사하였다(p>0.05). 6. 플라즈마광, 할로겐광 모두 레진 시편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미세경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 PDF

광중합(光重合) 레진의 경도측정(硬度測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HARDNESS IN VISIBLE LIGHT COMPOSITE RESIN)

  • 이명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4권1호
    • /
    • pp.179-188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Micro vicker's hardness of 4 kinds of anterior Composite resins (Pyrofil light bond anterior, Lite-fil anterior, Photo clear fil anterior, Silux) and 6 kinds of posterior Composite resin (Pyrofil light bond posterior. Lite-fil posterior, Photo clear fil posterior, Occlusin posterior, Palfique light posterior, P-30, posterior) according to deference of depth and distance of light tip from surface of composite resin. Each composite resin was filled into Teflon tube of 5mm in diameter and 5mm in depth, celluloid matrix was covered and the light in accordance with each composite resin was irradiated in distance of zero millimeter and 1 cm from light tip to surface of composite resin for 30 seconds. Specimens were sectioned longitudinally with cutting device. Microvicker's hardness measurements ware made at the depth of surface, 1mm, 2mm, 3mm, 4mm and 5mm from the surface to deep portion. Vicker's hardness numbers were taken on each depth under 200gm load for 30 seconds with MVK-E. The following results were: 1. The highest hardness value was measured at 1 mm depth. Then the deeper the depth, the lesser the hardness was observed. 2. The hardness value of anterior composite resins is lower than one of posterior composite resins. 3. Hardness number of composite resin irradiated in distance of zero millimeter from surface of composite resin was higher than one of 1 cm from surface of composite resin. 4. The pattern of hardness change at varying depth was similar to all the experimental material with no relation to distance of light from specimen.

  • PDF

수종의 광중합기를 이용한 교정용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 결합 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S OF VISIBLE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WITH SEVERAL LIGHT-CURING UNITS)

  • 김민수;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9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서로 다른 광원(할로겐 램프 :. Elipar Trilight ; 3M ESPE, Seefeld, Germany, Light Emitting Diode (LED) ; Elipar Freelight2 ; 3M ESPE, Seefeld, Germany, 플라즈마 광 : Flipo ; LOKKI, France)을 사용하여 브라켓과 광원사이의 거리에 따른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Fuji ORTHO LC : GC, Japan)의 전단 결합 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 광중합기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는 광중합기로부터 브라켓까지의 거리가 0mm일 때 3가지 광원에 유의할 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광중합기로부터 브라켓까지의 거리가 3mm, 6mm일 때, 할로겐 광과 플라즈마 광 사이에는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으나 LED 광은 유의성 있게 낮은 전단 결합 강도를 나타냈다. 2. 할로겐 광과 플라즈마 광으로 광중합시 거리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에 유의한 차 없었고 LED광을 사용하여 광중합시에는 거리가 증가할수록 전단 결합 강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0mm에서 3mm로 거리가 증가시 유의할 만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분사압력 변화에 따른 가솔린 직접분사 인젝터의 거시적 분무와 분무패턴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acroscopic Spray and Spray Pattern Characteristics of Gasoline Direct Injection Injector for the Variation of Injection Pressure)

  • 박정현;박수한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2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croscopic spray characteristics and spray pattern of a 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injecto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injection pressure. The macroscopic spray characteristics, such as a spray tip penetration and spray angle, were measured and analyzed from the frozen spray images, which are obtained from the spray visualization system including the high-speed camera, light-source, long-distance microscope (LDM). The spray pattern was analyzed through the deviation of the center of the spray plum and images were acquired using Nd: YAG Laser and ICCD(Intensified charge coupled device) camera. From the experiment and analysis, it revealed that the injection pressur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pray tip penetration and spray pattern. However, the injection pressure have little influence on the spray angle. The increase of injection pressure induced the reduction of a closing delay. In addition, the deviation of spray center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injection pressure and the distance from a nozzle tip.

Distances to Host Galaxies of Type IIP Supernovae in Intensive Monitoring Survey of Nearby Galaxies using Photometric Color Method

  • Kim, Sophia;Im, Myungshin;Choi, Changsu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85.4-85.4
    • /
    • 2019
  • Supernovae (SNe) are well known as good cosmological distance probes owing to their brightness and well-characterized light curve property. Specifically, type Ia SNe have contributed greatly to our understanding of acceleration of cosmic expansion. However, type IIP supernovae occur most frequently (~ 40% of all) at low and high redshift. As knowledge on the type IIP SNe increases, distance measurement methods using type IIP SNe have evolved. In this study, we apply Photometric Color Method (PCM), which needs only photometric data using properties of plateau on type IIP SNe light curves, to measure distances of several host galaxies of SNe IIP from the Intensive Monitoring Survey of Nearby Galaxies (IMSNG). The daily monitoring of galaxies at < 50 Mpc allows us to construct a dense light curve of SNe that occurred in our target galaxies. We observed two SNe IIP, SN2014cx and SN2017eaw and measured distances to their host galaxies, NGC 337 and NGC6946 respectively. Our results are comparable with other secondary distance measurement methods, 4-5 Mpc, however smaller than the result derived from the Tip of Red Giant Branch (TRGB) method, $6.7{\pm}0.2$ and $7.7{\pm}0.3Mpc$.

  • PDF

광섬유를 이용한 광원 위치의 미세 변위 추정 (Estimation of Spatial Variations in a Light Source by Optical Fiber Sensory System)

  • 김지선;정구인;이태희;최주현;오한별;김아희;박희정;김경섭;전재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2권9호
    • /
    • pp.1283-128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new method for estiming the spatial variations in a light source with utilizing the optical fiber sensory system. With this aim, firstly the asymmetry in the beam profile of a light source is evaluated by using the tipped optical fiber with 0, 10, 20, 30, 40, 45-degree angle. Secondly the variation of position in a light source is estimated b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XYZ stage, LED, Optical fiber) and the receiver unit (Photodiode, XYZ stage).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patial variation of a light source can be resolved in terms of the variations in beam profile with varying the tip angle of an optical fiber and adjusting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rece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