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 course studie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1초

家族硏究에 있어서 라이프 코오스(Life Course) 접근에 관한 고찰 (A Study on Life Course Approach in Family Stud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9권1호통권17호
    • /
    • pp.1-11
    • /
    • 1991
  •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on life course as a perspective in family studies. Life course approach on family studies have been emerged since 1960. This approach, which is challenging accepted knowledge and theory, partly reflects a shift in analytic perspective from structural models to a more behavioral thrust that views as a actor in structured situations, Life course approach is a theoretical orientation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linkage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development in context of changing historical context. Life course approach contributes time, process, and context to receiving in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family and kinship.

  • PDF

생애과정 관점에 대한 고찰과 적용 -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 (A study of the Life-Course perspective - The exploratory analysis of Transitions to adulthood -)

  • 문혜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3호
    • /
    • pp.349-378
    • /
    • 2010
  • '생애과정 관점' 은 생애과정을 제도와 역사에 내재된 단계화된 연령구조로 인식하고, 맥락적 관점에서 개인과 집단의 생애를 이해하려는 이론적 방향이다. 독일과 미국을 중심으로 사회·역사적 변화의 맥락 속에서 생애과정을 분석하고, 생애과정에 미친 제도와 국가의 역할을 다루는 연구가 이루어졌고, 노동궤적에서 나타나는 경로와 노동성과의 차이, 생애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평등에 관한 연구 등에서 생애과정 관점이 적용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생애과정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결과가 축적되고 있으나 이론적 방향이나 체계로서 확립되지는 못하였다. 생애과정 관점을 적용하여 개인의 생애과정과 역사적, 사회적 변화를 접목시키는 시도로 1930~1979년 사이에 출생한 코호트의 역사적 위치를 확인하고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교육기간의 연장으로 인해 후속 이행의 시기와 구조에 변화가 발생하였고, 1960년대 출생코호트까지 젊은 코호트로 올수록 교육종료와 노동시장 진입, 결혼과 첫 출산이 이루어지는 시점이 지연됨과 동시에 대부분의 구성원이 압축된 연령 구간에서 이행을 완료하는 생애과정의 표준화가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1970년대 출생 코호트는 이전 코호트와는 다른 이행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이행시기의 지연으로 구성원의 이행이 완료되지 않은 우측 절단이 발생하여 그 정확한 변화를 확인하지는 못하였다.

생애과정이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 생애사건연쇄분석 (Does Life Course Matter in Determining the Timing of Marriage\ulcorner A Sequence Analysis of Life Events)

  • 은기수
    • 한국인구학
    • /
    • 제22권2호
    • /
    • pp.47-71
    • /
    • 1999
  • 이 연구는 결혼시기에 결혼 이전의 생애과정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자료는 1983년 전국인구이동조사의 개인 생애사 자료이다. 분석방법은 이산시간 사건사분석을 사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생애과정을 생애사건의 연쇄로 파악하여 생애사건연쇄분석을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생애과정이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을 네 가지의 가설로 설정하여검증하고 있다. 연구결과 결혼이전의 생애과정이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생애과정인지에 따라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Measurement of Socioeconomic Position in Research on Cardiovascular Health Disparitie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Lee, Chi-Young;Lee, Yong-Hw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2권5호
    • /
    • pp.281-291
    • /
    • 2019
  • Objectives: The validity of instruments measuring socioeconomic position (SEP) has been a major area of concern in research on cardiovascular health disparitie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methods used to measure SEP in research on cardiovascular health disparities in Korea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Relevant articles were obtained through electronic database searches with manual searches of reference lists and no restriction on the date of publication. SEP indicators were categorized into compositional, contextual, composite, and life-course measures. Results: Forty-eight studies published from 2003 to 2018 satisfied the review criteria. Studies utilizing compositional measures mainly relied on a limited number of SEP parameters. In addition, these measures hardly addressed the time-varying and subjective features of SEP. Finding valid contextual measures at the organizational, community, and societal levels that are appropriate to Korea's context remains a challenge, and these are rarely modeled simultaneously. Studies have rarely focused on composite and life-course measures. Conclusions: Future studies should develop and utilize valid compositional and contextual measures and appraise social patterns that vary across time, place, and culture using such measures. Studies should also consider multilevel influences, adding a focu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levels of intertwined SEP factors to advance the design of research.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composite and life-course measures.

여고생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 내용의 활용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HIgh School Girls’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 고현숙;김기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9-31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find out the general tendency of high school girls’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2) to find out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3)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39 high school girls of third grade in Chunnam province including Ko-heung Kun. The questionaire was used as a methological instrument. The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x$^2$-test, T-test and F-tes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tendency about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A third of 639 subjects answered that Home Economics Course was helpful for their livers. 45.1% of the subjects felt that Home Economics Course was eaiers to study than the other courses required in High school. 31.9% of the subjects liked Home Economics Course while 11.9% of subjects disliked it. 79.7% of the subjects wanted more practical studies and practices than theoretical studies in class of Home Econmics Course.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was low level; average score was 19.6 out of 30 points. 2. Variables related to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recognition toward Home Economics Course were the degree of helping housework, the degree of happiness as a femal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home life. The higher the level of income, happiness as a female and the satisfaction with home life, the higher the application score of Home Economics Course. 3.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Students who showed affirmative responses to Home Economics Course, their application scores of home Economics Course were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who showed negative responses.

  • PDF

다중상태 생명표 모형을 활용한 중고령층의 근로 및 은퇴 생애과정 연구 (An Analysis of the Work and Retirement Life Course of Middle-and Old-Aged Koreans Using Multi-State Life-Table Models)

  • 우해봉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1호
    • /
    • pp.65-88
    • /
    • 2011
  • 본 연구는 패널조사에 기초한 다중상태 생명표 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고령층의 근로와 은퇴 그리고 사망으로 이어지는 생애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생명표 분석이 성별 차이만을 고려하였음에 비해 본 연구는 교육수준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생명표를 작성함으로써 근로 및 은퇴 생애과정에서 관측되는 사회계층별 이질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근로 및 은퇴 생애과정이 성별 그리고 교육수준별로 매우 이질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성별 차이와 관련하여 여성은 남성에 비해 생존기간이 길지만 취업 기대여명이 낮음과 동시에 미취업 기대여명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전체 생존 기간에서 미취업 기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 교육수준별 차이와 관련한 분석 결과는 전반적으로 취업 기대여명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관측되지 않는 반면, 미취업 기대여명에서의 격차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교육수준별 근로생애 차이는 대체로 미취업 기대여명에서의 차이임을 보여 주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개인들은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들과 유사한 수준의 취업 기대여명을 갖고 있지만, 미취업 기대여명이 유의미하게 낮음으로 인해 생존 기간의 보다 큰 비중을 노동시장에서 체류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The Effects of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 in Pre-adulthood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Adulthood)

  • 김유정;안정신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445-461
    • /
    • 2011
  • 본 연구는 생애과정적인 시각에서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과 사회적 지지에 따라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규명하고 그에 대한 실천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40-59세의 중년기 성인 남녀 5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 경험여부와 사회적 지지여부에 따라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차이가 있었고, 성인기 이전 폭력, 죽음, 부모관련 생활사건과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는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기 이전 부모관련 생활사건 경험에 따른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은 성인기 이전 정보적 지지에 의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전의 경험이 누적되고 서로 맞물려서 지속적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생애발달 과정이 의미있는 타인의 생애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생애과정관점의 견해를 지지한다. 또한 심리적 복지감을 위한 개입에 있어서 생활사건을 예방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활사건 경험 이후 보호해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생활사건 영역에 적합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업 애니메이션에서 라이프 드로잉(Life drawing) 교육의 중요성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Teaching Life Drawing in Commercial Animation)

  • 이지은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9호
    • /
    • pp.250-265
    • /
    • 2005
  • 3D와 2D를 망라하여 라이프 드로잉(Life Drawing)은 캐릭터 애니메이션 교육과정에서 매우 중요한의미를 갖는다. 디즈니의 백설공주 제작을 위한 인체의 공부는 이후 디즈니가 장편 애니메이션과 기타애니메이션 분야에서 독주를 하도록 만들어준 비밀병기였다. 라이프 드로잉은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을 가지고 현재까지도 디즈니가 세운 미국의 칼 아츠(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디즈니 출신 애니메이터들이 세운 캐나다의 쉐리던 칼리지(Sheridan College)등 유수 애니메이션 학교에서 전공 필수 과정이다. 그에 반해 라이프 드로잉이 실무에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애니메이션 대학교에서는 아직 라이프 드로잉 교육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해 그다지 강조되어 있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학의 애니메이션 교육이 산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은 이제는 업계와 학계가 모두 아는 현실로서 학교에서는 좀 더 체계적이고 기본의 충실한 교육을 하여야 할 것이다. 그 기초 과목에 하나로 라이프 드로잉의 중요성을 다시 짚어보고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전공과정으로 둔 대학들이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고 그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이 현업에 쉽게 자리 잡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영양사 배출 관련학과의 전공과목 강화 및 개발에 관한 연구 제1보 -영양사 및 대학 교수의 전공과목 강화에 대한 의견 조사 (A Study on Reinforcement and Development of Course Programs 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Related Studies 1st Report -Based on Survey of Dietitians and Professors -)

  • 박명희;최봉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6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for reinforcing and developing course programs 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dietitians and professors who work at 2-and 4-year colleges. Results are as follows. 1. Many respondents (95.7%) support that It Is desirable to separate dietitian license into two types. Reasons are (1) specific knowledge required by job type is different(29.5%), and (2) to increse job performance (29.3%). 2. Most respondents(95.4%) agree that course programs are needed to be revised. Because (1) current programs are inadequate to provide specific knowledge required at field work (67.8%), and (2) the programs are not helpful to increase job performance of dietitians (54.1%). 3. Respondents of dietitians want to extend applied science area(37.7%) and reinforce lab training (63.1%), as principles of program revision. 4. Course titles which need to be reinforced are Internship(95.8%) and Lap training(67.8%). 5. Specialized areas which need to be reinforced are Food Service Managemant and Practical Training(90.9%), Nutrition Education and Guide(88.9%), Public Health Nutrition(79.0%), Basic Area for Clinics(85.6%), Basic area for Education and Counselling(87.1%), and Cooking Science(77.5%) 6. Courses which are needed to be reinforced by respondents(over 75% agree) are Computer Management for Food Service, Counselling, Nutrition and Disease, Diet Therapy, Quantity Cooking, Internship, Public Health (Health Care), Community Nutrition(Environment and Nutrition), Clinical Nutrition, Psychology, and Communication.

  • PD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Life Course Passive Smoke Exposure Questionnaire in an Australian Cohort From Childhood to Adulthood

  • Ezegbe, Chigozie;Magnussen, Costan G.;Neil, Amanda Louise;Buscot, Marie-Jeanne;Dwyer, Terence;Venn, Alison;Gall, Seana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2호
    • /
    • pp.153-159
    • /
    • 2021
  • Objectives: Life course exposure to passive smoke may predict health, but there are few validated measures. We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retrospective life course passive smoking questionnaire. Methods: Participants from the third follow-up of the Childhood Determinants of Adult Health study (2014-2019, ages 36-49 years) retrospectively reported mother/father/other household member smoking when living at home during childhood, including duration (years) and smoking location (never/sometimes/always inside house). The severity of exposure index (SEI; sum of mother/father/other years smoked multiplied by smoking location), cumulative years of exposure (CYE; sum of mother/father/other years), and total household smokers (THS) were derived. The reliability of retrospective passive smoking reports was examined with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using household smoking reported 34 years earlier in 1985 by participants when aged 7-15 years.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by correlating retrospective passive smoking with participants' smoking in adulthood and lung function in childhood and adulthood. Results: Among 2082 participants (mean±standard deviation [SD], 45.0±2.5 years; 55.2% females), THS ranged from 0 to 5 (mean±SD, 0.9±1.0), CYE ranged from 0 to 106 (mean±SD, 10.5±13.9), and SEI ranged from 0 to 318 (mean±SD, 24.4±36.0). Retrospective measures showed moderate agreement with total household smokers reported in childhood (ICC, 0.58 to 0.62). The retrospective measures were weakly but significantly (p<0.05) correlated with participants' smoking (r=0.13 to 0.15) and lung function (r= -0.05 to -0.06). Conclusions: The retrospective passive smoking questionnaire showed reason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measure may be useful for epidemiologic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