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disc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4초

감자의 잎 절편 배양시 몇 가지 배지의 첨가물이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Additives on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Disc Culture of Solanum tuberosum L.)

  • 최경화;전재흥;김현순;정영희;정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52
    • /
    • 1997
  • 몇 가지 종류의 배지첨가물이 재분화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감자 애틀란틱품종의 잎 절편 배양시 shoot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카세인 가수분해물은 2 g/L 농도가 재분화에 효과적이었으며 AgNO$_3$는 10-20 $\mu$M농도에서 재분화가 잘되었고 잎 절편도 갈변되지 않고 푸르게 유지되었는데 이것은 AgNO$_3$가 에틸렌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Sucrose는 3%보다 낮은 농도에서 shoot 유기가 효과적이었고 CuSO$_4$는 애틀란틱품종 감자 잎 절편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 PDF

식물 특정효소저해제의 생물활성 조사에 의한 신규제초제 작용점 탐색 (Searching of Possible Target Enzymes for Herbicide Development using Commercial Plant-Specific Inhibitors)

  • 황인택;최정섭;박상희;이관휘;이병회;홍경식;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45
    • /
    • 2001
  • 본 연구는 새로운 제초제 후보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식물특이적 효소 저해제로 알려진 107개 기존 화합물에 대하여 생물활성을 조사하였다. Germination test, seedling assay, wheat leaf disc assay, cyanobacteria assay, whole plant assay를 통하여 15종의 저해제를 선발하였고 이들은 34종 효소를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 phenylhydrazine, purine, o-phenanthroline, oleylamine, 7,8-benzoquinoline, aminooxyacetic acid, dicyclohexylcarbodiimide 등은 성체를 이용한 온실 실험에서 높은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7,8-benzoquinone, 8-hydroxyquinoline, 2,2'-dipyridyl 및 o-phenanthroline 등은 피, 벼, 토마토의 발아를 $1.25{\sim}5{\mu}M$의 농도에서도 억제하였다. 7,8-benzoquinoline, cyanuric fluoride, 4-methylpyrazole, tranylcypromine, oleylamine과 trifluoperazine 등은 $30{\sim}100{\mu}M$ 농도에서 cyanobacteria의 생육을 저해하였다. Dicyclohexyl carbodiimide와 chlorpromazine은 $100{\mu}M$ 농도에서 wheat leaf disc의 백화현상을 유기시켰다. 이상과 같이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식물 특이적 효소저해제들은 신규제초제 후보물질을 선발하기 위한 새로운 대상효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신갈나무 잎의 용매분획별 항균 및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Quercus mongolica Leaf)

  • 오덕환;공영준;강태수;이명기;박부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38-343
    • /
    • 2001
  •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was fractionated by various organic solvents, and their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gainst several microorganisms.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at two thousand $\mu\textrm{g}$ per disc showed 17~21mm inhibition zone against Gram pos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Among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the hexan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hexane fraction was 250$\mu\textrm{g}$/mL against Bacillus cereus, 250~500$\mu\textrm{g}$/mL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500$\mu\textrm{g}$/mL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O157, and Pseudomonas aeruginosa. Also,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 had the similar antioxidative activity compared to that of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 PDF

대나무 추출물의 기능성 및 항균활성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Phyllostachys sp.) Extracts)

  • 김낙구;조숙현;이상대;류재산;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75-480
    • /
    • 2001
  • 대나무의 추출물을 3$^{\circ}$Brix로 조정하였을 때 추출수율은 줄기가 1.0~1.5%였고, 잎은 3.1~3.2%로 잎의 추출수율이 줄기에 비해 높았다. 전자공여작용은 대조구인 죽력이 86%, BHT 93%, BHA 95%였고 줄기 추출물에서는 맹종죽 62%, 솜대 55%, 왕대 52%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잎 추출물에서는 미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아질산염소거능은 잎 추출물이 줄기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내었는데, 맹종죽 63%, 왕대 57%, 솜대 55%의 순이었고, 줄기 추출물은 솜대와 왕대가 모두 10%를 나타내었으나, 맹종죽에서는 그 기능이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물의 항균환성은 주요 식중독균 중 그램 양성균 3종과 음성균 4종으로 시험하였는데, 전 죽종의 줄기 추출물은 각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보였으나, 잎 추출물은 줄기 추출물에 비해 약한 항균성을 보이거나 균주에 따라서는 전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균주중 Stapfylococcus aureus와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모든 추출물이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솜대줄기와 맹종죽잎의 추출물의 경우 이들 균주에 대해 100${\mu}\ell$/disc 이상의 농도에서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 PDF

다양한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감자 2품종의 감수성 분석 (Susceptibility of Two Potato Cultivars to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 탕리;권석윤;성창근;곽상수;이행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405-410
    • /
    • 2003
  • 환경스트레스는 식물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제한요인이다. 여러 종류의 환경스트레스에 대해 내성을 지닌 형질전환 감자식물체 개발에 활용하기 위하여 두 품종의 감자(대서, 수미)의 leaf disc를 사용하여 고온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37$^{\circ}C$에서 84시간 고온처리에 대해서는 고온에 감수성 품종인 대서가 수미에 비해 약 20%피해를 더 많이 받아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자 식물체의 leaf disc는 2$\mu$M methyl viologen(MV)을 처리하였을 때 대서가 수미에 비해 약 38%더 많은 피해를 받았으며 10$\mu$M MV에서는 감수성은 더 높았다. 0.75M NaCl에 대해서는 대서 품종이 수미에 비해 약 45%의 낮은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어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농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H_2O$$_2$에 대한 두 품종의 감수성은 복합적이었으며, 25mM $H_2O$$_2$에서는 수미가 대서에 비해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100mM $H_2O$$_2$에서는 대서가 릎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사용한 leaf disc는 식물체의 활성을 잘 반영할 뿐 아니라 간편하기 때문에 복합스트레스 내성 형질전환 감자식물체의 선발 및 특성규명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동백나무 추출물을 향장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항균, 항산화 활성 탐색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amellia japonica Extracts for Cosmetic Applications)

  • 최문희;민명자;오득실;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99-105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mellia japonica extracts for cosmetic applications. Antimicrobial effects of C. japonica were determined against Bacillus cereus by methanol extract of new leaf, stem and stem-leaf; Malassezia pachydermatis, by methanol extract of new leaf and stem-leaf. A methanol extract of new leaf of C. japonica showed strong antimicrobial effect using paper disc method against most species especially in Staphylococcus aureu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 japonica seed oils were determin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value of $EC_{50}$ of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500 mg/mL and that of ABTS scavenging activity was 96.10 mg/mL. C. japonica oil extracts showed lower antioxidative activities than those of gallic acid and ${\alpha}$-tocopherol.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damaged virgin hairs of different ages gave a stabilizing effects after C. japonica seed oil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tracts of stem, leaf and seed of C. japonica could be used as cosmetic ingredient combined with appropriate formula.

적송잎증류농축액의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Red Pine Leaf Distilled Concentrate)

  • 민경철;임승철;김보경;김근대;김익종;이상현;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37-94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적송잎증류농축액을 이용하여 그람음성 병원성 균주들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적송잎증류농축액 에멀션의 항균활성을 paper disc법으로 측정한 결과, 그람음성 병원성 균주인 E. coli, S. typhi,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5% (v/v)의 농도에서 각각 12 mm, 10 mm, 9 mm의 생육저해환(clear zone)을 보였다. 또한, 가장 낮은 농도인 0.5% (v/v)의 농도에서도 3종의 균주 모두에서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그람양성 병원성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적송잎증류농축액의 항균활성을 비탁법으로 측정한 결과, paper disc법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그람음성 병원성 균주인 E. coli, S. typhi,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V. parahaemolyticus에서는 5% (v/v)의 농도에서 음성 대조군에 비해 60% 이상의 생장억제를 보였고, E. coli에서는 배양 4시간에서 64.3%, S. typhi에서는 배양 4시간과 5시간에서 각각 94.2%, 94.1%의 생장억제를 보였다. 적송잎증류농축액 에멀션의 항산화활성을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 한 결과, 1.0% (v/v)의 농도에서 55.81%의 활성을 나타냈다. 적송잎증류농축액 에멀션의 항산화활성을 ABTS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한 결과, 1.0% (v/v)의 농도에서 18.44%의 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적송잎증류농축액의 생리활성인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이 강화된 식품 및 화장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Bromoxynil 특이성 nitrilase 유전자를 이용한 제초제 저항성 형질 전환 식물의 분자육종 (Molecular breeding of herbicide resistant transgenic plants with bromoxynil specific nitrilase gene)

  • 민복기;박은성;박연홍;송재영;이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4호
    • /
    • pp.248-254
    • /
    • 1994
  • Bromoxynil은 쌍떡잎 특이적 제초제로써 폭 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반감기가 매우 짧다. Bromoxynil을 3,5-dibromo-4-hydroxybenzoic acid로 분해하는 nitrilase를 암호화한 bxn 유전자를 식물 벡터인 pGA482에 도입하고 Agrobacterium과의 동시배양을 통해 담배와 상추에 형질전환하였다. Kanamycin을 이용해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별하고 완전한 식물체로 분화시켰다. Northern hybridization을 통해 bxn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검정하고 liaf-disc와 pot assay를 통해 형질전환 식물체가 고농도의 bromoxynil에 저항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Rhododendron에 있어서 Peroxidase 동위효소(同位酵素)의 변이성(變異性) (Variation of Peroxidase Isoenzymes in Rhododendron plants)

  • 장준택;김영래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31-36
    • /
    • 1985
  • 우리나라에서 자생(自生)하는 R. mucronulatum, R. yedoense var. poukhanese와 R. schlippenbachii 3종(種)을 공시(供試)하여, 그 잎의 활성효소(活性酵素)를 추출(抽出)한 후(後) polyacrylamide gel disc 전기영동(電氣泳動)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R. mucronulatum에서 3개(個), R. yedoense var. poukhanese에서 15개(個), R. schlippenbachii에서 10개(個)의 peoxidase 동위효소(同位酵素)를 얻었다. 2. R. yedoense var. poukhanese와 R. schlippenbachii는 5개(個)의 동일(同一)한 peroxidase 동위효소(同位酵素)가 있는 점(點)으로 보아 이 2종간(種間)에는 밀접(密接)한 유연관계(類緣關係)가 있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3. 3종간(種間) peroxidase banding pattern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4. Rhododendron peroxidase band density와 엽면적(葉面積), 엽폭(葉幅)/엽장비간(葉長比間)에는 뚜렷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없었다. 5. R. yedoense var. poukhanese와 R. schlippenbachii는 R. mucronulatum에 비(比)하여 변이(變異)의 폭(幅)이 컸다.

  • PDF

High-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leaf-disc cultures of Jatropha curcas L.: an important biodiesel plant

  • Deore, Ajay C.;Johnson, T. Sudhakar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2권1호
    • /
    • pp.7-11
    • /
    • 2008
  • A simple, high-frequency and reproducible protocol for induction of adventitious shoot bud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leaf-disc cultures of Jatropha curcas L. has been developed. Adventitious shoot buds were induced from very young leaf explants of in vitro germinated seedlings as well as mature field-grown plants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s (MS) medium supplemented with thidiazuron (TDZ) ($2.27{\mu}M$), 6-benzylaminopurine (BA) ($2.22{\mu}M$) and indole-3-butyric acid (IBA) ($0.49{\mu}M$). The presence of TDZ in the induction medium has greater influence on the induction of adventitious shoot buds, whereas BA in the absence of TDZ promoted callus induction rather than shoot buds. Induced shoot buds were multiplied and elongated into shoots following transfer to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BA ($4.44{\mu}M$), kinetin (Kn) ($2.33{\mu}M$), indole-3-acetic acid (IAA) ($1.43{\mu}M$), and gibberellic acid ($GA_3$) ($0.72{\mu}M$). Well-developed shoots were root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IBA ($0.5{\mu}M$) after 30 days. Regenerated plants after 2 months of acclimatization were successfully transferred to the field without visible morphological variation. This protocol might find use in mass production of true-to-type plants and in production of transgenic plants through Agrobacterium/biolistic-mediated trans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