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dose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4초

전자선 조사야 결합부분의 선량분포 개선을 위한 Acrylic Electron Wedge의 제작 및 사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Acrylic Electron Wedge to Improve Dose Inhomogeneities at the Junction of Electron Fields)

  • 김영범;권영호;황웅구;김유현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0-68
    • /
    • 1998
  • Treatment of a large diseased area with electron often requires the use of two or more adjoining fields. In such cases, not only electron beam divergence and lateral scattering but also fields overlapping and separation may lead to significant dose inhomogeneities(${\pm}20\%$) at the field junction area. In this study, we made Acrylic Electron Wedges to improve dose homogeneities(${\pm}5\%$) in these junction areas and considered application it to clinical practices. All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6, 9, 12, 16, 20MeV Electron beams from a linear accelerator for a $10{\times}10cm$ field at 100cm SSD. Adding a 1 mm sheet of acryl gradually from 1 mm to 15 mm, We acquired central axis depth dose beam profile and isodose curves in water phantom. As a result, for all energies, the practical range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the same distance as the thickness of the acryl insert, e.g. a 1 mm thick acryl insert reduce the practical range by approximately 1 mm. For every mm thickness of acryl inserted, the beam energy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0.2MeV. These effects were almost independent of beam energy and field size. The use of Acrylic Electron Wedges produced a small increase $(less\;than\;3\%)\;in\;the\;surface\;dose\;and\;a\;small\;Increase(less\;than\;1\%)$ in X-ray contamination. For acryl inserts, thickness of 3 mm or greater, the penumbra width increased nearly linear for all energies and isodose curves near the beam edge were nearly parallel with the incident beam direction, and penumbra width was $35\;mm{\sim}40\;mm$. We decide heel thickness and angle of the wedge at this point. These data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design Acrylic Electron Wedge which can be use to improve dose uniformity at electron field junctions and it will be effectively applicated in clinical practices.

  • PDF

유방암 환자의 수술 중 방사선치료 시 피부선량 측정을 통한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safety by skin dosimetry in Intraoperative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 정인호;김준원;박광우;하진숙;전미진;조윤진;김세준;김종대;신동봉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22
    • /
    • 2015
  • 목 적 :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Intrabeam$^{TM}$ system을 이용한 수술 중 방사선치료(Intraoperative Radiotheray, IORT)를 국내에 처음 도입하는데 있어 광자극형광선량계(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OSLD)를 이용한 피부선량측정을 통해 Intrabeam$^{TM}$ system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2014년 8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유방보존술(breast-conserving surgery, BCS)후 Intrabeam$^{TM}$ system을 이용하여 수술 중 방사선치료(IORT)를 시행한 30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처방선량은 applicator 표면을 기준으로 20 Gy로 설정하여 1 cm 떨어진 지점에 약 5 Gy의 선량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종양 크기에 따라 applicator의 크기를 결정하였고 치료시간은 applicator의 크기에 따라 18~40분으로 설정되었다. 피부 절개면에서 Superior, Inferior, Lateral, Medial 4방향에 applicator를 중심으로부터 0.5 cm와 1.5 cm지점에 광자극형광선량계(OSLD)를 각각 부착하였다. 각 방향에 따라 U1,U2(Superior), D1,D2(Inferior), L1,L2(Lateral), M1,M2(Medial)로 총 8지점을 지정하였다. 각 지점에서의 측정값과 모든 지점의 평균값 및 최고값, 최저값을 산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Intrabeam$^{TM}$ system 50kVp X-ray source를 이용한 수술 중 방사선치료(IORT)시 OSLD의 측정 결과 U1 $2.23{\pm}0.80Gy$, U2 $1.54{\pm}0.53Gy$, D1 $1.73{\pm}0.63Gy$, D2 $1.25{\pm}0.45Gy$, L1 $1.95{\pm}0.82Gy$, L2 $1.38{\pm}0.42Gy$, M1 $2.03{\pm}0.70Gy$, M2 $1.51{\pm}0.58Gy$로 나타났으며 maximum값은 U1지점에서 4.34 Gy, minimum값은 M2지점에서 0.45 Gy로 나타났다. 전체 환자 중 13.3 %(N=4/30) 환자에서 4 Gy를 초과하는 측정값이 나타나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현재 본원에서 도입한 Intrabeam$^{TM}$ system을 이용한 수술 중 방사선치료(IORT)는 모든 환자의 피부선량값이 5 Gy미만으로 측정된 것으로 보아 그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피부선량이 4 Gy를 초과한 환자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breast volume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유방암환자의 경우 피부선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수술 중 방사선 치료 대상 환자 선정시 종양의 크기와 위치 뿐만 아닌 breast volume 값 등을 고려하여 피부에 전달되는 선량값이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 한다.

  • PDF

비 마약성 진통제 DA-5018의 랫드에 대한 4주 경구투여 아급성독성 (Four-week Oral Toxicity Study of DA-5018, a New non-narcotic Analgesic Agent)

  • 강경구;김옥진;백남기;안병옥;김원배;양중익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5권2호
    • /
    • pp.133-149
    • /
    • 1997
  • 4-week repeated dose toxicity of DA-5018, a new capsaicin analogue analgesic agent, was examined in 5D rats at dosage levels of 0,0.4,2, 10 and 50 mg/kg/day. DA-5018 was administered orally to 17 males and 17 females per group at doses of 0, 10 and 50 mg/kg and to 12 males and 12 females per group at doses of 0.4 and 2 mg/kg. After the administration period, 5 males and 5 females at the 0, 10 and 50 mg/kg were placed on withdrawal for 2 weeks. Treatment-related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at 10 and 50 mg/kg. Clinical signs observed immediatel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DA-5018 were grooming, sedation or depression, lacrimation, atacia, reddening of extremities and ears, ventral or lateral recumvincy, respiratory distress, cyanosis and convulsion. Delayed-type clinical signs including focal scabbing and depilation around nose were also observed 1 or 2 weeks after the start of administration of DA-5018. Only at the 50 mg/kg group, corneal opacities, reduced body weight gain (male) and death (male 6/17, female 3/17) were noted. In blood biochemical analysis, serum levels of glucose and triglyceride decreased at 10 and 50 mg/kg. In hematological examination, there were increases in the number of red blood cell, hemoglobin content and percent of hematocrit at 10 and 50 mg/kg. Pulmonary enlargement and hemorrhagic spot, focal scabbing and depilation around nose and corneal opacities were seen at the necropsy of the animals died during the dosing of DA-5018 50 mg/kg. Focal scabbing and depilation around nose were observed in the animals terminally necropsied at doses of 10 and 50 mg/kg.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pulmonary hemorrhage, focal necrosis in the scabbed area, corneal necrosis, fibrosis and neovasculization in the stroma. At 0.4 and 2 mg/kg, there were no significant toxic changes attributable to the administration of DA-5018. In conclusion, target organs following to 4-week repeated dose of DA-5018 in the rat were determined to be lung, skin and eyes. Definite toxic dose and no-observed-adverse-effect-level (NOAEL) were estimated to be 50 and 2 mg/kg/day, respectively.

  • PDF

Radiotherapy for gastric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dosimetric comparison and risk assessment of solid secondary cancer

  • Bae, Sun Hyun;Kim, Dong Wook;Kim, Mi-Sook;Shin, Myung-Hee;Park, Hee Chul;Lim, Do Ho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1호
    • /
    • pp.78-89
    • /
    • 2017
  • Purpose: To determine the optimal radiotherapy technique for gastric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MALToma), we compared the dosimetric parameters and the risk of solid secondary cancer from scattered doses among anterior-posterior/ posterior-anterior parallel-opposed fields (AP/PA), anterior, posterior, right, and left lateral fields (4_field),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using noncoplanar beams, an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composed of 7 coplanar beams (IMRT_co) and 7 coplanar and noncoplanar beams (IMRT_n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generated 5 planning techniques for 5 patients with gastric MALToma. Homogeneity index (HI), conformity index (CI), and mean doses of the kidney and liver were calculated from the dose-volume histograms. Applied the Biological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VII report to scattered doses, the lifetime attributable risk (LAR) was calculated to estimate the risk of solid secondary cancer. Results: The best value of CI was obtained with IMRT, although the HI varied among patients. The mean kidney dose was the highest with AP/PA, followed by 4_field, 3D-CRT, IMRT_co, and IMRT_non. On the other hand, the mean liver dose was the highest with 4_field and the lowest with AP/PA. Compared with 4_field, the LAR for 3D-CRT decreased except the lungs, and the LAR for IMRT_co and IMRT_non increased except the lungs. However, the absolute differences were much lower than <1%. Conclusion: Tailored RT techniques seem to be beneficial because it could achieve adjacent organ sparing with very small and clinically irrelevant increase of secondary solid cancer risk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s.

Influence of the Central Benzodiazepinergic System on Peripheral Cardiovascular Regulation

  • Koh, Jeong-Tae;Ju, Jeong-Min;Shin, Dong-Ho;Cho, Han-Ho;Choi, Bong-Kyu;Kim, Jae-Ha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3호
    • /
    • pp.287-295
    • /
    • 1998
  • Diazepam is known to have cardiovascular depressive effects through a combined action on benzodiazepinergic receptor and the GABA receptor-chloride ion channel complex. Moreover, it is known that barbiturates also have some cardiovascular regulatory effects mediated by the central GABAergic system.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lineate the regulatory actions and interactions of these systems by measuring the response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and renal nerve activity to muscimol, diazepam and pentobarbital, administered intracerebroventricularly in rabbits. When muscimol $(0.03{\sim}0.3\;{\mu}\;g/kg)$, diazepam $(10{\sim}100\;{\mu}\;g/kg)$ and pentobarbital $(1{\sim}10\;{\mu}\;g/kg)$ were injected into the lateral ventricle of the rabbit brain, there were similar dose-dependent decreases in blood pressure (BP) and renal nerve activity (RNA). The relative potency of the three drugs in decreasing BP and RNA was muscimol > pentobarbital > diazepam. Muscimol and pentobarbital also decreased the heart rate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diazepam produced a trivial, dose-independent decrease in heart rate. Diazepam $(30\;{\mu}g/kg)$ augmented the effect of muscimol $(0.1\;{\mu}g/kg)$ in decreasing blood pressure and renal nerve activity, but pentobarbital $(3\;{\mu}g/kg)$ did not. Bicuculline $(0.5\;{\mu}g/kg)$, a GABAergic receptor blocker,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effect of muscimol in decreasing BP and RNA, either alone or with diazepam, and that of pentobarbital in decreasing BP and RNA, either alone or with muscimol. We inferred that the central benzodiazepinergic and barbiturate systems help regulate peripheral cardiovascular function by modulating the GABAergic system, which adjusts the output of the vasomotor center and hence controls peripheral sympathetic tone. Benzodiazepines more readily modulate the GABAergic system than barbiturates.

  • PDF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 두부 방사선검사 시 진단참고수준 검사조건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of Skull Radiography in Digital Radiography)

  • 정연진;주영철;홍동희;김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897-90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 두부 방사선검사 시 진단참고수준(DRL)에서 제시하는 검사 조건과 현재 임상에서 적용하고 있는 검사 조건 적용 시 선량과 화질의 차이 비교를 통해, 디지털 방사선환경에 적절한 두부 방사선검사의 조건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두부모형팬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조건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조건(Clinic)과 DRL값(DRL75), DRL 평균값(DRLmean)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선량은 입사표면선량(ESD)을 측정하였고, 화질은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대 잡음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검사 조건 변화에 따른 skull AP ESD의 평균값은 Clinic 1214.03±4.21 µGy, DRL75 301 7.83±8.14 µGy, DRLmean 2283.50±7.09 µGy이었으며, skull Lat. ESD의 평균값은 Clinic 762.79±3.54 µGy, DRL75 2168.57±10.83 µGy, DRLmean 1654.43±6.48 µGy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안와, 상악동, 전두동, 터키안장에서 측정한 SNR과 CNR의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본 연구 결과 임상에서 사용하는 조건이 DRL에 비해 AP는 약 58%, Lat.은 약 70% 정도의 낮은 선량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화질 측면에서 정성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진단참고수준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른 선량의 저감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궁경부암의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 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적정 치료 자세의 연구 (Study of Patient's Position to Reduce Late Complications in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of the Uterine Cervix Cancer)

  • 윤형근;신교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77-483
    • /
    • 1998
  • 목적 : 방사선 방광염 및 방사선 직장염은 자궁경부암의 방사선 치료시에 흔히 문제가 되는 만성 부작용이다. 저자들은 자궁경부암의 자궁 강내 방사선치료시에 직장과 방광의 방사선량을 줄일 수 있는 환자의 치료자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3예의 환자에서 환자의 방광과 직장에 도뇨관을 삽입한 후에 조영제로 팽대부를 팽대한다. tandem과 두 개의 ovoid를 삽입한 후에 쇄석위와 앙와위에서 semi- orthogonal로 AP, Lat 사진을 촬영한다. 사진에서 ICRU Report 38 권장을 약간 변경한 방법에 따라 방광과 직장의 대표점을 구하고 A point 의 방사선량이 400cGy일 때의 방광과 직장의 방사선량을 각 치료자세에서 구한다. 또한 cervical os 로부터 방광과 직장까지의 거리도 각각 계산한다. 결과 : 직장 방사선량의 평균은 쇄석위에서 240.7cGy 앙와위에서 278.3cGy였고 방광 방사선량의 평균은 쇄석위에서 303.5cGy 앙와위에서 255.8cGy 였다. 쇄석위의 직장선량이 앙와위의 직장선량보다 한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쇄석위의 방광선량은 앙와위의 방광선량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자궁경부의 external os 로부터 직장까지의 평균거리는 쇄석위에서 35.2mm 앙와위에서 32.3mm 였고, 자궁경부의 external os 로부터 방광까지의 평균거리는 쇄석위에서 30.4 mm 앙와위에서 34.0mm 였다. 직장까지의 거리는 쇄석위의 경우가 앙와위보다 유의하게 멀었고, 방광까지의 거리는 쇄석위의 경우가 앙와위보다 유의하게 가까웠다. 결론 : 자궁경부암의 강내치료 시 쇄석위로 치료할 경우 직장선량을 줄일 수 있었고 앙와위로 치료할 경우 방광선량을 줄일 수 있었다.

  • PDF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시행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3D-bolus와 step-bolus의 비교 평가 (Comparison and evaluation between 3D-bolus and step-bolus, the assistive radiotherapy devices for 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modified radical mastectomy surgery)

  • 장원석;박광우;신동봉;김종대;김세준;하진숙;전미진;조윤진;정인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6
    • /
    • 2016
  • 목 적 :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modified radical mastectomy, MRM)후 흉벽에 전자선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3D-bolus와 step-bolus를 각각 적용하여 유용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광자선과 전자선을 이용한 역하키스틱법 방식으로 치료계획이 수립된 총 6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방흉벽에 대한 전자선 처방선량은 회당 180 cGy로 3D 프린터(CubeX, 3D systems, USA)로 제작된 3D-bolus와 본원에서 자체 제작한 기존의 stepbolus를 적용하였다. 3D-bolus와 step-bolus에 대한 표면선량은 GAFCHROMIC EBT3 film (International specialty products, USA)을 이용하여, bolus의 다섯 측정지점(iso-center, lateral, medial, superior, and inferior)에 대한 선량 값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3D-bolus와 step-bolus 적용에 따른 치료계획을 각각 수립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표면선량은 3D-bolus 적용 시 평균 179.17 cGy이고 step-bolus는 172.02 cGy였다. 처방선량 180 cGy에 대한 평균 값의 오차율은 3D-bolus 적용 시 -0.47%이고 step-bolus는 -4.43%였다. 측정지점 iso-center에서의 오차율은 3D-bolus 적용 시 최대 2.69%의 차이를 보였고, step-bolus는 5.54%였다. 치료의 오차범위는 step-bolus에서 약 6%이고, 3D-bolus는 약 3%였다. 치료계획을 통해 비교한 흉벽의 평균 표적선량은 0.3%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폐와 심장의 평균 표적선량은 step-bolus에 비해 3D-bolus에서 -11%와 -8%로 감소하였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흉벽에 대한 피부표면의 접촉면이 고려된 3D-bolus는 step-bolus에 비하여 환자 피부에 잘 밀착되고, 정밀한 흉벽두께 보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선량 균일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흉벽에 대한 선량은 동일하지만 인접장기의 선량을 감소시켜 정상조직을 더 많이 보호함으로써 3D-bolus가 임상적으로 유용한 보상체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폐암의 호흡동조방사선치료 시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한 4차원 선량평가 (4-Dimensional dose evaluation using 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in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for lung cancer)

  • 엄기천;유순미;윤인하;백금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0권1_2호
    • /
    • pp.83-95
    • /
    • 2018
  • 목 적 : 폐암의 호흡동조방사선치료(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RGRT)계획수립 후 표적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정상장기의 경우에는 움직임과 용적변화가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량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형방사선치료(Adaptive Radiotherapy, ART)에서 많이 사용되는 변형영상정합(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DIR)을 이용하여 호흡동조방사선치료 시 특정 위상에서의 정상장기의 움직임을 반영한 4차원-선량평가를 진행하였으며, 3차원 선량평가와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또한, 폐암의 치료계획평가 시 환자 호흡에 따른 정상장기의 움직임과 용적변화에 대한 분석 및 고려가 필요한 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호흡동조방사선치료를 받은 폐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Eclipse(Ver 13.6 Varian, USA)로 최고 위상 CT영상에 그려진 구조물을 모든 위상영상에 Propagation($Eclipse^{TM}$)이나 Segmentation Wizard($Eclipse^{TM}$)의 메뉴로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Center-to-Center 방식으로 구조물의 움직임 및 용적을 분석하였다. 또한, 4차원 선량평가를 위해 VELOCITY 프로그램(VELOCITY Ver 4.0, Varian, USA)을 이용하여 각 위상의 영상과 선량분포를 최고 위상 CT영상에 변형하였으며, 선량을 합산하여 정상장기의 4차원 선량평가를 실시하고, 3차원 선량평가와 비교분석을 하였다. 또한, 4차원 선량분포의 검증을 위해 $QUASAR^{TM}$ Phantom(Modus Medical Devices)과 $GAFCHROMIC^{TM}$ EBT3 Film(Ashland, USA)을 사용하여 4차원 감마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들숨과 날숨 구간의 움직임은 우측 폐가 축 방향 $0.989{\pm}0.34cm$로 가장 컸으며, 척수가 측 방향 -0.001 cm로 가장 작았다. 30~70 % 구간의 움직임은 식도가 축 방향 $0.52{\pm}0.21cm$로 가장 컸으며, 척수가 전후방향 $0.013{\pm}0.01cm$로 가장 작았다. 용적은 우측 폐가 33.5 %로 가장 큰 변화율을 보였다. 3차원 선량평가와 4차원 선량평가에서의 PTV 선량균질지수(Conformity Index, CI) 값과 처방선량지수(Homogeneity Index, HI) 값의 차이는 각각 최대 0.076, 0.021, 최소 0.011, 0.0으로 평가되었다. 정상장기의 경우 4차원 선량평가에서 0.0045~2.76 % 차이를 보였다. 모든 환자의 4차원 감마통과율은 평균 $98.1{\pm}0.42%$로 확인되었고, 모두 기준 95 %를 통과하였다. 결 론 : 모든 환자의 PTV 선량균질지수 값은 4차원 선량평가 시 더 유의한 값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처방 선량지수는 두 선량평가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호흡에 의한 움직임이 고려된 4차원 선량분포에서 PTV 경계부분이 채워져 3차원 선량분포에서보다 선량이 더욱 균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상장기의 4차원 선량평가에서 0.004~2.76 % 차이가 있었으며, 척수를 제외한 모든 정상장기에서 두 평가방법의 차이유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상장기의 3차원 선량평가 시 과소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호흡에 의한 정상장기의 선량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한 4차원 선량평가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한 4차원 선량평가는 환자의 호흡에 의한 정상장기의 움직임과 용적 변화를 반영하는 조금 더 현실적인 선량평가방법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원발성 종격동 정상피종: 1례 보고 (Primary Mediastinal Seminoma: A Case Report)

  • 이인성;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170-174
    • /
    • 1978
  • A case of mediastinal seminoma is presented. A male driver, 27 years old Korean, has been suffered from substernal pain, cough and moderate swallowing difficulty since 5 months prior to this admission. At the time of onset, he visited at a local clinic to find some mass in his anterior mediastinum on chest P-A and lateral X-ray check. Recently, intermittent hiccups with much aggravated dysphagia forced him to visit our hospital, and admitted for radical resection under the impression of anterior superior mediastinal tumor of thymus origin. Median sternotomy was done and total resection of the tumor of 8.0X11.0X3.5cm was done without any specific complication and biopsy of the tumor revealed as primary mediastinal seminoma of the mediastinum. Supplementary prophylactic irradiation therapy was done with a tumor dose of 4,000 rad in 4 weeks after operation. Postoperative hospital course was uneventful and patient was joyful with his occupation for 3 months after dischar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