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e stage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164초

Spawning Behavior, Egg Development, Larvae and Juvenile Morphology of Hyphessobrycon eques (Pisces: Characidae) Characidae Fishes

  • Park, Jae-Min;Kim, Na-Ri;Han, Kyeong-Ho;Han, Ji-Hyeong;Son, Maeng-Hyun;Cho, Jae-Kw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4호
    • /
    • pp.241-249
    • /
    • 2014
  • Hyphessobrycon eques is a famous fish for ornamental fish market and aquarium. They are inhabit in regions of Amazon and Paraguay River basin. Serpae fishs were investigated 2-3 males are chased to female, and then males attempted to simulate the females abdomen. After fertilization, eggs were kept in incubators at $28^{\circ}C$. The fertilized eggs had adhesive and demesal characteristics and had a mean diameter of $0.92{\pm}0.01mm$. Larvae hatched at 16 hrs post fertilization. The hatched larvae averaged $2.90{\pm}0.16mm$ in total length ($L_T$). Complete yolk sac resorption and mouth opening occurred on the third day post hatching. At 45 days post hatching, the larvae were $12.5{\pm}1.60mm$ $L_T$ and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Effects of Hormone Mimetid Insecticide Tebufenozide on Aquatic Organisms

  • Kwak, Inn-Sil;Lee, Hyo-Jin;Lee, Wonchoel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
    • /
    • pp.12-15
    • /
    • 2003
  • The effects of the non-steroidal ecdysteroid agonist tebufenozide on larvae of C. faviplumus and C. riparius were tested in the laboratory. In the most treatments it reach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condition. As the concentration of tebufenozide was increased, a relatively larger proportion of the observed mortality was associated with the metamorphosis and molting process. Also, the larval mortality of the first larvae was higher than the fourth-instar larvae in C. riparius. In terms of development, the effects of tebufenozide were delayed growth stage in relatively lower concentration such as 10 $\mu\textrm{g}$/L treatments. Based on the mortality, the susceptibility followed the first-instar C. riparius > the fourth-instar C. flaviplumus > the fourth-instal C. riparius. The morphological effects showed that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of body of exposed larvae with tebufenozide expanded slowly and not made a complete cephalothorax of pupae during long times or days. And the head capsule slipped down and forward, revealing a fragile and non-pigmented, unsclerotized new head capsule. There was obviou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le/female ratio in contaminated fourth larvae of C. riparius. Also, due to the different emergence periods of male/female in low insecticide concentrations, mating chances or opportunities of insects should be decreased. Accordingly, ecological strategies for keeping of sustainable populations should be disrupted.

  • PDF

Survival of Anisakis species larvae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different kinds of condiments

  • Nam, U-Hwa;Lee, Seo-Young;Lee, Ji-Hyee;Kim, Jeong-Ho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9-253
    • /
    • 2021
  • Anisakiasis is a well-known zoonosis caused by ingestion of raw or thermally undercooked seafood product contaminated with live Anisakis nematode third stage larvae (L3). Several traditional processing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kill or remove the Anisakis larvae worldwide, but thermal processing or deep freezing are the most effective treatments to kill the Anisakis larva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urvival of Anisakis larvae in several condiments (soy bean sauce, wasabi, vinegar, red pepper paste) commonly consumed when eating raw fish in Korea. We also examined several different media (NaCl solution, absolute alcohol, soju) to investigate their larvicidal effect. When directly exposed to various condiments, the most effective larvicidal effect was observed in the mixture of wasabi and soy bean sauce. When exposed to different NaCl solutions, the larvicidal ability became more effective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but did not show 100% killing effect. In soju, the L3 were killed under less than 4 hr. We observed the larvicidal effects of several condiments in this study, but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be carefully interpreted for actual use because all the condiments i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 in hours and in general, the L3 are exposed to these condiments only for seconds before ingested in real situation.

자연 산란된 청어(Clupea pallasii) 자어의 형태 발달 (Development of Naturally-spawned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Larvae)

  • 지환성;이동우;최정화;최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62-367
    • /
    • 2015
  • We followed the development of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larvae after natural hatching in Korean coastal waters off Dadaepo, where the water temperature was $9^{\circ}C$. Twenty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had (i) reached a total length (TL) of 10.8-12.2 mm, (ii) developed 9-11 dorsal fin rays, and (iii) branched melanophores along the dorsal line of the gut in the anterior half of the body and along the posterior half of the dorsal and ventral line. Thirty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had reached 12.2-13.5 mm TL, and the number of dorsal fin rays had increased to 13-14. Thirty-five days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had reached 14.0-14.7 mm TL, and the posterior ends of their notochords had begun to flex upward. Forty-five days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had (i) reached 15.6-15.9 mm TL, (ii) a complete set of dorsal fin rays (15-16), (iii) 12-13 anal fin rays, and (iv) branched melanophores along the dorsal part of the lateral surfaces of the head behind the caudal terminus. Preflexion, flexion and postflexion stage larvae had TL values of 13.5 mm, 14.0-15.3 mm, and 15.6-15.9 mm, respectively.

해삼, Stichopus japonicus 유생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먹이 및 수용밀도의 영향 (Influence of Food and Density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 이채성;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5
    • /
    • 1999
  • 해삼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산란유발, 유생발달 과정, 유생 사육시 먹이와수용밀도에 관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유발은 수온자극에서 6.0~17.5%의 반응이 있었으며, 간출자극에서는 1.4~4.0%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산란량은 50~500만개였고, 수정률은 84.0~96.0%였으며, 부화율은 71.4~84.6%로 나타났다. 해삼의 수정난은 $154{\mu}m$이며, 난발생은 수온 $23^{circ)C$에서 수정후 2시간 10분만에 4세포기, 3시간 40분이 지나면 16세포기로 되며, 14시간 30분 후에는 포배기로 되면서 부화하였다. 그 이후 3일째에는 auricularia 유생으로 되었고, 11일째에는 doliolaria 유생, 15일째에 pentactula 유생으로 변태하였다. 유생의 먹이로는 Chaetoceros calcitrans와 Pav-lova lutheri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중 Chaetoceros calcitrans는 변태가 빠르고 생존율도 높아 해삼 유생의 먹이로 가장 좋았으며, 유생 사육을 위한 최적 밀도는 2개체/ml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cuttle Fly에서 중추신경계 발달 연구 (Develop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in Scuttle Fly)

  • 박호현;박미숙;나길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84-288
    • /
    • 2018
  • Scuttle fly의 중추신경계는 알 시기와 애벌레 1령 시기는 애벌레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중추신경계를 분리하기 곤란하여 채취하지 못하여 형태를 관찰할 수 없었고, 애벌레 시기 2령(instar) 2~3일은 윗부분의 뇌가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되어 있었고 아래 부분에는 식도하신경절에 의해 복신경색이 "ㄴ"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애벌레 3령 3~5일은 2령에 비해 중추신경계가 약간 커져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번데기 시기에는 중추신경계가 앞쪽 머리에 위치하고 있었고, 번데기 1~3일에는 애벌레 3령 시기의 모양과 형태가 거의 비슷했으며, 번데기 4~6일에는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되어 있었던 뇌 조직이 점점 밀착되어 합쳐져 있었으며 가장자리에 자리 잡은 시엽도 점점 발생하여 완성된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었다. 번데기 7~9일에는 시엽 가장자리에 안구 색소(eyeball pigment)가 관찰되었고 식도하신경절이 뇌 조직과 결합되면서 복신경색 조직과 분리되기 시작하고 신경섬유(nerve fiber)도 많이 증가되고 있었다. 번데기 10~12일에는 중추신경계의 뇌와 복신경색이 뚜렷하게 분리되었고 시엽의 안구 색소도 진한 갈색으로 뚜렷이 관찰되었다. 번데기 13~15일에는 분리된 뇌와 복신경색 조직이 가느다란 신경섬유에 의해 겨우 연결되어 있었고 복신경색 조직도 위와 아래로 두 개로 분리되기 시작하였고 무수히 많은 신경섬유가 생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성충 시기에는 번데기 13~15일 시기와 거의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특히 중추신경계 조직인 머리 부분의 뇌 조직과 가슴 앞쪽 부분의 복신경색 조직이 위치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Life Cycle of Coryne pusilla Gaertner, 1774 (Hydroida: Corynidae) in Chakyak Island, Korea

  • Park, Jung-H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0권2호
    • /
    • pp.199-205
    • /
    • 1994
  • 실험실내에서 곤봉히드라의 생활사를 조사하였다. 히드라는 생활사 중에 플라눌라 유생 단계와 해파리 단계가 있으나 곤봉히드라의 생활사에는 해파리 단계가 없고 플라눌라 유생 단계만 나타났다. 수정란으로부터 부화한 플라눌라 유생은 약 21시간동안 부착하는데 적합한 저질(substratum)을 찾아 배양기 바닥을 기어다니다가 고착한 다음, 폴립을 형성하였다.

  • PDF

어류 기생성 선충 Anisakis simplex sensu stricto와 Anisakis pegreffii 유충의 excretory-secretory products 및 somatic extracts의 가수분해효소 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hydrolase activities of excretory-secretory products and somatic extracts from fish parasitic nematodes, Anisakis simplex sensu stricto and Anisakis pegreffii larvae)

  • 전찬혁;위성;김정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33
    • /
    • 2014
  • Anisakis simplex sensu stricto와 A. pegreffii의 3기 유충과 4기 유충에서 얻은 excretory-secretory (ES) products 및 somatic extracts의 가수분해효소 활성을 API ZYM ki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Esterase 그룹의 가수분해효소 중 acid phosphatase는 A. simplex (s.s.)와 A. pegreffii 모두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esterase (C 4)의 경우 somatic extracts에서만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나타났는데 A. simplex (s.s.)가 A. pegreffii와 비교하여 3기와 4기 유충 모두에서 2배 가량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lkaline phosphatase, acid phosphatase 그리고 naphthol-AS-BI-phosphohydrolase의 경우 A. simplex (s.s.)와 A. pegreffii 모두 3기 유충보다 4기 유충에서 더 높은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확인되었다. Aminopeptidase 그룹의 가수분해효소 활성은 leucine arylamidase에서 관찰되었는데, somatic extracts의 경우 A. pegreffii 보다 A. simplex (s.s.)에서 가수분해 효소 활성이 두 배 가량 높게 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의 다른 효소들에서는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Glycosidase 그룹의 가수분해효소 활성은 N-acetyl-${\beta}$-glucosaminidase, ${\alpha}$-mannosidase 그리고 ${\alpha}$-fucosidase에서 확인되었는데, A. simplex (s.s.) 보다 A. pegreffii에서 높은 가수분해효소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 4기 유충보다 3기 유충에서 더 높은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아니사키스속 선충의 종과 유충단계에 따른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 차이는 선충의 성장, 탈피, 소화, 섭이 등의 대사과정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고유종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의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Endemic Species, Acheilognathus majusculus (Acheilognathinae))

  • 김치홍;최웅선;김대희;백재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24
    • /
    • 2014
  • 한국 고유종인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의 종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난 발생과 자어의 성장을 관찰하고 초기생활사 특성을 논의하였다. 수정란은 둥근 타원형으로 평균 장경이 2.12mm(2.08~2.18 mm), 단경이 1.86mm(1.80~1.98 mm)이며 담황색 난황을 가진 분리침성란이다. 개체 당 산란 수는 40~112개(평균 72개)였고 수정란은 수온 $18.0{\pm}1.0^{\circ}C$에서 수정 후 43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의 크기는 4.23mm이고 형태적으로 납자루속의 자어 특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자어 시기의 S자 운동은 없었다. 부화 후 25일 경에 소화기관이 완성되고 외부 먹이를 먹을 수 있어 자연에서 조개로부터 부출하는 시기로 추정된다. 만 1년 후에는 재생산이 가능한 크기로 성장한다.

애기비단게(Acmaeopleura parvula Stimpson)의 유생발생 (The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Acmaeopleura parvula Stimpson (Brachyura, Graps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KIM Chang-Hyun;JANG In-Kwon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3-560
    • /
    • 1987
  • 애기비란게(Acmaeopleura parvula Stimpson)의 유생을 부화에서부터 제1해기까지 12가지의 온도-염도 조건에서 사육하고 각 유생기의 형태적 특성을 기술${\cdot}$도시하였다. 이 종은 5기(가끔 6기가 출현한)의 zoea와 1기의 megalopa 유생을 거쳐 제1해기로 변태하였다. 제1해기까지의 발생기간은 $25^{\circ}C$에서 22-23일, $20^{\circ}C$에서 34-37일, $15^{\circ}C$에서는 50-51일이 소요되었으며, 간기인 6기 zoea는 $15^{\circ}C$에서만 출현하였다. 애기비단게의 유생은 전 zoea기에 걸쳐 갑각의 측극을 결여하고 있는 점에서 참게아과내의 다른 종의 유생들과 구분될 수 있었으며, 납작게 휴생과는 형태적으로 매우 밀접한 유연관계를 보여주었다. 그 밖의 부속지의 특징들이 같은 아과내에 보고된 12종의 유생들과 비교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