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category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4초

동북(東北)아시아 유의 기원(起源)과 그 교류(交流)에 관(關)한 연구(硏究) -$4{\sim}8$세기(世紀)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origination and Transmission of Yu in Northeast Asia. -from the 4th Century to the 8th Century-)

  • 박경자;조선희
    • 복식
    • /
    • 제17권
    • /
    • pp.29-43
    • /
    • 1991
  • Yu was a type of dress worn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which was commonly used in Northeast Asia. It was originally used by the Northern race for the need of courtesy as well as protecting cold. It was believed that Yu in Northeast Asia, which was called Kaftan, was came from Scythai lived in North Eurasian land around the Black sea. Scythians were the first-formed horse-riding race in the world and their civilization influenced those of far Asiatic sector along the steppe route. As their power expanded, their costume culture transmitted to the East(China, Korea, Japan). The upper garment, Yu, was characterized by the left-sided collars, narrow sleeves belted at the waist to the length of the hip line and the tight trouser on the lower part, which we commonly called HoBok(胡服) style. 1. Yu in Northeast Asia was originated from the Eurasians, Scythian Culture. Being exchanged, active style costumes were widely used among Chinese, Koreans and Japanese throughout centuries' including $4{\sim}8$ century. 2. Chinese Yu had a style of wide-sleeves and right-sided collars. The traditional costumes of Han race are consisted of wide-sleeved Yu on the upper and long-skirt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Before the adoptation of HoBok during reign of King Jo Mooryung in 307. B.C., HoBok style had already found in the remains since the Sang period. There were various names among Yu during the Han period. Seup, Sean Eui, Kye, Kyu were one of the styles and several names were meant for collar and sleeves. During $4{\sim}8$ centuries, clothes of right-sided collar were found, superior to that of left-sided and narrow sleeves were widely used both the royal and the humble. Various styles of decoration were seen in Yu around neck, back and sleeves comparing other nations. 3. Yu, in Korea, was typical style of Northern-bound HoBok. Both men and women had similarity in Yu style, narrow sleeves, left-sided collar, belted at the waist and to the length of hip line. Influenced by Han race, in the $4th{\sim}8th$ centuries, dual system of collar was found. But we cannot see major change in Yu and finally was connected to the present. 4. The original design of the Japanese costumes was not similar to that of Northern nomadic hunting race, which was suitable for horse-riding activities. Owing to the climates along the island, we could see various conditions ranging from the cold and to the warm. Influenced by the climates, pulling over the neck(Pancho style) were major design in Japan. As Korea was advanced earlier than Japan, Korean landed Japanese territory showing clothes. So primitive costumes had changes in style. During the $4th{\sim}8th$ period. The Korean mode was found in Haniwa (which was built to make sacrifices to the dead King) and costumes in Jeong Chang Won. Among the costumes in Jeong Chang Won, we put 3 or more costumes to the category of Yu characterizing elements of Korea and Tang period. From the $4th{\sim}8th$ century, China, Korea, Japan fell into the same cultural category, Scythai. Styles in Yu among three nations, we saw little differences, basically along times. Originated from the West Asia, Yu was transmitted to the far East changing Chinese costumes, Koreans melted it into the traditional elements and then influenced Japan.

  • PDF

Sentienl-1 SAR 영상을 활용한 유류 분포특성과 CNN 구조에 따른 유류오염 탐지모델 성능 평가 (Evaluation of Oil Spill Detection Models by Oil Spil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NN Architectures Using Sentinel-1 SAR data)

  • 박소연;안명환;이성뢰;김준우;전현균;김덕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3호
    • /
    • pp.1475-1490
    • /
    • 2021
  • SAR 이미지의 통계적 특징을 이용하여 유류오염영역을 특정하는 방법은 분류규칙이 복잡하고 이상값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한계가 있어, 최근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유류오염영역을 특정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유류오염 사례에 대해 모델의 탐지 성능 및 특성을 평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구조의 CNN인 Simple CNN과 픽셀 단위의 영상 분할이 가능한 U-net을 이용하여, CNN의 구조와, 유류오염의 분포특성에 따른 모델의 탐지성능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축소경로만 존재하는Simple CNN과 축소경로와 확장경로가 모두 존재하는U-net의 F1 score는 86.24%와 91.44%로 나타나, 두 모델 모두 비교적 높은 탐지 정확도를 보여주었지만, U-net의 탐지성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유류오염 사례에 따른 모델의 성능 비교를 위해, 유류오염의 공간적 분포특성(유류오염 주변의 육지의 분포)과 선명도(유출된 기름과 해수의 경계면이 뚜렷한 정도)를 기준으로, 유류오염 발생사례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탐지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Simple CNN은 각각의 유형에 대해 F1 score가 85.71%, 87.43%, 86.50%, 85.86% 로 유형별 최대 편차가 1.7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U-net은 동일한 지표에 대해 89.77%, 92.27%, 92.59%, 92.66%의 F1 score를 보여 최대 편차가 2.90% 로 두 CNN모델 모두 유류오염 분포특성에 따른 수치상 탐지성능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유류오염 유형에서 Simple CNN은 오염영역을 과대탐지 하는 경향을, U-net은 과소탐지 하는 경향을 보여, 모델의 구조와 유류오염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탐지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특성은 유류오염과 해수의 경계면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동양의 전통적 환경인식과 환경관 (Thre Traditional Perception and Viewpoint to Natural Environment in the Orient)

  • 오홍석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3권1호
    • /
    • pp.55-62
    • /
    • 1992
  • In the orient, ancestor's perception to natural environment was related on the change of climate. Man had been a essence of the warm blood animal, which had suited in mild climate for living and acting. The weather of hot or cold was not only comfort in human life but influences negatively on human behavior. The most people of oriental was particularly interrelated to seasonal change of climate in earlier time. Because, there are element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in the category of climate, these elements differentiated seasonal change. The main methods of perception of natural environment were observed and classified. Although these methods were in the primitive stage, these coincided the tendency of modern science. For example, confucian was recognized the law of vertical air current that warm air rised and cold air sinked. And they could classify all elements nature based on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陰陽論)' such as male and female, the sun and moon. shade and light etc. Thus results of the observation and the classification concerned with physical environment can be utilize a wisdom for progressive life of inhabitants. It was a origin of the education in natural environment. Commonness in the viewpoint of environment in the orient if recognized the law of circulation. Buddhism, originated in india, realized that all of phenomena in the world was changed slowly through the principles of cycle(輪廻說) such as male and female, the sun and moon, shade and light etc. Thus results of the observation and the classification concerned with physical environment can be utilized a wisdom for progressive life of inhabitants. It was a origin of the education in natural environment. Commonness in the viewpoint of environment in the orient if recognized the law of circulation. Buddhism, originated in India, realized that all of phenomena in the world was changed slowly through the principles of cycle(輪廻說). For example, whole of land is shifted from young stage to old stage as the life cycle of humanbeing. The theory of karma effects(葉報設) is so signify with the good result that good one's action is reap a sweet fruit. The most environmental problem in today must realized as a consequence of men's act. Then Taoism emphasized the pure nature without the artificiality. Because complexual environment was composed of several elements, It was maintained through the artificiality. Because complexual environment was composed of several elements, It was maintain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cause and effects. The solu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is maintenanced the harmony between cause and effects by a philosophical concept.

  • PDF

로버트 스미슨의 "개간 프로젝트"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세계관 (The Ecological View of Robert Smithson's Reclamation Project)

  • 이재은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5호
    • /
    • pp.7-30
    • /
    • 2013
  • This is a study on the ecological view of Robert Smithson's reclamation projects. Smithson was a pioneer of Earth art in the late 1960's. Robert Smithson believed that he could transform industrial wastelands, such as an abandoned oil rig and a no longer used quarry, into "Earth Art." In the early seventies, he conceived of land reclamation as a new art form and called this art "Reclamation Projects." His attention regarding industrial ruin started from the American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in the 1960's. In the late 1960's, American society was in chaos from the right of movement of African Americans, the women's rights movement and from the strike for renunciation of the Vietnam War. The intellectual class seemed to believe that it was the destiny of a closed system's society to run in the direction of entropy. Smithson, who was skeptical about the system of American society, also thought that entropy was the proper diagnosis to describe America's situation in the 1960's. The 1960's civic movements like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antiwar movements expanded into the environmental movements based on ecological views of the 1970's. The government had also started to worry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Thus, the reclamation act was also established in 1972. Smithson believed that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social background are closely related and affect each other. He was concerned with how art can join society, and the result was reclamation projects. Such reclamation projects lie on man-made wastelands, like abandoned oil rigs and no longer used quarries, which was an allegory of entropy. He also thought that Frederick Law Olmsted was a pioneer of earth art. The aesthetic category of Olmsted's view of landscape is to be based on the picturesque of Uvedale Price and William Gilpin. So Smithson, who considered Olmsted as his touchstone, also accepted the picturesque. Such reclamation projects aim to change with nature by adapting the creative power of artists to the ruin which has the highest level of entropy in industrial society. Smithson wanted this to become the bridge between man and nature. His reclamation project's aim, which shows the system interacting between man and nature as a network, is not different from the ecological view of the 1970's environmental movement.

  • PDF

답토양유형중(畓土壤類型中) 보통답(普通畓)의 특성연구(特性硏究) (Study on Some Characteristics of the Well Adapted Paddy Soils in Korea)

  • 문준;엄기태;이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
    • /
    • 1987
  • 답토양(畓土壤) 6개유형중(個類型中) 가장 넓은 분포면적(分布面積)을 가진 보통답(普通畓)의 특성(特性)과 토지이용(土地利用) 및 토양생성(土壤生成)에 대(對)하여 조사연구(調査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보통답(普通畓)의 분포면적(分布面積)은 전체답면적(全體畓面積)의 33%에 해당(該當)되며 그중(中) 곡간(谷間) 및 선상지(扇狀地)에 54% 그 외(外)는 하해혼성평탄지(河海混成平坦地)와 하성평단지(河成平坦地)에 분포(分布)한다. 2. 보통답(普通畓)의 토양배수(土壤排水)는 대부분(大部分) 약간(若干) 불량(不良)으로 글라이화(化)된 식질(埴質) 및 식양질계(埴壤質系)로 물리성(物理性)이 양호(良好)한 편이고 토심(土深) 및 지하수위(地下水位)가 깊우며 토양(土壤)의 잠재생산능력은 높은 편이다. 3. 전체보통답(全體普通畓)의 이화학적특성(理化學的特性)을 보면 점토함량(粘土含量)은 표토(表土)와 심토(心土)가 많은 편(便)이며 토양반응(土壤反應)은 약(弱)한 산성(酸性)이었다.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표토(表土)는 있는 편(便)이나 심토(心土)는 적었다.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높고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는 표토(表土) 6.62, 심토(心土) 7.74 me/100 g 정도(程度)였다.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는 높았으며 유효인산(有效燐酸)은 우리나라 답토양평균치(畓土壤平均値)인 60 ppm 보다는 다소(多少) 하회(下廻)하였다. 4. 생성원인(生成原因)은 제사기신층(第四期新層)에 속(屬)하지만 현세충적층인 것으로 보여지며 미농무성(美農務省)의 구분류체계(舊分類體系)에 의(依)하면 대부분(大部分) Low humic gley soils에 해당(該當)되고 F. A. O분류안(分類案)에 의(依)하면 Gleysols에 속(屬)하며 일본(日本)의 시비개선사업(施肥改善事業)에서는 토양군(土壤群)은 회색토양(灰色土壤), 토양아군(土壤亞群)은 회갈색토양(灰褐色土壤)이다. US soil taxonomy(Subgroup)에 의(依)하면 Typic 및 Fluventic Haplaquepts에 속(屬)한다.

  • PDF

숭고의 개념에 기초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학적 해석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Post-industrial Parks with a Perspective of the Sublime)

  • 이명준;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8-89
    • /
    • 2012
  • 이 연구는 숭고의 개념에 기초하여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적 특질을 해석하고자 한다. 먼저 조경사적 맥락에서 숭고의 미학적 역할을 밝히고, 이를 통해 도출한 논점들을 바탕으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적 특질에 접근하고자 한다. 조경사에서 숭고의 미학은 관례에 대항하는 미학적 범주로 작동하여 미적 향유의 대상을 확장해 왔으며, 동시에 황야나 오염된 부지의 공포심을 순치시켜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조경 본연의 역할과 연관되어 면면히 존재해 왔다.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에서 숭고의 계기는 노화된 산업 구조물과 야생의 식물상의 관계로부터 발견된다. 유기된 산업 구조물을 뚫고 피어나는 녹색 식물은 독특한 감각적, 시간적, 감동적 체험을 누리게 한다. 첫째, 산업 구조물의 감각과 식물의 감각은 변증법적 충돌을 일으켜 독특한 감각적 체험의 장을 조직한다. 둘째, 산업 구조물과 식물이 맺는 관계는 시간에 대한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방문객들에게 불확실한 시간성을 체험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은 오염으로 얼룩진 부지가 끊임없이 본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자연의 치유력을 형상화하여 방문객들에게 숭고한 감동을 준다.

경안천 유역의 불투수면에 따른 어류다양성 연구 (Study on Fish Diversity by Impervious Cover of Gyeongan-Stream Watershed)

  • 최선희;권선순;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61-56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1975년부터 2000년까지의 토지피복상태에 따른 불투수면과 투수면을 재분류하여 경관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관 지수를 산정하였다. 경관 지수 중 총 중심지면적인 TCA(Total Core Area)를 생물종 다양성 지표로 이용하였다. 선정된 경관 지표 TCA와 불투수면 모델인 ICM(Impervious Cover Model)을 이용하여 실제 경안천 유역의 어류 출현종수와 비교하였다. TCA와 불투수면 비율의 관계에서는 불투수면 비율 증가에 따라 TCA값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도시화와 인위적인 개발로 인해 경관에서 불투수면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면서 생물종이 외부로부터의 격리를 필요로 하는 임계면적이 점차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또한, 경안천에 서식하는 출현 어류종의 종류를 모니터링 해 본 결과 불투수면 비율이 낮은 지역에서 청정수에 서식하는 종의 출현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경안천 유역은 하천상태가 Impacted Stream(손상하천) 위에 해당하여 유역의 상태가 나빠지는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 구간에서 유역은 불투수면 비율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계속적으로 집중적인 유역관리가 필요하며, 지역에 출현하는 어류다양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역상태를 개선시킬 필요성이 있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국방 강소벤처 Tech-Fi Net 기술동향 분석 (Analysis Results in Technological Trends of Military Small Giant Venture Tech-Fi Net via Social Network Analysis)

  • 박재우;이일로;권재욱;변기식;조성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44-45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방기술정보통합서비스(Defense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에서 제공하는 「국방 강소벤처 Tech-Fi Net」에 등록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국방 강소벤처 기업에 대한 기술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방 강소벤처 Tech-Fi Net」은 국내 중소·벤처 기업의 우수한 기술을 국방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서, 2019년 전반기까지 총 388개 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847개의 기술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847개의 기술을 대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론 중에서도 중심성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기업 보유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무기체계 및 국방기술분류 간 관계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중소·벤처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은 크게 "감시/정찰체계" 및 "지휘통제·통신체계"에 적용되는 "센서" 및 "정보통신" 기술과 "기동체계", "함정체계", "항공체계"에 적용되는 "구조/플랫폼" 기술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화력체계"에 적용되는 "추진"과 "소재" 기술은 발전이 요구되며, "방호체계"에 있어서도 "센서" 및 "정보통신" 기술의 적용이 미흡한 것으로 식별되었다. 우리는 본 연구의 결과 및 방법론이 향후 중소·벤처 기업 기술 개발 시 방향성 제시를 위한 참고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상가권리금 법제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Problems and Its Improvements of Legislation for Shop Key Money)

  • 노한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410-42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상가권리금 법제화(2015.5.12.)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임차인이 권리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인 보호가 이루질 수 있도록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입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개정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서로 상충되는 '권리금' 및 '권리금 계약'의 정의규정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차인의 권리금회수보호라는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으므로 양자를 일치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 권리금 자체의 대항력을 인정하여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보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임대인의 임차인 권리금 회수 방해행위와 관련된 모호한 규정들을 명확하게 정비하여야 하며, 권리금 회수방해로 인한 손해배상에 대한 입증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명확히 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토교통부 장관으로 하여금 지역별 상권별 업종별 표준권리금 수준을 조사하여 고시하도록 의무화하여야 한다.

조경공사 적산방식의 비교연구 - 실적공사비와 표준품셈의 단가비교 - (Comparative Study of Cost Estimate System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 Comparison of Unit Price between Actual Construction Cost and Standard Quantity per Unit -)

  • 정운수;최기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7-111
    • /
    • 2012
  • 본 연구는 공공건설공사 중 조경공사 적산의 단가 비교로 적정 공사비 산출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11년 상반기 실적단가에서 조경공사로 분류되는 12항목 중 유사기준인 7항목을 대비하며, 준용 공종은 5개 현장에 적용된 실적단가 80항목 중 비교 가능한 35항목을 유사기준인 2011년 3월의 표준품셈 단가로 대비하였다. 조경부문 7항목의 실적공사비율은 항목별로는 104.86%, 총공사비로는 92.09%이다. 실적공사비율이 높은 이유는 암반 적용 여부로 씨앗뿜어붙이기의 높은 비율도 있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잔디와 씨앗뿜어붙이기의 사면처리 비용 때문이므로, 품셈의 불합리성과 토양 종류별 기준별 보정계수 규정을 세분할 필요가 있다. 토목과 건축 준용부문 35항목의 실적공사비율은 항목별로 78.65%, 총공사비로는 71.31%(70.17%)이다. 이는 실적단가가 구조적으로 실제 금액을 반영하지 못하는 점과, 품셈은 인력시공에서 현실성이 결여된 때문으로 판단된다. 국토해양부 발표인 85.1~91.2%의 실적공사비율은 신규 전환품목 단가이므로, 이 결과는 실제적인 실적공사비율로 추정되며, 실적단가가 적정 비율을 보이도록 검증 후 보완하고 표준품셈도 이러한 실적자료 등으로 보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