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검색결과 4,023건 처리시간 0.031초

과실 및 채소류의 저장에 있어서 Lactic Acid Bacteria의 이용 (Lactic held Bacteria for the Preservation of Fruit and Vegetables)

  • 김건희;배은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45-254
    • /
    • 1999
  • Lactic aicd bacteria(LAB)는 전통적으로 식품의 발효과정 중에 사용되는 미생물이다.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bacteriocinogenic culture와 lactic acid bacteria에서 생산되는 산물은 식품의 부패에 원인이 되는 미생물과 병원성균에 대한 생육억제효과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생선제품, 유제품. 육제품과 발효되지 않은 냉장식품 등의 식품저장에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어져 오고 있었으나 과실 및 채소류에서의 lactic acid bacteria에 대한 효용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광범위하게 연구된 것이 없다. 따라서 lactic acid bacteria의 과일 및 채소류의 저장시 효과적이고 적용성이 넓은 보존제로서의 성공적인 이용을 위해서 식품저장과 lactic acid bacteria에 대한 특성, lactic acid bacteria의 대사산물, lactic acid bacteria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과일 및 채소의 식품성분 및 구성요소와 미생물의 생육저해효과가 있는 대사산물과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의 수행이 과일 및 채소제품에서 lactic acid bacteria의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점으로 사료된다.

  • PDF

회분식 반응 증류에 의한 lactic acid의 분리 특성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y Batch Reactive Distillation)

  • 최종일;홍원희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220-224
    • /
    • 1999
  • 본 논문에서 회분식 반응 증류에 의한 lactic acid의 분리 특성을 연구하였다. 휘발성이 있는 lactate ester의 생성을 위한 lactic acid와 alcholo과의 반응에서, 반응에 의해 생성된 lactate ester의 휘발성이 높을 수록 증류탑으로 들어가는 lactate ester양은 증가하여 재비기에서 얻어진 lactic acid의 회수율은 증가 하였다. 부분응축기의 온도가 감소할수록 재비기로 모이는 lactate ester양은 증가하였고 재비기 내의 수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lactic acid의 양은 증가하였다 Lactic acid의 정제를 위한 lactate ester와 물과의 수화 반응은, 비록 증류탑 내에서 lactate ester와 물이 반응을 할 수 있으나, 증류탑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짧기 때문에 대부분 재비기에서 이루어진다.

  • PDF

부레옥잠을 이용한 Lactobacillus spp.의 젖산 생산 (Production of Lactic Acid from Water Hyacinth by Lactobacillus spp.)

  • ;노용호;박혜민;윤현식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85-89
    • /
    • 2016
  • Lactic acid fermentations were conducted using water hyacinth. It is known that the pretreatment and enzyme hydrolysis process optimize the potential of water hyacinth. Lactic acid produced by using lactic acid bacteria. All cells were grown at $37^{\circ}C$ and initial pH 5.5. Lactic acid production was measured by HPLC. All Lactobacillus strains could produce lactic acid from pretreated water hyacinth. The highest lactic acid was achieved when lactic acid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by L. delbrueckii for D-form and L. helveticus for L-form lactic acid production.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 was 10.70 g/L by L. delbrueckii and it converted glucose in the medium to lactic acid, almost perfectly. Lactic acid production became higher when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at a controlled pH 5.5. Lactic acid yield and productivity were 0.52 g/g and 0.19 g/L/h for L. helveticus, while L. delbrueckii was 0.64 g/g and 0.27 g/L/h. This study showed that water hyacinth medium could be alternative medium which can replace the complex and expensive medium for growing Lactobacillus strains in production of lactic acid.

생체분해성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II) -Poly (L-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와 Poly- (L-lactic acid-co-glycine-L-methyl lactic acid)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L-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and Poly - ( L-1actic acid-co-gl ycine-L-methyl 1actic acid))

  • 성용길;송대경;박경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5-232
    • /
    • 1988
  • Poly (L- 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and Poly (L-lactic acid-co-glycine-L- methyl lactic acid ) have been prepared by ring opening polymerization. The monomer 6, 6-dimethyl morpho-line-2, 5-dione was synthesized by the bromoisobutylation of 2-bromoisobutyryl bromide with glycin e. L-lactide, 6-methyl morpholine-2, 5-diode. and 6, 6-dimethyl morpholine-2, 5-diode have been used as starting materials for polydepsipeptides. The synthesized monomers and copolymers have been identified by NMR and FT-lR spa- ctrophotometer. The thermal propert ies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g) of the copolymers have been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Tg values of poly(L-lactic acid co-glycine-L-lactic acid) system are increased from $53^{\circ}C\; to\; 107^{\circ}C$ with increasing the mole fraction of 6-methyl morpholine-2, 5-diode. And the Tg values of poly(L-lactic acid co-glycine-L-methyl lactic acid) system are increased from $53^{\circ}C\;to\;138^{\circ}C$ with increasing the mole fraction of 6. 6-dimethyl morpholine-2, 5-diode The thermal stability of poly (L-lactic acid-co-glycine-L-methyl lactic acid) is slightly greta text than that of poly(L-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due to the methyl group.

  • PDF

동시당화 및 추출발효에 의한 Lactic Acid 생산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Extractive Fermentation for Lactic Acid Production)

  • 공창범;우창호;최실호;윤현희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212-219
    • /
    • 1999
  • 섬유성바이오매스로부터 lactic acid를 생산하기 위한 동시당화 및 추출발효공정의 성능과 조업특성을 조사하였다. 섬유소 가수분해효소 Cytolase CL과 lactic acid 발효군주 L. delbruecku를 사용한 동시당화발효(SSF)에서 생성물인 lactic acid의 저해작용이 심각하였다. SSF 도중 lactic acid의 제거를 위하여 선정한 IRA-400 수지의 lactic acid 흡착성능은 200mg/g dry resin 이었다 Lactic acid 제거의 효과는 초기 기질(cellulose)의 농도에 따라 Lactic acid 제거의 효과는 초기 기질(cellulose)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기질의 농도가 50g/L인 경우 단순 SSF의 반응시간 72시간에서 lactic acid의 농도가 304g/L이었고, 이온교환수지를 첨가한 SSF에서는 32.0g/L이었다. 반면에, 모사실험 결과, 초기 기질사용량이 100g/L 인 경우에는 수지첨가에 의한 lactic acid 제거시 lactic acid 생산수율이 약 60%에서 90%이상까지 증가된다. SSF의 각 반응식에서 pH의 의존성을 조사하여 실험식으로 표현하였다. pH에 따라 lactic aic의 생산량이 크게 변화하였으며, pH 4.5-5.0에서 최대의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의 배양 및 저장 중 D(-) 및 L(+)-lactic acid의 변화 (D(-) and L(+)-Lactic Acid Determin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Period)

  • 이경욱;신용국;백승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8-174
    • /
    • 1998
  • 이 연구는 발효유 제조시 사용되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이 생산하는 lactic acid의 생성변이를 조사하므로써 발효유 제조시 D(-)-lactic acid의 함량을 최소화하고 보존 중의 D(-)-lactic acid의 함량도 최소화하므로써 보다 인체에 유익한 발효유의 제조를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온도는 $37^{\circ}C$에서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D(-)-lactic acid의 비율도 가장 낮았다. 보존온도에 따른 변이에서는 저온에서 후산생성도 적었으며, D(-)-lactic acid의 비율도 가장 낮았다. 또한 처리에 따른 산생성에서는 호기상태에서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D(-)-lac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 PDF

변성 전분-폴리락트산 블렌드의 상용성 및 물성 (Compatibilization and Properties of Modified Starch-Poly(lactic acid) Blend)

  • 이상환;김덕준;김지흥;이동현;심상준;남재도;계형산;이영관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519-523
    • /
    • 2004
  • 폴리락트산과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분에 무수 말레산을 그래프팅한 변성 전분을 제조하여 폴리락트산과 혼합하였다. DSC와 TGA 열적거동에서 폴리락트산/변성 전분 혼합체는 폴리락트산에서 관찰되는 172$^{\circ}C$에서의 용융 피크 외에 1$65^{\circ}C$에서 새로운 용융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열분해 곡선에서는 폴리락트산/변성 전분 혼합체의 분해 온도가 보다 완만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계적 강도의 측정에서는 폴리락트산/변성 전분이 폴리락트산/전분 혼합체와 비교하여 탄성률이 약 12% 증가하였으며, 이는 SEM 이미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락트산과 변성 전분의 계면 접착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on D- and L-Lactic Acid Contents of Kimchi

  • Jin, Qing;Yoon, Hyang-Sik;Han, Nam-Soo;Lee, Jun-Soo;Han, Jin-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948-953
    • /
    • 2006
  • The D-form of lactic acid is frequently detected in fermented foods, and an excessive dietary intake of D-lactic acid may induce metabolic stress in both infants and patients.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revailing microorganisms relevant to the accumulation of D-lactic acid in kimchi. Leuconostoc (Leuc.) mesenteroides and Leuc. citreum primarily synthesized D-lactate with a small quantity of L-form. Leuc. gelidum and Leuc. inhae evidenced patterns similar to this. Lactobacillus (Lb.) plantarum and Lb. brevis were shown to convert glucose into a balanced mixture of D-/L-lactic acid, whereas Lb. casei principally synthesized L-lactic acid and a very small quantity of D-lactic acid. When kimchi was incubated at 8 or $22^{\circ}C$, D-lactic acid was over-produced than L-form. Leuconostoc was determined as the primary producer between the initial to mid-phase of fermentation and Lb. plantarum or Lb. brevis seemed to boost D-lactic acid content during later stage of acid accumulation.

Optimum Conditions for the Biological Production of Lactic Acid by a Newly Isolated Lactic Acid Bacterium, Lactobacillus sp. RKY2

  • Wee Young-Jung;Kim Jin-Nam;Yun Jong-Sun;Ryu Hwa-W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23-28
    • /
    • 2005
  • Lactic acid is a green chemical that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biodegradable polymer. To produce lactic acid through microbial fermentation, we previously screened a novel lactic acid bacterium. In this work, we optimized lactic acid fermentation using a newly isolated and hom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um. The optimum medium components were found to be glucose, yeast extract, $(NH_4)_{2}HPO_4,\;and\;MnSO_4$.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a batch culture of Lactobacillus sp. RKY2 was found to be 6.0 and $36^{\circ}C$, respectively. Under the optimized culture conditions, the maximum lactic acid concentration (153.9 g/L) was obtained from 200 g/L of glucose and 15 g/L of yeast extract, and maximum lactic acid productivity ($6.21\;gL^{-1}h^{-1}$) was obtained from 100 g/L of glucose and 20 g/L of yeast extract. In all cases, the lactic acid yields were found to be above 0.91 g/g. This article provides the optimized conditions for a batch culture of Lactobacillus sp. RKY2, which resulted in highest productivity of lactic acid.

전처리된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로부터 Lactic acid생산 (Lactic acid Production from Hydrolysate of Pretreated Cellulosic Biomass by Lactobacillus rhamnosus)

  • 안수진;;김태현;김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1호
    • /
    • pp.1-5
    • /
    • 2015
  • Lactic acid(젖산)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Hydroxy-carboxylic acid로서 일반적으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및 화학산업의 원료로 사용된다. 하지만 다양한 분야의 적용과 대량생산의 광범위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원재료의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Lactic acid 생산의 주된 문제가 된다. Lactic acid는 발효 또는 화학적 합성에 의하여 얻어진다. 최근,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Lactic acid의 시장 수요가 증가하여 미생물 발효 방법에 의한 Lactic acid 생산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Lactic acid 생산의 원재료는 순수한 전분 또는 글루코오스를 이용한다. 이의 경제적인 원재료의 대안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재생가능 자원인 바이오매스를 가수분해물로 전환하여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10863을 이용하여 전처리 된 가수분해물로부터 발효 방법에 의해 L(+)-Lactic acid를 생산하였다. 전처리 된 가수분해물은 암모니아 침출 공정(AP) 후 효소 당화에 의하여 얻었다. 효과적으로 Lactic acid 생산 수율과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순수 글루코오스 조건에서 배지, 온도, 글루코오스 농도를 조절하여 수행하였다. 발효 최적조건에서 순수 글루코오스와 가수분해물의 Lactic acid 생산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