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2초

Anti-fatigue effects of Elaeagnus multiflora fruit extracts in mice

  • Jung, Myung-A;Jo, Ara;Shin, Jawon;Kang, Huwon;Kim, Yujin;Oh, Dool-Ri;Choi, Chul-y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69-74
    • /
    • 2020
  • The fruit, leaves, and roots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o treat cough, diarrhea, and itching. However, the anti-fatigue effects of E. multiflora fruit (EMF) extract have not been studied in detai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F on fatigue and exercise performance in BALB/c mice. EMF was orally administered to mice at four doses (10, 50, 100, and 200 mg/kg/day) for 2 weeks. The anti-fatigue activity was evaluated by determining the exhaustive swimming time. Blood lactate and glucose levels and serum lactate levels after a 10 min swimming time, as well as ammonia, creatine kinase (CK), blood urea nitrogen (BUN),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glycogen contents after exhaustive swimming time were measured. The exhaustive swimming time of the EMF 200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0.01). The EMF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 levels of CK, BUN, LDH, and lactat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0.05). Increased liver glycogen was observed in the EMF 200 group (p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F can be utilized as an efficacious natural resource for its anti-fatigue effects.

청국장을 급여한 식이가 알코올 섭취쥐의 지질대사 및 간 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ongkukjang Intake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Ethanol Consumed Rats)

  • 이은희;천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8호
    • /
    • pp.684-692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ongkukjang intake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ethanol consumed rats. Twenty one Sprague-Dawley male rats aging 4 weeks old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dietary groups; casein diet(CA), soybean diet(SB) and chongkukjang diet(CJ). Alcohol was consumed with water as 25%(v/v) ethanol solution. After 4 weeks of experimental period, rats were sacrificed to get blood and liver samples for analysis of lipids, lipid peroxides, antioxidative enzymes and biochemical indices of liver function. The mean body weight, food intake and liver ind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Serum level of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of chongkukjang diet group was the lowest among three group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chongkukjang diet group than that of casein diet group. LDL-cholesterol level of chongkukjang and soybean diet group was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that of casein diet group respectively. Liver TBARS of chongkukjang and soybean diet group was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that of casein diet group respectively.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of chongkukjang diet group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at of casein diet group. Catalas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As indices of liver function, glutamic oxaloacetic transminase(GOT), glutamic pyruvic transminase(GPT), $\gamma$-glutamyl transpeptidase($\gamma$-GTP) and lactate dehydrogenase(LD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Serum alcohol concentration and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ADH) and aldehyde dehydrogenase(ALD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The chongkukjang diet seems to give a beneficial effect for improving lipid metabolism by increasing HDL-cholesterol level and SOD activity while reducing liver TBARS level. However, effect on liver function has to be investigated further.

Comparative and Interactive Biochemical Effects of Sub-Lethal Concentrations of Cadmium and Lead on Some Tissues of the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 Elarabany, Naglaa;Bahnasawy, Mohammed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249-255
    • /
    • 2019
  • Cadmium is a strong toxic heavy metal which presents in paints and liquid wastes and causes oxidative stress in fish. On the other hand, lead is widely used for different purposes, e.g. lead pipes, it targets vital organs such as liver and kidney causing biochemical alterations. The present study evaluates the effects of 60 days exposure to Cd and Pb either single or combined together in African catfish. Sixty-four fish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exposed to $CdCl_2$ (7.02 mg/L) or $PbCl_2$ (69.3 mg/L) or a combination of them along with control group. Activities of acid phosphatase (ACP),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were estimated. Moreover, gill, liver and kidney were assayed for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levels of glutathione (GSH) and malondialdehyde (MDA). Individual exposure showed that both Cd and Pb significantly decreased LDH activity and SOD activity in the kidney. Pb significantly increased G-6-PDH activity and decreased GSH level in the gill. CAT activity in liver and kidney elevated significantly on Cd exposure while lead caused a significant depletion in the liver and significant elevation in the kidney. Both Cd and Pb significantly increased MDA levels in liver and kidney while Pb increased its level in gills. The combined exposure resulted in normalization of LDH, G-6-PDH activity, and CAT activity in liver and kidney as well as GSH level in both tissues and MDA in gill and kidney. The combination increased SOD activity and MDA level in liver and decreased SOD activity in kidney and GSH level in gills. In conclusion, the antioxidant system of African catfish was adversely affected by prolonged exposure to Cd and Pb. The combined exposure caused less damage than individual exposure and returned most parameters to those of controls.

풀망둑(Acanthogobius hasta) 젖산탈수소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in Acanthogobius hasta)

  • 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64-272
    • /
    • 2008
  • 풀망둑(Acanthogobius hasta)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 효소의 특성을 생화학적, 면역화학적 및 역학적 방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풀망둑 골격근과 눈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 활성이 65.30과 53.25 units였고, 심장과 간 조직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골격근 조직의 LDH/CS는 22.29로 가장 높고, LDH 특이활성도는 뇌 56.45, 눈 38.04 및 골격근 11.04 units/mg였다. 각 조직에 대해 $A_4,\;B_4$, eye-specific $C_4$, 및 liver-specific $C_4$에 대한 항혈청으로 면역 침강 반응시킨 후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하였다. 골격근, 뇌 및 눈 조직에서 $A_4$ 동위효소가 우세하게 확인되었고, 심장에서는 $A_4$ 동위효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양극의 eye-specific t와 음극의 liver-specific $C_4$가 한 종에서 함께 발현되었으며, 눈 조직의 eye-specific $C_4$는 활성이 크고 간 조직의 liver-Specific $C_4$의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결과 $A_4$$C_4,\;A_4$$B_4$ 및 eye-specific $C_4$와 liver-specific $C_4$의 분자구조의 일부가 서로 유사하지만 $B_4$$C_4$의 구조는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하부단위체 A는 보존적이고 하부단위체 B는 하부단위체 A보다 빠르게 진화된 것으로 사료된다. 골격근 조직의 LDH $A_4$ 동위효소는 affinity chromatography에서 $NAD^+$를 함유한 buffer를 유입한 후 용출된 분획에서 정제되었고, eye-specific $C_4$ 동위효소는 $A_4$ 분획에 이어 용출되었으므로 eye-specific $C_4$$A_4$의 분자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LDH에 대한 피루브산의 저해 실험 결과 35.22-43.47% 의 활성이 남았고, $Km_{pyr}$은 0.080-0.098 mM이고 골격근과 눈조직의 Vmax은 153.85와 35.09 units였다. 또한 $B_4$ 동위효소가 열에 대해 가장 안정하였고 $C_4$$A_4$보다 안정하였으며, 최적 pH는 6.5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풀망둑은 저 산소 환경조건에 적응되어져 조직들의 동위효소들이 $A_4$$B_4$ 동위효소 사이의 특성을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흰쥐의 방사선 피폭후 생물학적 지표로서의 혈액효소 (Serum enzymes as indicators of radiation exposure in rat)

  • 김인규;김상복;김진규;김국찬;천기정;박효국;이강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37-45
    • /
    • 1993
  • 생물학적 선량평가를 위한 생화학적 지표 연구로서 흰쥐 혈액 내 효소활성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는 0.1, 0.25, 0.5, 2, 4Gy의 방사선 조사후 24시간까지 혈액내 활성도가 증가하였고 72시간 경과시에는 대조군과 비슷한 활성도를 보였다. Creatine kinase는 2, 4Gy 방사선 조사후 혈액내에서 활성도가 72시간까지 증가하였으나 0.1, 0.25Gy 방사선 조사시에는 커다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Malate dehydrogenase 활성도는 0.1, 025, 0.5Gy 방사선 조사시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었으며 lactate dehydrogenase는 방사선 조사후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3) GOT의 활성도는 선량률 0.1Gy/min.로 0.1, 0.25, 0.5, 2, 4Gy 조사후에는 어떠한 변화도 없었으며 선량률 0.5 Gy/sec.로 0.5, 1, 1.5, 2, 3, 5, 7 Gy로 조사후에는 증가현상을 보이고 있다. Acid phosphatase활성도는 상기의 어떠한 선량에서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잠재적으로 이러한 효소들은 방사선 피폭의 지표물질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생화학적 지식과 기술을 이용한 좀더 나은 지표물질을 찾기 위하여 계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 PDF

만손열두조충에서 젖산탈수소효소와 말산탈수소효소의 분포와 특징 (Local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ctate and palate dehydrogenase in the sparganum and adult worm of Spirometra erinacei)

  • 곽기훈;전은우;김창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59-68
    • /
    • 1996
  • 만손열두조충의 스파르가눔(흰쥐에서 적출한 r-스파르가눔, 뱀에서 적출한 s-스파르가눔)과 성충을 재료로 하여 젖산탈수소효소와 말산탈수소효소의 조직내 분포 및 동위효소의 특징을 효소조직화학적 방법과 전기영동뎁으로 조사하였다. LDH와 WH는 외피하근층에서 강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실질조직(parenchyma)에서는 약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nH는 스파르가눔의 외피조직 에서도 활성이 나타났으나 성충의 외피조직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LDH의 동위효소 유형은 5-스파르가눔, s-스파르가눔과 성충에서 각각 2개, 4개, 2개가 분리되었고, 45 kDa의 분회이 공통적으로 주분획이었으며 sinH의 동위효소는 5-스파르가눔, r-스파르가눔과 성충에서 각각 2개, 3개 4개의 분획이 분리되었고, IEF에 의해 성충에 존재하는 4개의 tmH 동위효소 분획의 등전점(Pl)은 각각 6.0, 6.5, 6.7, 7.1이었으며, 이 중 6.0이 주분획이었다. 또 최적 pH는 7이나 활성 범위가 pH 6 ~8이었고. 최적온도는 $40^{\circ}C$였으며, $50^{\circ}C$ 이상에서는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mH의 최적 활성도는 s-스파르가눔, r-스파르가눔과 성충에서 각각 19.4, 24.5, 108.0이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외피하근층으로 흡수된 양분은 충체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산화분해되며 유충에 비해 성충에서 물질 대사가 활발함을 알 수 있고, 또한 만손열두조충의 스파르가눔과 성충이 숙주와 기생 장소를 달리하지만 기생 환경에 따라 젖산탈수소효소와 말산탈수소효소의 동위효소들이 활성을 달리하므로써 숙주 환경에 적응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가물치(Channa argus) 젖산탈수소효소 동위효소들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Channa argus)

  • 박은미;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0-268
    • /
    • 2010
  • 가물치(Channa argus)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 동위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를 정제하고 생화학적, 면역학적 및 역학적 방법으로 특성을 연구하였다. LDH 활성은 골격근이 380.4 units로 가장 높고 심장 13.4, 눈 3.5, 뇌 조직 5.4 units이었으며, 심장의 CS 활성은 20.7 unit로 가장 높고, LDH/CS는 골격근 172.9, 심장 0.6, 눈 0.32, 뇌 0.47이고, 단백질 양은 골격근 14.7 mg/g이며, 특이활성(units/mg)은 골격근 25.88, 심장 0.79, 눈 0.31, 뇌 1.38 units/mg이었으므로 골격근은 혐기적이고, 심장은 호기적이었다. LDH $A_4$, $B_4$, eye-specific $C_4$에 대한 항혈청을 사용한 Western blot, 면역침강반응 및 nativ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 의해 $A_4$, $A_3B$, $A_2B_2$, $AB_3$$B_4$가 모든 조직에서 확인되었고, 눈 조직에서 $C_4$$AC_3$, $A_2C_2$, $AC_3$, 뇌 조직에서 $A_3C$도 확인되었다. LDH $A_4$, $A_3B$, $A_2B_2$, $AB_3$, $B_4$, eye-specific $C_4$ 동위효소는 affinity chromatography와 Preparative PAGE Cell에 의해 정제되었다. LDH $A_4$ 동위효소는 $NAD^+$ 유입 후 정제되었고, eye-specific $C_4$$A_4$에 이어 용출되기 시작하였으며 $B_4$는 buffer 유입 후 용출되었다. 정제한 결과 $A_4$$B_4$ 및 eye-specific $C_4$와 분자구조의 일부가 유사하였지만 $B_4$$C_4$는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하부단위체 A는 보존적이고, 하부단위체 B는 A보다 더 빠르게 진화된 것으로 보인다. 피루브산 10 mM에서 $A_4$ 동위효소 39.98%, $A_2B_2$ 21.28%, $B_4$ 19.67% 및 eye-specific $C_4$ 16.87%의 활성이 남아있었고, 피루브산에 대한 $Km^{PYR}$$A_4$ 0.17 mM, $B_4$ 0.27 mM, eye-specific $C_4$ 0.133 mM였다. $A_4$, $B_4$, eye-specific $C_4$, $A_2B_2$, $A_3B$$AB_3$의 최적 pH는 각각 pH 6.50, pH 8.5, pH 5.5, pH 6.0-6.5, 5.0 및 pH 7.5였고, 동질사량체 $A_4$와 이질사량체 동위효소들은 넓은 pH 영역에서 안정하였다. 특히 골격근은 LDH 활성이 크므로 활동성이 크며, 눈조직에서 피루브산 친화력이 강한 eye-specific $C_4$에 의해 피루브산 대사가 빠르게 일어나고, 이어서 $A_4$에 의해 젖산이 산화되어지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종의 생태환경 및 먹이 획득 양식에 따라 LDH-C 발현, 기질에 대한 친화도 및 대사 시간이 다른 것으로 사료된다.

백서의 배양 골아세포와 파골세포에 대한 산화적 손상과 Glutamate 수용체 길항제의 영향 (Effect of Oxidative Stress and Glutamate Receptor Antagonist on Cultured Rat Osteoblast and Osteoclast)

  • 박승택;전승호;이병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96-1001
    • /
    • 2003
  • It is well known that oxidative stress of reactive oxygen species(ROS) may be a causative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bone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oxidative stress. Cell viability by MTS assay or INT assay, activity of glutathione peroxidase(GPx), lipid peroxidation(LPO) activity and cell viablity. And also protctive effect of glutamate receptors against ROS-induced osteotoxicity was examined by protein synthesis,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in cultured rat osteoblasts and osteoclasts. XO/HX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GPx activity, protein synthesis and ALP activity, but increased LPO activity and LDH activity. In the protective effect,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antagonists or AMPA/kainate receptor antagonists such as D-2-amino-5-phosphonovaleric acid (APV), 7-chlorokynurenic acid (CKA), 6-cyano-7-nitroquinoxaline-2,3-dione (CNQX) and 6,7-dinitroquinoxaline-2,3-dione (DNQX), NMDA receptor antagonists but AMPA/kainate receptor antagonists showed protective effect on xanthine oxidase (XO) and hypoxanthine (HX) in these cultures by the increse of protein synthesis, ALP activity.

독성물질인 염화카드뮴으로 손상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대한 애기똥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Chelidonium majus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Injured by Cadmium Chloride of Toxicant)

  • 김태윤;제갈승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7
    • /
    • 2016
  • 본 연구는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를 재료로 독성물질인 염화카드뮴($CdCl_2$)의 세포독성과 이에 대한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CM) 추출물의 방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을 비롯한 $CdCl_2$에 대한 BHT의 영향 및 DPPH-자유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anion-radical scavenging activity (SSA),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CdCl_2$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XTT_{50}$값이 38.7uM로 나타나 Borenfreund와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highly-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인 BHT는 $CdCl_2$의 독성으로 인하여 심하게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편, $CdCl_2$의 세포독성에 대한 CM 추출물의 방어효과에서, CM 추출물은 $CdCl_2$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또한 DPPH-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비롯한 SSA 및 LDH 활성 억제와 같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CdCl_2$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CM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CdCl_2$의 세포독성에 대한 방어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CM 추출물과 같은 천연소재는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독성의 제독 내지는 저감을 위한 항산화물질로서의 개발적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알루미늄 화합물이 흰쥐의 혈청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uminum Compounds on Enzyme Activities in the Serum of Rat)

  • 김중만;백승화;한성희;신용서;윤태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01-805
    • /
    • 1996
  • 알루미늄 화합물이 흰쥐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흰쥐(Sprague-Dawley계 male) 75마리를 5개 그룹 즉, 대조군, $250\;ppm\;AlCl_3\;500\;ppm\;AlCl_3,\;250\;ppm\;Al_2(SO_4)_3,\;500\;ppm\;Al_2(SO_4)_3$로 나누어 2주동안 투여하여 asparate amino transaminase, alanine amino transminase, lactate dehydrogenase, 그리고 cholinesterase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체중은 대조군에 비하여 $Al_2(SO_4)_3$ 투여군은 2.82-6.16% 증가한 반면에 $AlCl_3$ 투여군에서는 0.53-3.35%로 감소하였다. 효소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AlCl_3$ 또는 $Al_2(SO_4)_3$ 투여후에 AST는 0.68-9.97%, 21.04-24.79%, LDH는 29.43-57.56%, 74.60-29.33% 증가하였으나, ALT는 12.69-25.42%, 24.32-39.62%로 각각 감소하였다. ChE는 대조군에 비하여 $Al_{2}(SO_4)_3$ 투여군은 28.0-12.73% 증가하였으나 $Al_2(SO_4)_3$ 투여군은 3.93-14.48%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