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ur policy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1초

마이스터고 정책의 초기 노동시장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Initial Effect of Meister High School Policy on Labor Market)

  • 양정승;김유미
    • 노동경제논집
    • /
    • 제37권3호
    • /
    • pp.75-99
    • /
    • 2014
  • 이 연구는 2013년도에 마이스터고 졸업자를 배출한 학교들의 상당수가 이전의 전문계 고등학교 중에서 마이스터고로 지정되었다는 사실에 착안, 이중차분법을 적용하여 마이스터고 정책의 초기 노동시장 효과를 분석하였다. 취업률이라는 양적 측면, 시간당 임금과 노동시장 정착 의도라는 질적 측면에서 초기 노동시장 성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마이스터고 정책은 졸업자의 취업률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으나 시간당 임금을 높이거나 노동시장 정착 의도를 높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적인 측면에서만 마이스터고 정책은 어느 정도 단기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 정책의 순 효과성을 추정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노동권.부모권 관점에서 본 영국과 스웨덴의 일-가족양립정책 (UK and Sweden Work-Family Policy on Work.Care Citizenship)

  • 김나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79
    • /
    • 2013
  • 이 연구는 노동권 부모권 관점의 일-가족양립정책을 통해서 여성이 노동자로서 어떻게 복지국가에 통합되어 가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었다. 일-가족양립정책의 노동권과 부모권이 국가차원에서 어떻게 구성되는지는, 돌봄을 둘러싼 젠더체계를 중심으로 돌봄의 사회화방식(탈가족화 탈상품화 가족화 상품화전략)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실제로 영국과 스웨덴은 돌봄의 젠더체계를 기본으로 돌봄의 책임주체가 다르게 상정되면서, 돌봄의 사회화도 다른 성격으로 발전하였고, 이것이 여성과 남성의 노동권과 부모권에 주는 함의도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그 사회에서 여성을 노동자로 보는가, 혹은 돌봄자(carer)로 보는가는 돌봄의 사회화가 어떻게 발전되는가에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었다. 돌봄이 사적문제로 한정되는 영국은 당연히 일과 가족의 양립문제는 개인과 시장이 풀어야 할 문제로 가치가 축소되었다. 스웨덴 사례는 돌봄의 사회적 가치가 합의된 상태에서 탈상품화를 통한 남성의 가족화와 탈가족화를 동반한 여성의 상품화 전략만이 실질적인 노동권과 부모권을 획득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농촌 다문화가족의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Effect of Variables Affecting the Self-Sufficiency Perceived by Multicultural Famly in Rural Korea)

  • 양순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1호
    • /
    • pp.55-67
    • /
    • 2015
  •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irs relative importance and the factors affecting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jor findings that were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rist, the difference in the self-sufficiency level of their family perceived between husband and married immigrant women was not significant. But, in the level of self-sufficiency will, the level perceived by the husband was higher than it of the women significantly.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ge of the women(${\ss}=.31$) affected most significantly the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ed by the labour morale of the women(${\ss}=.25$), labour morale of the husband(${\ss}=.20$), academic background of the husband(${\ss}=.19$), academic background of the women(${\ss}=.12$), spouse support level of the women toward the husband(${\ss}=.12$). Third,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elf-sufficiency will variables had more explanatory power on it than social-demographic and/or social support variables. In conclusion,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plans improving self-sufficiency of the rural multicultural family were suggested.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establish the policy supporting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 Case-Control Study on the Predictors of Neonatal Near-Miss: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Policy and Practice

  • Johnson, Avita Rose;Sunny, Sobin;Nikitha, Ramola;Thimmaiah, Sulekha;Rao, Suman P.N.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3호
    • /
    • pp.124-132
    • /
    • 2021
  • Purpose: Neonatal near miss (NNM) allows for the detection of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erious newborn complications and death, the prevention of which could reduce neonatal mort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ive of identifying predictors for NNM in a tertiary hospital in Bangalore city. Methods: This was an unmatched case-control study involving 120 NNM cases and 120 controls. NNM was determined using Pileggi-Castro's pragmatic and management criteria. Data was collected from in-patient hospital records and interviews of postpartum mothe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of exposure variables was performed to calculate adjusted odds ratio (AOR) with 95% confidence interval (CI). Results: Significant predictors were maternal age ≥30 years (AOR, 5.32; 95% CI, 1.12 to 9.29; P=0.041), inadequate antenatal care (ANC) (AOR, 8.35; 95% CI, 1.98 to 51.12; P=0.032), <3 ultrasound scans during pregnancy (AOR, 12.5; 95% CI, 1.60 to 97.27; P=0.016), maternal anaemia (AOR, 18.96; 95% CI, 3.10 to 116.02; P=0.001), and any one obstetric complication (hypertensive disorder in pregnancy, diabetes in pregnancy,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rolonged labour, obstructed labour, malpresentation) (AOR, 4.34; 95% CI, 1.26 to 14.95; P=0.02). Conclusion: The predictors of NNM identified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policy and practice whose modifications can improve NNM. These include expanding essential ANC package to include ultrasound scans, ensur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ations of eight ANC visits, capacity building at all levels of health care to strengthen routine ANC and obstetric care for effective screening, referral and management of obstetric complications.

On-farm Tree Planting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Medium to High Potential Areas of Kenya

  • Makee, Luvanda 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4호
    • /
    • pp.392-399
    • /
    • 2016
  • This review paper presents guidelines which stakeholders use in addressing on-farm tree planting configuration, establishment, tending, silvi- cultural management, management of pests and diseas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s practiced in the medium to high potential areas of Kenya. The tree planting configurations discussed includes blocks planting (woodlot), boundary, compound planting, home/fruit gardens, trees intercropped or mixed with pasture, trees on riverbanks and roadside. Participatory monitoring and evaluation techniques have been highlighted. The main challenges facing tree planting activities include culture and attitude of local people, land and tree tenure, inadequate technical support, lack of recognition and integration of technical information and indigenous knowledge, capital and labour shortages, lack of appropriate incentives measures, damage by domestic and wild animals, conflict over trees on the boundary and policy and legal issues. This guideline targets forest managers, extension agents, students and other practitioners in policy and day to day decision making processes in Kenya.

노동의 유연안정화 정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Labor Flexicurity Policy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in the OECD countries)

  • 박성준
    • 노동경제논집
    • /
    • 제33권3호
    • /
    • pp.25-46
    • /
    • 2010
  • 노동시장에서 높은 성과를 내고 있는 덴마크 및 네덜란드와 같은 중북부 일부 유럽 국가들의 노동 유연안정화 정책을 OECD 22개 국가에 적용했을 경우 실제 네덜란드나 덴마크의 경우와 같은 노동시장의 성과를 볼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각 국가의 내재적 특수성을 배제한 체 순수 유연안정화 정책의 영향을 보기 위해 고정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 유연안정화 정책은 빈곤율의 감소에서만 성과를 나타내고 있을 뿐 고용률, 실업률 및 지니계수 등에서는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노동유연화 정책이 북중부 일부 유럽 국가에서만 노동시장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뿐, 이들 국가들 특유의 내재적 토양과 다른 OECD 국가들이 노동정책으로 유연안정화 정책을 채택하는 것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고령군 제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Policy Agenda of Goryeong County)

  • 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0-308
    • /
    • 2008
  • 고령군의 공업화는 1980년대 말 쌍림농공단지의 조성을 계기로 본격화 되었다. 2006년 현재 고령군에는 농공단지를 비롯한 6개 산업단지가 입지하며,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종사자의 약 80%, 생산액의 약 67%에 달한다. 고령군 제조업은 1980년 대 말 본격적인 공업화 이후 점진적으로 성장하다가 IMF사태로 일시적인 침체기를 겪었으나 2000년대에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생산액은 크게 늘어났고 산업구조도 개선되었으나 고용과 부가가치에서는 정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표적인 제조업 집적지역은 산업단지가 입지하는 개진, 다산, 쌍림면이다. 산업단지 입주기업을 포함한 절반이상이 지역의 저렴한 용지와 동종업종의 집적, 교통 및 통신이용 용이성 등의 요인으로 대구시를 비롯한 타 지역으로부터 이전해 온 기업이다. 그러나 현재 저임금 회피와 높은 이직률에 따른 인력부족과 산학연연계 미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요 정책과제로는 대구광역시의 테크노폴리스 및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연계하여 지식기반혁신클러스터의 한 축을 담당하는 방향으로 공업정책이 획기적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동시에 첨단산업의 유치와 IT 및 NT 등의 신기술 도입을 통한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산 관 학 연계를 통한 적극적인 기술혁신지원과 산업 간 연계를 강화하고 친환경적 산업 및 정주여건을 강화하여야 한다.

  • PDF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 주거정책과 건축문화의 역사적 고찰 - 이탈리아 국립보험공단 주택국의 주거정책을 중심으로 1949-1963 - (A study on the social housing policy and architectural culture in Italy - Focused on the case of INA (Istituto Nazionale delle Assicurazioni) - Casa 1949-1963 -)

  • 김일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37-144
    • /
    • 2008
  • Public housing problem became a major issue in each European country during the period of the reconstruc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one of the major institutional policies in the public housing sectors in Europe during the second postwar period, specifically the INA (Istituto Nazionale delle Assicurazioni)-Casa in Italy from 1949 to 1963. Thanks to the financial Aid provided by 'Marshall Plan' of United States government, Italy initiated INA-Casa housing program elaborated and realized by minister of Labour, Amintore Fanfani. He was strongly influenced by catholic socialism and Weberian corporatism, and also had previously written theoretical studies on the subject during the Interwar years. The outcome of this policy had been devaluated for its Keynesian aspect as well as vernacular predominance in the architectural forms. On the contrary, this study focuses on themes such as continuity of politics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status of the architects and their will to social engagement, notion of quarter as 'self-sufficient community' and 'residential unit'. These factors will allow to comprehend the complex nature of the reality where different categories were involved to resolve the common housing problem.

병원의 비정규직 실태조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emporary Workers in Hospital)

  • 문영전;안인환;이용균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0-144
    • /
    • 2007
  • In 1997, in the course of overcoming economic crisis caused by the shortage of foreign currency there was a significant phenomenon, the irregularization of human labour resources. There was no exception in hospital, either. Most hospitals put a lot of thought to solve the problem about irregular workers. Between employee and employer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has been raised as a main topic of al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spect the actual state of irregular workers and to understand the positive effect of protecting irregular workers, recently established and revised, on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hospitals. After enacting irregular labours protection acts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 labour rules of hospitals would be changed.(56.7%). The plan to solve irregular worker's wage issues would he carried out step by step, but some hospitals have not examined the plan yet,(81.9%). Many hospitals had a plan that irregular worker's wage would be actualized in two or three years.(78.3%)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arc as follows: 1) the introduction of functional wage system, 2) the convert from automatic rising wage system to annual wage system, 3) the incentive grade system according to management result, 4) lower functional group wage system, 5) non-term contract wage system. From the point of the opening medical market and securing competitive power of hospitals, it is prospected that irregular works would be increased also in future. So to manage irregular workers effectively would be essential in maintain hospital's competitive power and improve medical servic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 follow: (1) In hospital, the ratio of irregular workers in hospitals was lower than that of all irregular workers in Korea. (2) In hospital, the wage level of irregular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irregular workers in Korea. (3) In hospital, the social insurance application ratio of irregular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all workers in Korea. (4) In hospital, there seems to be no appropriate and active measures to improve labour condition of irregular workers, yet. (5) In many hospitals, the policy of irregular workers would be expected to revised for the law standards. In this study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irregular workers were proposed and it was expected to contribute decisions-making in hospital management, especially when using human resources.

  • PDF

초저출산은 지속될 것인가? (Is Lowest-Low Fertility going to Continue in Korea?)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33권2호
    • /
    • pp.113-136
    • /
    • 2010
  • 초저출산에 관한 논의는 장래 인구추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초저출산 추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이 가능하다. 첫째, 초저출산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인가 혹은 가까운 장래에 사라질 일시적인 현상인가 하는 질문이다. 둘째, 현재의 초저출산은 가장 낮은 수준에 이르렀는지 혹은 앞으로도 더욱 감소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이다. 셋째, 초저출산 현상은 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지 혹은 남부 및 동부 유럽과 같은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들과 연계된 이슈들은 장래의 인구학적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앞에서 제기한 질문들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초저출산 추세는 일시적인 추세가 아니라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혼인연령과 출산력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역시 초저출산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한다. 둘째, 초저출산의 수준에 관한 것으로 앞으로 출산수준이 더 낮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최근 초저출산을 가져온 다양한 요인들이 개선되지 않거나 초저출산 추이를 막기 위한 정책이 미흡하면 현재보다 더 낮은 출산 수준이 나타날 가능성은 높기 때문이다. 셋째, 유럽의 경우와 다르게 한국, 타이완, 홍콩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초저출산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아마도 자녀양육 및 교육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높은 교육비 부담과 육아부담을 줄이는 정책적 고려 없이 출산율이 회복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난망 하다는 지적에 주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