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Variables Affecting the Self-Sufficiency Perceived by Multicultural Famly in Rural Korea

농촌 다문화가족의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Yang, Soon-Mi (Division of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Environment Administration)
  • 양순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5.02.15
  • Accepted : 2015.03.10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irs relative importance and the factors affecting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jor findings that were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rist, the difference in the self-sufficiency level of their family perceived between husband and married immigrant women was not significant. But, in the level of self-sufficiency will, the level perceived by the husband was higher than it of the women significantly.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ge of the women(${\ss}=.31$) affected most significantly the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ed by the labour morale of the women(${\ss}=.25$), labour morale of the husband(${\ss}=.20$), academic background of the husband(${\ss}=.19$), academic background of the women(${\ss}=.12$), spouse support level of the women toward the husband(${\ss}=.12$). Third,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elf-sufficiency will variables had more explanatory power on it than social-demographic and/or social support variables. In conclusion,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plans improving self-sufficiency of the rural multicultural family were suggested.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establish the policy supporting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Keywords

References

  1. 권순원, 이정우, & 김매경. (1993). 저소득층의 생활안정과 자립대책. 한국개발연구원 동향/연구보고서.
  2. 김남욱. (2008). 가출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중장기 청소년 쉼터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3. 김금열. (2002). 자활근로대상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명숙. (2007). 사회적지지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미연. (2009). 그룹홈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민정. (2002). 국립재활원 자립생활프로그램 평가. 재활의 샘, 15호, 101-127.
  7. 김수정.(2008). 빈곤가정 아동,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학, 25호, 9-38.
  8. 김순곤.(2003). 중증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정연, 하지선, & 김인숙. (2011). 시설 십대 청소년의 자립 척도 개발 : 십대 여성 지원 시설 입소 및 이용자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2), 23-53.
  10. 김영미.(2002). 자활지원사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여성참여자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태열.(1999). 위계적 선형모형기법의 이론과 적용-고교학업 성취도 결정요인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9(1), 203-218.
  12. 김희성. (2002).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문정란. (2008). 뇌성마비장애인의 지역사회자원 활용이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박영란, & 강철희. (1999). 저소득층 모자가정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 91-116.
  15. 박용순. (1997). 저소득층 자립방안을 위한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2, 91-112.
  16. 변규란, 이정은, & 윤진아. (2007). 모자보호시설 가구주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3), 139-166.
  17. 보건복지부. (2010).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법무부.여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양순미. (2001).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양순미. (2006a).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적응정책의 모색. 한국자치행정연구, 5, 111-127.
  20. 양순미. (2006b).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중심. 농촌사회, 16(2), 151-179.
  21. 양순미. (2008). 농촌 다문화가족이 농업 및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2008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시험연구 보고서.
  22. 양순미. (2013). 농촌 다문화가족의 자립인식 수준과 지원 요구. 농촌지도와 개발, 20(4), 963-1022.
  23. 양순미, & 유영주. (2002). 농촌부부의 배우자에 대한 역할 기대, 역할수행평가, 역할상이성이 결혼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75-91.
  24. 양순미, & 정현숙. (2005).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종단적 비교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27-46.
  25. 원상숙. (2007).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근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6. 유계숙. (1996). 가족테이터의 통계적 산출 및 분석방법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1-20.
  27. 오혜경. (1998). 장애인 자립생활 실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3, 39-63.
  28. 이경혜. (2000).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상록. (2007).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30. 이자성. (2011). 정보화마을의 자립운영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상남도 정보화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3(1), 193-216.
  31. 이재은. (2009).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2. 이양호. (2009). 새터민 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 경제적 자립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형하, & 조문탁. (2004).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0(1), 217-244.
  34. 임선희. (2010).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양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조성호. (2002). 국민기초생활보장 조건부수급자의 자활근로의욕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구로지역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최종희. (2010). 사회적 지지가 자활대상자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타니구치아키히로.타케다야스하루. (1999). 자립생활은 즐겁고 구체적으로. 나눔의 집.
  38. 허태헌. (2005). 자활산업 참여자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39. Aneshensel. S., & Stone, J. D. (1982). Stress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buffering model of social support. Arch.Gen.Psychiatry, 39, 1392-1396. https://doi.org/10.1001/archpsyc.1982.04290120028005
  40. Brisenden, S. (1989). A charter for personal care' in Progress. 16, Disablement Income Group.
  41. Cohen, C.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42. Cohen. S., & Wile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ntin, 101(3), 393-403.
  43. Halvorsen, K. (1998). Symbolic purpose and factual consequences of the concepts of self-reliance and dependency in contemporary discourses on welfare, in: Scandinavian. Journal of Social Welfare, 7, 56-64. https://doi.org/10.1111/j.1468-2397.1998.tb00275.x
  44. Hawkins, R. L. (2002). How low-income single mothers leave welfare for self-sufficiency: The role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e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Brandeis University.
  45. Hernanz, V., Malherbet, F., & Pellizzari, M. (2004) Take-up of welfare benefits in OECD countries.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 17.
  46. Kaser, H. & Frick, J. R. (2000). Take it of leave it-(Non-) Take-up behavior of social assistance in Germany. DIW(Deutsches Institut fur Wirtschaftsforschung) Discussion Paper No. 210.
  47. Kimenyi. M. S. (1999). Rational choice, culture of poverty, and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welfare dependency. Southern Economic Journal, 57(4), 947-960. https://doi.org/10.2307/1060325
  48. Kopp, C. B. (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49. Johnes, K. (1993). Asylums and after: A revised history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from the early 18th century to the 1990s. The Athlone Press.
  50. LaRocco, J. M., House, J. S., & French, J. R. P. (1980). Social support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202-218. https://doi.org/10.2307/2136616
  51. Pearce, D., Brooks, J., & Quttz, J. H. (1997). The Self-Sufficiency Standard for Pennsylvania- selected family types. Wider Opportunities for Women, Inc, Women's Association for Women's Alternatives.
  52. Wong, C. K., & Lou V. (2010). I wish to be self-reliant ; aspiration for self-reliance, need and life satisfaction, and exit dilemma of welfare recipients in Hong Ko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95(3), 519-534. https://doi.org/10.1007/s11205-009-95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