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순원, 이정우, & 김매경. (1993). 저소득층의 생활안정과 자립대책. 한국개발연구원 동향/연구보고서.
- 김남욱. (2008). 가출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중장기 청소년 쉼터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 김금열. (2002). 자활근로대상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명숙. (2007). 사회적지지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연. (2009). 그룹홈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민정. (2002). 국립재활원 자립생활프로그램 평가. 재활의 샘, 15호, 101-127.
- 김수정.(2008). 빈곤가정 아동,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학, 25호, 9-38.
- 김순곤.(2003). 중증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정연, 하지선, & 김인숙. (2011). 시설 십대 청소년의 자립 척도 개발 : 십대 여성 지원 시설 입소 및 이용자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2), 23-53.
- 김영미.(2002). 자활지원사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여성참여자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태열.(1999). 위계적 선형모형기법의 이론과 적용-고교학업 성취도 결정요인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9(1), 203-218.
- 김희성. (2002).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문정란. (2008). 뇌성마비장애인의 지역사회자원 활용이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박영란, & 강철희. (1999). 저소득층 모자가정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 91-116.
- 박용순. (1997). 저소득층 자립방안을 위한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2, 91-112.
- 변규란, 이정은, & 윤진아. (2007). 모자보호시설 가구주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3), 139-166.
- 보건복지부. (2010).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법무부.여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양순미. (2001).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양순미. (2006a).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적응정책의 모색. 한국자치행정연구, 5, 111-127.
- 양순미. (2006b).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중심. 농촌사회, 16(2), 151-179.
- 양순미. (2008). 농촌 다문화가족이 농업 및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2008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시험연구 보고서.
- 양순미. (2013). 농촌 다문화가족의 자립인식 수준과 지원 요구. 농촌지도와 개발, 20(4), 963-1022.
- 양순미, & 유영주. (2002). 농촌부부의 배우자에 대한 역할 기대, 역할수행평가, 역할상이성이 결혼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75-91.
- 양순미, & 정현숙. (2005).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종단적 비교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27-46.
- 원상숙. (2007).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근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유계숙. (1996). 가족테이터의 통계적 산출 및 분석방법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1-20.
- 오혜경. (1998). 장애인 자립생활 실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3, 39-63.
- 이경혜. (2000).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상록. (2007).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 이자성. (2011). 정보화마을의 자립운영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상남도 정보화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3(1), 193-216.
- 이재은. (2009).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이양호. (2009). 새터민 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 경제적 자립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형하, & 조문탁. (2004).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0(1), 217-244.
- 임선희. (2010).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양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성호. (2002). 국민기초생활보장 조건부수급자의 자활근로의욕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구로지역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종희. (2010). 사회적 지지가 자활대상자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타니구치아키히로.타케다야스하루. (1999). 자립생활은 즐겁고 구체적으로. 나눔의 집.
- 허태헌. (2005). 자활산업 참여자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Aneshensel. S., & Stone, J. D. (1982). Stress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buffering model of social support. Arch.Gen.Psychiatry, 39, 1392-1396. https://doi.org/10.1001/archpsyc.1982.04290120028005
- Brisenden, S. (1989). A charter for personal care' in Progress. 16, Disablement Income Group.
- Cohen, C.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 Cohen. S., & Wile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ntin, 101(3), 393-403.
- Halvorsen, K. (1998). Symbolic purpose and factual consequences of the concepts of self-reliance and dependency in contemporary discourses on welfare, in: Scandinavian. Journal of Social Welfare, 7, 56-64. https://doi.org/10.1111/j.1468-2397.1998.tb00275.x
- Hawkins, R. L. (2002). How low-income single mothers leave welfare for self-sufficiency: The role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e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Brandeis University.
- Hernanz, V., Malherbet, F., & Pellizzari, M. (2004) Take-up of welfare benefits in OECD countries.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 17.
- Kaser, H. & Frick, J. R. (2000). Take it of leave it-(Non-) Take-up behavior of social assistance in Germany. DIW(Deutsches Institut fur Wirtschaftsforschung) Discussion Paper No. 210.
- Kimenyi. M. S. (1999). Rational choice, culture of poverty, and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welfare dependency. Southern Economic Journal, 57(4), 947-960. https://doi.org/10.2307/1060325
- Kopp, C. B. (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 Johnes, K. (1993). Asylums and after: A revised history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from the early 18th century to the 1990s. The Athlone Press.
- LaRocco, J. M., House, J. S., & French, J. R. P. (1980). Social support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202-218. https://doi.org/10.2307/2136616
- Pearce, D., Brooks, J., & Quttz, J. H. (1997). The Self-Sufficiency Standard for Pennsylvania- selected family types. Wider Opportunities for Women, Inc, Women's Association for Women's Alternatives.
- Wong, C. K., & Lou V. (2010). I wish to be self-reliant ; aspiration for self-reliance, need and life satisfaction, and exit dilemma of welfare recipients in Hong Ko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95(3), 519-534. https://doi.org/10.1007/s11205-009-95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