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boratory activities

Search Result 1,61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해산패류의 계절별 표준대사에 미치는 승온 효과 -I. 순화온도의 영향- (Influence of Increased Temperature on the Standard Metabolism in the Marine Bivalves Acclimated to Seasonal Water Temperature -I. Effects of Acclimation Temperature)

  • 김경선;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63-468
    • /
    • 2002
  • 본 연구는 계절적으로 다른 수온에 순화되어 있는 패류에 대한 승온 효과를 분별하고 특히 시기별로 성장이 다른데 따른 승온 효과를 판별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 동물은 남해안 산 참굴, Crassostna gigas,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및 진주담치, Mytilus edulis의 3종이었으며 각 계절별로 채집하여 순화되어 있는 계절 수온과 순화 온도보다 4, 7 및 $10^{\circ}C$와 3, 6 및$ 9^{\circ}C$로 승온시킨 실험 해수에서 표준산소소비량과 여수량을 측정하였다. 생활사로 보아 가을에 치패기에 있는 참굴은 $14^{\circ}C$ 순화 수온 이상의 수온상승은 오히려 생리적 저해를 주었고 순화 수온이 $7^{\circ}C$인 겨울에는$ 9^{\circ}C$의 승온도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성재에서 여름에 순화 수온 $24^{\circ}C$ 이상의 승온은 저해를 주었다. 봄에 치패기에 있는 바지락은 순화수온보다 $6^{\circ}C$의 승온도 효과가 현저하였으나 그 이상의 수온 상승은 오히려 저해를 주었고 가을과 겨울에는 순화수온보다 온도가 $9^{\circ}C$까지 승온되어도 현저히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여름에는 순화수온 $24^{\circ}C$ 이상의 승온은 현저한 저해영향을 주었다. 진주담치는 봄 치패기에 순화수온보다 $3^{\circ}C$ 승온은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그 이상 수온 상승은 저해를 주었다. 여름과 가을의 순화수온보다 높은 수온상승은 영향이 경미하였으며, 겨울에는 승온되어도 별다른 승온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으로 보아 온배수의 승온 효과는 패류의 생활사 중 겨울에는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치패기에 있어서는 순화 수온 보다 다소 높은 수온 상승도 오히려 저해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ntimelanogenesis and skin-protective activities of Panax ginseng calyx ethanol extract

  • Lee, Jeong-Oog;Kim, Eunji;Kim, Ji Hye;Hong, Yo Han;Kim, Han Gyung;Jeong, Deok;Kim, Juewon;Kim, Su Hwan;Park, Chanwoong;Seo, Dae Bang;Son, Young-Jin;Han, Sang Yun;Cho, Jae You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3호
    • /
    • pp.389-399
    • /
    • 2018
  • Backgrou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Panax ginseng have been reported in several articl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antimelanogenesis effect, skin-protective effect, and cellular mechanism of Panax ginseng, especially of P. ginseng calyx. To understand how an ethanol extract of P. ginseng berry calyx (Pg-C-EE) exerts skin-protective effects, we studied its activities in activated melanocyte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induced keratinocytes. Methods: To confirm the antimelanogenesis effect of Pg-C-EE, we analyzed melanin synthesis and secretion and messenger 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related genes. Ultraviolet B (UVB) and hydrogen peroxide ($H_2O_2$) were used to induce cell damage by ROS generation. To examine whether this damage is inhibited by Pg-C-EE, we performed cell viability assays and gene expression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 analyses. Results: Pg-C-EE inhibited melanin synthesis and secretion by blocking activator protein 1 regulatory enzymes such as p38,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s), and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Pg-C-EE also suppressed ROS generation induced by $H_2O_2$ and UVB. Treatment with Pg-C-E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hyaluronidases and increased the cell survival rat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g-C-EE may have antimelanogenesis properties and skin-protective properties through regulation of activator protein 1 and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signaling. Pg-C-EE may be used as a skin-improving agent, with moisture retention and whitening effects.

몇 가지 살충제의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의 생육 단계별 살충효과 및 방제효과 (Toxicities and Control Effect of Three Insecticides to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Aleyrodidae))

  • 하태기;황인천;김종관;송유한;김길하;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07-21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3종 (acetamiprid, acetamiprid+etofenprox, etofenprox)의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Trialeurades vaparariarum)와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 B biotype)의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를 비롯한 2 가지 농도 (ppm)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acetamiprid 단제 40ppm 처리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서 각각 45%, 42%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3령 약충에 대해서는 acetamiprid 20 ppm 농도에서도 각각 97%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의 경우 acetamiprid 20 ppm 과 acetamiprid + etofenprox(12.5+40) ppm 농도에서도 92%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acetamiprid 와 acetamiprid + etofenprox는 성충에 대해서 잔효성뿐만 아니라 침투이행 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cetamiprid와 acetamiprid+etofenprox를 추천농도로 처리시에 처리후 3일째부터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cetamiprid 와 acetamiprid + etofenprox는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 성충과 약충의 방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섬강수계 부착규조의 유입능 특성: 자연기질과 인공기질의 비교 (Relative Immigration Activity of Epilithic Diatom in Sum River : Comparison of Natural and Artificial Substrate)

  • 윤성애;김난영;변명섭;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124-133
    • /
    • 2009
  • 남한강 상류인 섬강수계의 부착규조 군집 및 출현종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천방향으로 수계 내 7개 지점을 선정하고, 자연기질과 인공기질에서 부착규조의 유입능(RIA) 및 기초환경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부착 규조 군집 종은 모든 기질에서 N. amphibia, Nav. subminuscula, C. minuta 등이 우점하였고, N. amphibia, C. minuta는 전 지점에 고르게 분포하였다. 조사기간 중 가장 높은 유입능을 보인 종은 Nav. subminuscula, C. silicula로 RIA 15 이상이었다. 모든 조사지점에서 높은 유입능을 보인 종은 복배선 형태를 보였으며, 각 기질에서 55% 이상의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비교적 높은 유입능을 보인 N. fonticola, G. quadripunctatum은 각각 주변수의 영양염(p<0.05)과 20일 동안 배양한 인공기질에(p<0.05)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섬강수계의 부착규조 유입능은 조류밀도와 영양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인공기질의 배양기간은 20일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역별 옹기에서 발효된 한국 전통간장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Fermented in Korean Earthenware, Onggi, from Different Regions)

  • 박선영;이상기;박수인;김인용;정윤화;유성률;신삼철;김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47-853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 전통간장을 각기 다른 지역별 옹기에서 숙성시키면서 변화하는 색도, protease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120일간 지역별 옹기에서 발효한 간장의 색도는 적색도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간장의 갈색도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발효 120일째 예산 옹기 간장의 갈색도가 가장 높았다. 간장의 protease 활성은 발효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강진 옹기의 간장에서 가장 높았다. 모든 지역 옹기에서 발효된 간장은 발효될수록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강진 옹기의 간장은 총 페놀 함량(16.6 mg GAE/mL), FRAP(54.3 mg AAE/m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43.6%)이 지역별 옹기 중에서 가장 높았다. 갈색도와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성은 낮으나 protease 활성과 총 페놀 함량과의 상관은 높았다(R=0.85). 120일 동안 발효된 간장의 항산화 활성, protease 활성, 갈색도, 총 페놀 함량은 지역별 옹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Chemicals Constituents from Leaves of Diospyros iturensis (Gürke) Letouzey & F. White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 Feusso, Hermann Marius Feumo;Dongmo, Jean de dieu;Djomkam, Hermine Laure Maza;Akak, Carine Mvot;Lateef, Mehreen;Ahmed, Ayaz;Azebaze, Anatole Guy Blaise;Waffo, Alain Francois Kamdem;Ali, Muhammad Shaiq;Vardamides, Juliette Catherin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311-316
    • /
    • 2020
  • The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methanolic crude extract of leaves of Diospyros iturensis gave us 15 known secondary metabolites identified as mixture of α-amyrenone (1) and β-amyrenone (2), β-amyrin (3), mixture of β-sitosterol (4) and stigmasterol (5), betulin (6), uvaol (7), betulinic acid (8), ursolic acid (9), corosolic acid (10), actinidic acid (11),11-O-p-hydroxybenzoylbergenin (12), bergenin (13) and mixture of stigmasterol glucoside (14) and β-sitosterol glucoside (15) respectively. The structures of secondary metabolites were elucidated with the help of NMR and mass spectral data and by comparison of their spectral data with literature. Among the fifteen isolated compounds, four compounds were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in Diospyros genus. These included uvaol (7), corosolic acid (10), actinidic acid (11) and 11-O-p-hydroxybenzoylbergenin (12). Crude methanolic extract of leaves and four isolated compounds including betulin (6), betulinic acid (8), 11-O-p-hydroxybenzoylbergenin (12) and bergenin (13)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two cancer cell lines CAL-27 and NCI-H460 by the MTT assay, antioxidant potentia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lipoxygenase and urease enzymes,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thanolic crude extract of leaves exhibited moderate antioxidant activity and was inactive against the two cancer cell lines. Betulin (6), 11-O-p-hydroxybenzoylbergenin (12) and bergenin (13) exhibited moderate antioxidant and lipoxygenase inhibition with IC50 = 65.8, 85.6, 82.5 μM and IC50 = 58.5, 95.2, 76.2 μM, respectively. Furthermore, 11-O-p-hydroxybenzoylbergenin (12) and bergenin (13) exhibited moderate urease inhibition activity with IC50 values of 45.6 μM and 49.8 μM, respectively.

간암 세포주 HepG2에 대한 맥문동탕(麥門冬湯) 추출물의 항암 및 항전이 효능 (Anti-carcinogenetic and Anti-metastatic Effects of Extract from Maekmoondong-tang in HepG2 Cells)

  • 전명숙;천진미;윤태숙;이아영;문병철;추병길;김성환;김호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1-167
    • /
    • 2009
  • Objectives : Maekmoondong-tang (MMDT), a Korean herbal medicine, has been used to treat severe dry cough in patients with bronchitis and pharyngitis. MMDT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immunomodulatory, secretory-modulating, and metabolic regulatory actions. However, there are no evidence in regard to the effects of MMDT on carcinogenesis and metastasis.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70% ethanol extract of MMDT on cell viability, apoptosis, and motility in human hepatocarcinoma HepG2 cells. Methods :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CCK-8 assay, and the apoptosis induction was evaluated by caspase-3 activity. To detect apoptotic features, the cells treated with MMDT were stained with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Cell motility was examined by Boyden chamber assay and Real-time Cell Index of Migration assay. Gelatin zymography also performed to measur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9 activity. Results : We found that MMDT significantly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and increased caspase-3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epG2 cells. Apoptotic features such as chromatin condensation and apoptotic bodies were observed in MMDT-treated cells by DAPI staining. MMDT also suppressed PMA-induced cell motility and activities of MMP-2/9. Conclusions : Our results exhibited that MMDT possess the anti-carcinogenetic and anti-metastatic activities via caspase-3 activation and down-regulation of cell motility and invasion in HepG2 cell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MDT could be potentially applied to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Streptococcus dysgalactiae로부터 분리된 히알루론산과 황화된 유도체의 구조와 항염증 활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hemically Sulfated-hyaluronic Acid from Streptococcus dysgalactiae)

  • 홍창일;정의길;한국일;김용현;이성희;이홍섭;한만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45-554
    • /
    • 2016
  • 히알루론산(HA, Hyaluronic acid)은 β-1, 3-N-acetyl glucosamine과 β-1, 4-glucuronic acid가 반복된 선형 폴리머 고분자로서 생물학적 활성 및 생체친화성 특성 때문에 의약 및 약학분야에서 중요한 분자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HA을 S. dysgalactiae으로 얻고, 화학적 방법을 통해 황화된 히알루론산(S-HA, Sulfated hyaluronic acid) 유도체를 합성하여 그 구조와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였다. HA의 생산은 S. dysgalactiae를 5 l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대량 배양하여 수용성 히알루론산(HA-WS, water soluble hyaluronic acid)과 비수용성 히알루론산(HA-WI, water insoluble hyaluronic acid)을 분리 정제하였다. 특히 HA-WI를 황화시켜 황화된 히알루론산(S-HA) 유도체를 합성하였으며, 그 수율은 90%로 나타났다. 합성된 S-HA의 구조를 FT-IR 및 1H/13C-NMR를 통해 S. dysgalactiae로부터 생산된 표준 HA, HA-WS 및 HA-WI와 비교 분석한 결과, 황으로 치환된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S-HA 의 항염증 활성을 RAW 264.7 대식세포를 통해 확인한 결과, S-HA는 천연 형태의 HA (HA, HA-WS)보다 nitric oxide (NO)와 COX-2 및 PGE2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낮게 발현되었다. 염증 매개 cytokine인 TNF-α (<80 pg/ml) 및 IL-6 (<100 pg/ml)의 생성도 S-HA가 천연 HA보다 낮은 수준으로 정량되었다. 이 같은 결과에서 황화된 S-HA은 천연 히알루론산보다 용해성이 우수하고 염증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치료제, 성형 및 생체 적용 약물전달 소재로 그 활용이 기대된다.

흰쥐 간조직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목초액의 영향 (Effect of Pyroligneous Liquor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Liver of CD Rats)

  • 최진호;조원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11-117
    • /
    • 2007
  • 시판 목초액 A (원액 35%)을 사용하여 음용수에 0%, 1.0%, 25.0%, 50.0%, 75.0%가 되도록 조제한 다음, CD계 수컷 흰쥐 (150 ${\pm}$ 10 g)에 2개월 동안 조제사료와 함께 자유 음용케 하여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로서 수퍼옥시드 라디칼(O$_{2}\;^-$), 히디록시 라디칼, 과산화수소 및 제거효소로서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SOD),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GPx) 및 카탈라아제 (CAT)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 획분에서는 O$_{2}\;^-$의 생성량은 대조군 대비 12${\sim}$14%의 O$_{2}\;^-$의 생성량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각각 11.0${\sim}$15.0의 O$_{2}\;^-$의 생성량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간조직 미토콘드리아획분에서 ${\cdot}$OH 생성량이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에서 대조군 대비 12${\sim}$20%의 ${\cdot}$OH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7${\sim}$20%의 ${\cdot}$OH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2${\sim}$15%의 유의적인 H$_{2}$O$_{2}$의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20${\sim}$22%의 상당히 유의적인 H$_{2}$O$_{2}$의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Mn-SOD 활성은 대조군 대비 15${\sim}$25%나 유의적인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고, 간조직의 Cu/Zn-SOD 활성은 대조군 대비 11${\sim}$16%의 유의적인 SOD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획분의 GPx 활성은 대조군 대비 10${\sim}$17%의 GPx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의 GPx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트콘드리아획분의 CAT 활성은 대조군 대비 12${\sim}$14%의 유의적인 CAT 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시토졸 1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5${\sim}$27%의 CAT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의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방어시스템으로서 활성산소 제거효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이한 정렬에 따른 비교 분자장 분석(CoMFA)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2-Alkoxyphenyl-3-phenylthioisoindoline-1-one 유도체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3차원적인 정량적 구조와 활성과의 관계 (Three Dimensional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n the Fungicidal Activities of New Novel 2-Alkoxyphenyl-3-phenylthioisoindoline-1-one Derivatives Using the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es (CoMFA) Methodology Based on the Different Alignment Approaches)

  • 성낙도;윤태용;송종환;정훈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82-88
    • /
    • 2005
  • 새로운 2-alkoxyphenyl-3-phenylthioisoindoline-1-one 유도체(A & B)들의 치환기 변화에 따른 저항성(RPC; 95CC7303)과 감수성(SPC; 95CC7105) 고추역병 균주(Phyto pthora capsici)들의 살균활성에 대한 3차원적인 정량적 구조-활성관계(3D-QSAR)를 비교 분자장 분석(CoMFA)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정렬방법에 따라 field fit(FF) 보다는 atom based fit(AF) 정렬시에 양호한(AF>FF) 모델, A3 및 A7을 얻을 수 있었다. AF 정렬시, 부가적 설명인자로서 HOMO 및 LUMO 분자 궤도장이 추가된 H-bond와 standard field에서 유도된 균주별 두 모델의 cross-validated $r^2\;_{cv.}$$(q^2=0.625{\sim}0.834)$과 non cross-validated 값$(r^2_{ncv.}=0.894{\sim}0.915)$에 근거하여 SPC 균주의 살균활성에 대한 모델, A7이 RPC 균주의 살균활성에 대한 모델, A3보다 양호한 예측성(q2)을 나타내었다. 두 균주에 대한 살균활성은 분자의 입체장$(66.8{\sim}82.8%)$, 정전기장$(10.3{\sim}4.6%)$ 그리고 분자 궤도장(SPC: HOMO, 12.6% 및 RPC: LUMO, 22.9%)이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었다. 두 균주에 대한 선택성은 N-phenyl 고리상 ortho, meta-위치의 양하전과 S-phenyl 고리상 치환기의 친수성의 크기에 의존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