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bor welfare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25초

사회복지노동조합에 대한 인식 및 참여요인 분석 : 사회복지종사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ognizance about and Participation Factors of the Social Welfare labor Union : Centering around Social Welfare Workers)

  • 채구묵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65-97
    • /
    • 2003
  • 본 논문은 사회복지노동조합에 대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인식상태를 파악해 보고, 노동조합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본 후, 노동조합의 성공적 조직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들을 탐색해 보았다. 노동조합에 대한 인식상태 분석결과, 대다수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은 사죄복지노동조합 결성과 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조직화에 대해서는 노동조합과 전문가조직을 함께 구성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절대다수였고, 노동조합 설립을 위한 전략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의식제고, 노동조합 결성추진을 위한 기초조직 구성, 복지대상자 및 시민의 지지를 이끌어낼 개혁대안 마련 순으로 나타났다. 참여요인 분석결과, 분석모델내 독립변인 중에서는 행동에 대한 태도(긍정), 주관적 규범(준거인), 주관적 규범(사회성원들), 지각된 행동통제가 높을수록, 일반적 특성에서는 남성, 낮은 직위, 낮은 악력, 이용시설 종사자일수록, 근무환경적 특성에서는 시설운영의 민주성 전문성이 낮을수록, 근무시간이 길수록 노동조합 참여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조합의 성공적 조직화를 위한 과제로, 첫째 사회복지종사자들로 하여금 노동조합 참여가 본인들에게 긍정적 결과를 가져다 준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활동을 전개하고, 둘째 사회복지종사자들의 노동조합 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변사람들로 하여금 노동조합 참여를 지지하도록 전략을 추진하며, 셋째 사회복지노동의 윤리성 전문성 비생산적 특성이 노동조합 결성과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는 인식을 사회성원들이 가질 수 있도록 활동을 전개하고, 넷째 사회복지종사자가 본인의 의지에 의해 노동조합 가입이 자유스러울 수 있도록 조직환경을 조성하며, 다섯째 사회복지종사자, 사회복지대상자 및 시민의 지지를 이끌어 낼 정책대안을 개발하여 활동을 전개하고, 여섯째 사회복지노동조합 업무를 능률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반조직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 PDF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abor Entry of Conditional Welfare Recipients : An Exploration of the Predictors)

  • 김교성;강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5-3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조건부수급자 가운데 취업 및 창업 등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성공한 대상자들의 특성은 무엇이고,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여부와 경제적 자활 진입까지의 기대자활사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1년 1월부터 12월까지 서울지역 고용안정센타의 자활지원사업에 의뢰된 2,508개의 사례 중 실질적으로 자활지원사업에 참여한 총 917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원자료의 결측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ultiple imputa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지원사업에 참여한 취업대상자 가운데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성공한 대상자는 전체 대상자의 43.8%에 불과하여, 자활지원사업의 참여에 따른 인센티브를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둘째, 취업대상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여부와 기대기간에는 그들의 건강상태와 심리적인 측면의 자활의지가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조건부수급자들의 경제적 자활로의 이행을 성공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인적자본 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대상자들의 건강상태를 개선하거나 지속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야 할 것이며, 상담사업이나 사례관리를 통해 그들의 취업욕구를 증진시키거나 유지시키기 위한 노력도 절실하게 필요하다.

  • PDF

외환위기 전.후 노동력 유연화와 한국 기업복지제도의 변화 (How Did labor Flexibility Affect Occupational Welfare Provision in Korea?)

  • 이수연;노연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143-166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복지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존 연구들(1990년대 초 중반)의 전망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외환위기를 전 후로 한 노동력 유연화의 결과 기업복지는 축소되었으며 비용통제가 가능하고 비용효율적인 선택적 복리후생제도의 도입, 고정비용적이기보다는 성과배분적인 사내근로복지기금출연금의 성장과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기존 연구결과에 따르면 복지국가 위기 이후 국가복지 축소/기업복지 확대의 경로를 보인 국가들도 있지만 국가복지확대/기업복지 축소의 경로를 보인 국가들도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복지확대/기업복지 축소의 한 경험적 사례로 제시될 수 있다.

  • PDF

교육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for Educational Welfare Workers: Mediative Effect of Job Stress)

  • 최경일;송경순;서동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497-504
    • /
    • 2020
  • 본 연구는 취약계층의 학생에게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복지사가 인식하는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내 초·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육복지사 117명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SPSS 21.0 version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복지사의 감정노동은 소진과 직무 스트레스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의 측면에서 소진을 예방하고 경감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실업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ctive Labor Market Policy and Unemployment : An Analysis Using Fuller-Battese Model)

  • 강철희;김교성;김영범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5권
    • /
    • pp.7-39
    • /
    • 2001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active labor market policy on the unemployment rates in 8 welfare states.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major predictors of the changes in unemployment rates?; and what is the effect of active labor market policy in reducing unemployment rates? Using the data from Comparative Welfare States Data Set by Stephens (1997), Key Indicators of the Labour Market by ILO (1999) an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by OECD (1999),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Fuller-Battese model, a data analysis method in pooled cross-sectional time-series analysis, is adopted to identify variables predicting changes in unemployment rates. This paper analyzes the predictors by using 3 analysis models about 2 types of unemployment (overall unemployment and long term unemployment). Results are as follows: (1) economic variable such as changes in GDP has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unemployment rates; (2) active labor market policy has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unemployment rates as well; (3) job brokering service among 3 major active labor market programs has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unemployment rates; and (4)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unemployment benefit level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y in reducing unemployment rat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provides valuable knowledge about effects of active labor market policy on unemployment in 8 welfare states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y in Korea.

  • PDF

노동시장정책의 확대는 복지국가 재정위기 해소에 유효한가? - 소극적·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상호작용 효과 (Is Increasing of Labor Market Policy Expenditure Effective Policy Tool to Lessen the Fiscal Crisis in Welfare State? : The Interaction between Active and Passive Labor Market Policy)

  • 배은총;고혜진;조효진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4호
    • /
    • pp.185-222
    • /
    • 2017
  • 본 연구는 복지국가의 재정건전성 담보에 노동시장정책 확충이 기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인 분석은 20개 OECD 국가들의 1985년부터 2015년까지의 자료를 토대로 결합시계열 회귀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단계적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의 강건성 확인을 위해 시스템 동적패널분석을 추가 수행하였다. 분석모형을 설정함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두 측면, 노동시장정책 성과들 간의 선후 관계와 노동시장정책의 상호작용 효과를 반영하였다. 분석결과 노동시장정책은 복지국가의 부채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때,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은 고용률을 매개하여 국가 부채 수준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소극적 노동시장정책은 고용률 제고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단기적으로는 국가 부채 부담을 늘리는 경향도 있다. 다만, 이것의 영향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결부되면 부적 영향이 상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단기적으로 노동시장정책 지출 확대로 재정수지가 악화될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이는 고용률 제고 효과를 통해 복지국가의 재정건전성을 담보하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A Quantitative Trade Model with Unemployment

  • Lee, Kyu Yub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3권1호
    • /
    • pp.27-53
    • /
    • 2019
  • I employ search-and-matching to a multi-country and multi-sector Ricardian model with input-output linkages, trade in intermediate goods, and sectoral heterogeneity, in order to quantify the welfare effects from tariff changes. The paper shows that labor market frictions can be a source of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sense that better labor market conditions contribute to lower cost in production. Labor market frictions play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the probability of exporting goods to trading partners, and interact with bilateral trade share, price, expenditures, etc. Unemployment and changes in unemployment rates due to tariff reductions contribute welfare changes across countries, implying that welfare effects based on quantitative trade models with full-employment are likely to be biased. I confirm the biased welfare effects by revisiting Caliendo and Parro (2015), who conduct an analysis of the welfare effects from the NAFTA from 1993 to 2005. I show that the welfare gap between theirs and min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anges in observed unemployment rates across countries. With the constructed model, I further conduct counterfactual exercises by asking what would happen if China's tariffs remain unchanged from 2006 to 2015. It turns out that there are mild welfare effects to trading partners in the world trading system.

A New Index of Abdominal Obesity which Effectively Predicts Risk of Colon Tumor Development in Female Japanese

  • Kaneko, Rena;Nakazaki, Natsuko;Tagawa, Teppei;Ohishi, Chitose;Kusayanagi, Satoshi;Kim, Miniru;Baba, Toshiyuki;Ogawa, Masazumi;Sato, Yuzur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1005-1010
    • /
    • 2014
  • Background: A relation between abdominal obesity and colorectal tumor development has been reported repeatedly, and is believed to be more remarkable in man than in women. However, the details vary depending on scientific reports. This may be due at least partly to the selected surface anthropometric index in addition to the influence of gender and ethnic groups. To cope with this, we considered a new index of abdominal obesity and evaluated its risk prediction potential. Materials and Methods: Six hundred ninety five Japanese (262 women and 433 men) who had a colonoscopy were studied. The new index was named as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index (WHI) and was calculated by the formula of waist circumference (cm)/height (m)/height (m). Biochemical and lifestyle factors were investigated preceding the colonoscop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for Windows. Results: Increase of WHI was associated with altered metabolism of carbohydrate and lipid in both women and men. WHI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olon tumor of women, while not with that of me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for stratified age groups (45-54, 55-64 and 65-74 years) showed that WHI significantly increased odds ratio to 1.31 (CI 1.05-1.64 p=0.01) in women of 55-65 years. In contrast, in men this index WHI reduced the odds ratio insignificantly, while low density lipoprotein and triglycerid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dds ratio to 1.01 (CI 1.00-1.03 p=0.02) in the 55-65 year group and to 1.02 (CI 1.00-1.03 p=0.02) in the 45-55 year group. Conclusions: In Japanese the risk factors for colon tumor development are different between women and men. WHI is a simple and efficient predictor of colon tumor risk in Japanese women and may be used to select those who should have colonoscopy.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Kim, Ahsung;Im, Geumok;Jung, Huig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71-1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workers' understanding of emotional labor and prevention of psychological exhaus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analyzed the effects of the levels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which are components of emotional labor in social welf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 on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lack of sense of personal accomplishment which are component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I empirically analyzed how emotional labor affects psychological exhaustion, when superior support and fellow support as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play a role as moderating variable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motional labor affect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social support plays a moderating role.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Social Welfare Agency)

  • 황송자;안관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9-7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and superior support in social welfare agency. In order to verify and achieve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questionnair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sed from 349 employees of social welfare agency in western Kangwon-do province. Empirical surve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ep action(DA) appeared to be negatively related with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Second, surface action(SA)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all job burnout factors(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Third, peer support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DA, SA) and emotional exhaustion. Fourth, superior support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on(DA) and emotional exhau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