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wome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5초

조기 정년퇴직자의 정신. 육체. 행위적 경향연구 (A Cohort Study of Mental, Physical and Behavioral Impacts of Early(at Age 55) Compulsory Retirement in Korea)

  • Duk-Sung Kim;Sae-Kwon Kong;Kong-Kyun Ro
    • 한국인구학
    • /
    • 제11권1호
    • /
    • pp.204-229
    • /
    • 1988
  • 본 논문은 우리나라 청소년 인구의 장기적 경제활동참여율 변동추이와 고용(실업)구조에 있어서의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청소년층의 경제활동참여와 취업은 학교교육의 이수, 군복무, 결혼·출산을 통한 자신의 가족형성 등 일련의 생애전이과정(life-course transitin)과의 긴밀한 연계속에서 이루어지며 따라서 집단적으로는 연령단계에 따라서 큰 변화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지난 20여년간(1980년대-1990대) 청소년층의 연령단계별 경제활동참여 및 취업률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살펴본다. 청소년기에는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진입과정(school-to-work transition)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층의 경제활동참여율 및 취업률은 무엇보다 동 연령집단의 취학률 및 진학률의 변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되는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여년간 우리나라 청소년층의 고등학교 및 대학진학률은 지속적이고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변화가 그들의 경제활동참여율 및 고용구조에 있어서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살펴본다. 1980년대 초반이후 우리나라 학교교육체제에 있어서의 변화가 청소년층의 취업구조에 미친 가장 주요한 영향 중의 하나는 높은 대학진학률에 따른 청소년 노동력의 고학력화와 그에 따른 고(高)실업의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구조적 요인과 고실업을 낳는 노동시장에 있어서의 불평등한 기회구조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증거들을 제시한다.

  • PDF

우리나라 유배우부인의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uced Abortion Behavior of Currently Married Women in Korea)

  • 오영희
    • 한국인구학
    • /
    • 제9권2호
    • /
    • pp.42-52
    • /
    • 1986
  • An attempt had been made to obtain current information on induced abortion among currently married women aged 15 to 44. The source of data was 1985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Planning Surve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in may 1985. 1. At the time of the survey, 53 percent of currently married women aged 15 to 44 had experienced induced abortion: 25.5 percent of the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induced abortion only one time and another 27.6 percent more than two times. 2. The proportion of women who had experienced induced abortion seeme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advance in age. It see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rate of induced abortion by academic career, and there was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rate of induced abortion and the age at first marriage. The experience rate if induced abortion by the number of living children was highest among those who had three children as 65.6 percent. 3. To analyze the effect of induced abortion on fertility,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statistical technique. Instead of index representing fertility level the number of living children served as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analysis included age, age at first marriage, education level, ideal number of children, religion, frequency of induced abortion, total number of pregnancies and participation in labor force. Standardized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 of induced abortion was no less than -0.61. So, it can be concluded that induced abortion offered the great contribution on the birth control. A consistant health educ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family planning program would be essential for effectiveness of contraceptive practice.

  • PDF

패널분석을 이용한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Factors Influencing on Total Fertility Rate using Panel Analysis)

  • 최은희;조택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9-70
    • /
    • 2016
  • 본 연구는 출산율 제고를 위한 지자체별 강조할 정책을 파악하고자 시도별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05~2014년까지의 지자체별 보육시설수, 육아휴직급여, 여성고용률, 여성총근로시간 - 을 패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05~2014년 패널분석에서는 고정효과모형이 가장 타당한 모형으로 검증되었으며, 육아휴직급여는 정적인 영향을, 보육시설수와 여성총근로시간은 합계출산율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실시 이전과 실시 기간별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보육시설수는 지속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자체별로 볼 때, 부산/대구/광주는 보육시설수(-), 육아휴직급여(+), 울산/충북/전남은 육아휴직급여(+), 제주는 여성총근로시간(-)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지역은 유의미한 변수가 없었다. 본 연구는 지자체별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차이가 있으며 그 중심에 보육시설수와 육아휴직급여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에 의미가 있다.

초저출산은 지속될 것인가? (Is Lowest-Low Fertility going to Continue in Korea?)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33권2호
    • /
    • pp.113-136
    • /
    • 2010
  • 초저출산에 관한 논의는 장래 인구추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초저출산 추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이 가능하다. 첫째, 초저출산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인가 혹은 가까운 장래에 사라질 일시적인 현상인가 하는 질문이다. 둘째, 현재의 초저출산은 가장 낮은 수준에 이르렀는지 혹은 앞으로도 더욱 감소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이다. 셋째, 초저출산 현상은 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지 혹은 남부 및 동부 유럽과 같은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들과 연계된 이슈들은 장래의 인구학적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앞에서 제기한 질문들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초저출산 추세는 일시적인 추세가 아니라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혼인연령과 출산력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역시 초저출산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한다. 둘째, 초저출산의 수준에 관한 것으로 앞으로 출산수준이 더 낮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최근 초저출산을 가져온 다양한 요인들이 개선되지 않거나 초저출산 추이를 막기 위한 정책이 미흡하면 현재보다 더 낮은 출산 수준이 나타날 가능성은 높기 때문이다. 셋째, 유럽의 경우와 다르게 한국, 타이완, 홍콩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초저출산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아마도 자녀양육 및 교육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높은 교육비 부담과 육아부담을 줄이는 정책적 고려 없이 출산율이 회복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난망 하다는 지적에 주목해야 한다.

A Comparison between the Second Korean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and the First KWCS

  • Kim, Young Sun;Park, Jungsun;Rhee, Kyung Yong;Kim, Hye Mi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2호
    • /
    • pp.85-89
    • /
    • 2015
  • Background: The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hanges in working condition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conditions in 2006 and 2010. Methods: We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ata related to the first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and the second KWCS in the categori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quality of labor, exposure to hazards, and health problems. Results: From our analysi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 saw an increase in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women and elderly people.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with regards to working hours, the ratio of employees who worked for ${\geq}49$ hours per week was decreased and the ratio of employees who worked for ${\geq}40h/wk$ increased. As for exposure to hazards, exposure to tobacco smoke notably decreased in 2010 compared with 2006. With regards to health problems, there was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complained of muscle pain in their arms and legs. Conclusion: KWCS data included many aspects of working conditions as a nationwide sample. In addition, because this is a periodic nationwide survey, the labor force, working hours, harmful factor exposure, and the change in health problem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could be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comparing the main results of the first survey conducted in 2006 and the second survey conducted in 2010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base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olicy.

성별 격차가 경제구조 고도화 및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Gender Gap on Economic Structural Improvement and Economic Growth)

  • Kim, Sangyoon;Seo, Jonggo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99-510
    • /
    • 2017
  • 본 연구는 세계경제포럼에서 매년 발간하는 "The Global Gender Gap Report"의 전 세계 145개 국가를 대상으로 젠더 갭의 요인을 살펴보고 소득성장과 경제구조 고도화와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젠더 갭의 요인 중 성비는 소득성장의 지표인 GNI 성장률과 경제구조 고도화의 지표인 ICT 개발지수에 정(+)의 관계를 보였고, 여성문맹률은 소득성장에만 유의미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여성국회의원비율은 소득성장에만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고, 여성노동참여율은 경제구조 고도화에만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 분석 결과를 통해 여러 국가들은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여성노동에 대해 고민하며 대응하기 위한 제도 및 정책을 바탕으로 한 전략수립의 과제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혼인율 특성, 변화요인 분석과 가족정책 제언 (A Critical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the Changes in Marriage Rates and Recommendations for Family Policy)

  • 정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6호
    • /
    • pp.177-193
    • /
    • 2006
  • This study analyzes marriage and fertility rates in Korea and makes recommendations for family policy. Based on the 'The Report of Marriage & Divorce Statistics in 2005' and data from the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KOSIS) of the National Statistics Organization, the trends, reasons for marriage rates changes, and future expectations were critically review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fertility rates was analyzed. The principle characteristics of marriage rates are as follows: 1) the M-shape of the longitudinal crude marriage rates; 2) the increased age of individuals entering their the first marriage; 3) the increase in remarriage rates; 4) the changes in the patterns of remarriage; 5) the increased in the age at which individuals remarry and; 6) the increase in marriage to non-Koreans. The marriage and fertility rates changes are a permanent normative shift because of 1) later marriage because of women's increased education and labor force participation 2) rational choices about birth control 3) reduced population because of the aging of baby boomers 4) structural changes in the marriage market and 5) egalitarian changes in women's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family. The recommendations for future family policy were as follows: 1) the need for a realistic, long-term family policy because the current marriage patterns will continue; 2) the need to develop new statistics such as fertility rates that are based on marriage cohort or birth cohort because family behavior is a mixture of personal, social and political responses; 3) the need for impact analysis of current family policy about increasing fertility rates; 4) the need for a new family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diverse marriage and family patterns; 5) the need to focus on men's role in families because of women's changing roles and family interaction patterns and; 6) the need for preventive family policies such as family life education.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역별 출산율 차이 요인 분석 (Analysis of Regional Fertility Gap Factors Using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 이동우;김미경;윤정윤;류동원;송재욱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1-50
    • /
    • 2024
  • Korea is facing a significant problem with historically low fertility rates, which is becoming a major social issue affecting the economy, labor force, and national security.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gional gap in fertility rates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are implementing a range of policies to address the issue of low fertility. To establish an effective strategy,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primary factors that contribute to regional disparities. This study identifies these factors and explores policy implications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udy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media and public opinion on childbirth in Korea by incorporating news and online community sentiment, as well as sentiment fear indice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fertility rates and factors, the study employs four machine learning models: multiple linear regression, XGBoost,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Regression. Support Vector Regression, XGBoost, and Random Forest significantly outperform linear regress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machine learning models in explaining non-linear relationships with numerous variables. A factor analysis using SHAP is then conducted. The unemployment rate,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per Capita,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Number of Crimes Committed, Average Age of First Marriage,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significantly impact regional fertility rates. However, the degree of impact of the factors affecting fertility may vary by region, suggesting the need for polic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not just an overall ranking of factors.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출산율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일과 가정 양립을 중심으로- (The Empirical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WLFP and Fertility -Focusing on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 김상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08-5513
    • /
    • 2013
  • 본 연구는 인구주택총조사 자료(1985~2010년)를 이용하여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985년을 제외한 1990, 2000, 2005, 2010년에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는 여성의 총 출생아 수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효과의 크기는 1990년부터 점차 커져 2005년에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2010년에는 2005년 대비 그 크기가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의 효과는 일부 정부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에 따른 효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부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지원 정책의 확대와 정책 사각지대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현재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한 수혜율(take-up rate)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for Enhancing the Job Engagement of the Married Female Social Worker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 송유미;이선자;이제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317-340
    • /
    • 2013
  • 본 논문은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 간에 일-가정 갈등이 가진 매개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의 바람직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는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일-가정 갈등을 매개로 직무열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일-가정 갈등이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와 직무열의 간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가정 갈등을 경감시키고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 좋은 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의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과 가정의 조화를 중시하는 가치를 공유하는 수준을 넘어, 조직 내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탄력근무제와 직무표준화, 성과관리제 그리고 인사시스템 등을 갖추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