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food pattern index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1초

대도시 일부 여대학생들의 식이섭취행태, 체성분 및 골밀도와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Food Intake PatternBody ComponentBMD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of College Women)

  • 정영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47-15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양상태평가를 위해 먼저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하여 이들의 식이섭취행태를 영양소 단위에서 분석하고, 두 번째로 체성분 및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구강검진을 시행하여 여대생들의 전반적인 식이섭취행태, 체성분 및 골밀도와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지역적 편차와 지리적 접근이 용이한 부산광역시 소재 D대학 치위생과 재학생 150명을 연구모 집단으로 선정하여 2009년 10월 10일 1차 조사를 시행하여 자발적으로 연구참여에 동의한 150명중 자료처리에 부적합한 18명을 제외한 132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총 섭취에너지는 평균 $1921.230{\pm}236.865kcal$였고, 나트륨 섭취는 $4433.026{\pm}1970.72mg$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체형은 $2.98{\pm}0.99$점으로 표준체형(3점)이었으며, T-score는 평균 $-1.110{\pm}1.647$로 대부분의 학생이 약간의 골감소증(T-Score -1 ~ -2.5이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평균 $6.03{\pm}1.95$개로 나타났다. 2. 분석결과 대상자의 1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과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상관관계 검정에서 1일 평균 섭취에너지, 영양소 모두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분석결과 대상자의 체성분과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상관관계 검정에서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분석결과 대상자의 골밀도와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상관관계 검정에서 SOS, BQI에서 우식경험영구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pm}0.2$미만으로 아주 미약하게 나타났다(p<0.05). 5. 독립변수들의 유의성 검증결과 T-score(p<0.05)가 ${\alpha}=0.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우식경험영구치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대생들의 영양상태 및 체성분은 치아우식증과 유의한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골밀도척도인 SOS, BQI에서는 미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T-score는 우식경험영구치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조사에서 연구대상자의 수를 확대시키고 구강관리행태와 사회경제적 요인을 보정하여 연령별 영양상태, 체성분 및 골밀도과 치아우식증간의 관련성을 구명할 수 있는 자료를 더 많이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식사의 질 평가 연구 (An Assessment of diet quality in the Postmenopausal Women)

  • 최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3호
    • /
    • pp.304-313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diet quality in the postmenopausal women. The data of dietary intakes were obtained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which were collected from 151 postmenopausal women in urban area. We evaluated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Diet quality was assessed by NAR(nutrient adequacy ratio), FGIP(food group intake pattern), DDS(dietary diversity score), DVS(dietary variety score), FGS(food group score), DQI(diet quality index).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were close to Korean RDA. Nutrient composition of the diet(in percentage of total energy) was 64% carbohydrate, 15% protein, and 19% protein, and 19% total fat, that was close to 65 : 15 : 20. NAR of most nutrients, except vitamin A, E, were higher than 0.75 and MAR was 0.88. NAR and MAR of the subjects in theis stud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ubjects of rural area in other studies. The subjects who consumed the five food groups were 60.9%. The mean of DDS was 4.5. The subjects who consumed more than 61 dish items during a month were 61.5%. The mean of DVS was 62.4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lder age group. 67.6% of the subjects were below FGS of 12. The mean of FGS was 10.6 and few subjects consumed serving numbers of each food groups which were recommended for Koreans. 55.0% of the subjects were DQI scores of 0, 1, and 2. The mean of DQI was 2.3 and few subjects followed the five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 PDF

3가지 약용 허브 추출물에 함유된 유기산 검색 및 조성 비교 (The Screening and Pattern Comparison of Organic Acids in 3 Kinds of Medicinal Herbal Extracts)

  • 정하열;정도현;박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997-1001
    • /
    • 2000
  •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profiling과 신속한 동정을 허브류에 존재하는 유기산의 분석에 적용하여 보았다. 흡착제로 Chromosorb P와 용출 용매로 diethyl ether를 사용하는 고체상 추출법을 이용하여 허브추출물로부터 유기산을 분리한 후, tert-butyldimethylsilyl 유도체로 만들어 극성이 다른 DB-5와 DB-17 컬럼으로 동시분석하였다. 두 컬럼에서 분리된 유기산 피크들을 dual capillary column system의 retention index(RI) library 탐색과 RI specta 비교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었으며 이들을 GC-MS로 확인하였다. 허브추출물들의 유기산 분석 결과 fatty acid, dioic acid, hydroxy acid, aromatic acid등 24가지의 유기산이 동정되었고 각 허브의 종류에 따라 특징적인 유기산 GC-profile을 나타내었다. 각 허브추출물의 GC profile의 유기산 조성만을 단순화시킨 RI spectra로 표현한 결과, 각 허브의 유기산 패턴의 분별이 매우 용이하였다.

  • PDF

Effects of Amylose Contents and Degree of Gelatinization of Rice Flour on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 Park, Ji Eun;Bae, In Young;Oh, Im Kyung;Lee, Hyeon Gyu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41-350
    • /
    • 2017
  • The relationship of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and gel strength was investigated at various concentrations (10-30%) of rice cultivar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27.9, 17.9, and 5.2%). As the rice flour concentration increased, predicted glycemic index decreased, but gel strength increased regardless of amylose contents. Gel strength correlated strongly with amylose content, whereas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was more highly affected by rice flour concentration than by amylose contents. Moreover, the impact of degree of gelatinization on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of high amylose rice was also examined in terms of structural features and rheological properties. The digestion rate of fully gelatinized flour was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native flour, while the disrupted structure with a different gelatinization degree during starch digestion was visually demonstrated through the X-ray diffraction and molecular distribution analysis. The rice flour changed from an A-type to a V-type pattern and showed difference in crystalline melting. The l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degree of gelatinization during starch digestion. The apparent viscosity also increased with degree of gelatiniz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tarch digestibility of rice was more affected by concentration than by amylose content, as well as by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due to structural difference.

Listeria spp.의 RAPD typing을 위한 Primer의 분리력 비교 (Primers for typing Listeria spp.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임형근;홍종해;박경진;최원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7-72
    • /
    • 2003
  • RAPD 분석은 한 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임의의 DNA 조각을 증폭하는 것이다. 이때 만들어지는 여러 형태의 DNA pattern을 이용하여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를 분류할 수 있다. 리스테리아균들을 효과적으로 RAPD typing 할 수 있는 primer들을 엄선하기 위하여 리스테리아 표준균주 13종을 대상으로 총 31가지 primer들의 RAPD 분리력을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는 재현성이 높았으며 이중 6가지 primer(primer 6, HLWL74, UBC155, UBC127, Lis5, Lis11)가 discrimination index, band의 숫자, band scoring의 난이도 등을 고려해 볼 때 나머지 primer 들에 비해 우수한 분리력을 보였다. 이들 primer들은 장차 리스테리아의 RAPD typing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이들을 이용하여 돈육공장의 오염원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식물성 유지내 유리 지방산의 신속한 스크리닝 (Rapid Gas Chromatographic Screening of Vegetable Oils for Free Fatty Acids)

  • 김정한;김경례;채정영;오창환;박형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3-378
    • /
    • 1993
  • 식물성 유지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과 유기산들을 고상추출법으로 분리 농축하여 안정하고 휘발성이 큰 TBDMS 유도체로 전환한 후 GC와 GC-MS로 분석하였다. 고상 추출하기 전 유지를 dichloromethane에 용해시키고 $NaHCO_3$, 포화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방법이 지방만 회수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TBDMS 유도체화하기 전 유기산들을 triethylammonium염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미량의 휘발성 유기산의 손실을 막을 수 있었다. 대두유, 미강유. 참기름, 들기름 등을 분석한 결과 탄소수가 많은 유리지방산들이 주로 동정되었으며 정제하지 않은 참기름에서는 탄소수가 홀수인 지방산들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산들이 확인되었다. 아직 보고된 바 없는 아라키드산과 vanillic acid를 각각 들기름과 참기름에서 발견하였으며 참기름에 존재하는 유리상태의 올레산에 대한 리놀레산의 양적비율은 $1.02{\sim}1.18$로 문헌에 보고된 전체지방산 중의 함량비율인 1.19와 상당히 유사했다. 유리상태로서의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함량비는 참기름의 adulteration 여부를 판정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지의 유기산 조성을 단순화된 막대그래프 형태의 RI spectra로 표현한 결과 각 유지의 패턴분별이 매우 용이했다.

  • PDF

고 나트륨 섭취 노인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품섭취패턴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 장자영;김미정;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62-1372
    • /
    • 2009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고나트륨 섭취군을 분류하여 노인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을 조사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135명의 조사대상자 중 42.96%인 58명이고나트륨 섭취군에 속하였다. 생활습관에서 음주, 간식횟수, 외식횟수, 수분섭취량에서 고나트륨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반류, 젓갈류, 장아찌, 조림류, 국물 섭취량, 간장과 소금의 추가량에 관한 식습관 점수가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나트륨 섭취군의 나트륨에 관한 영양지식 총점이 남녀노인 모두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남자노인은 나트륨과 인스턴트식품, 나트륨과 인공조미료에 관한 문항에서, 여자노인은 나트륨과 질병과의 관계, 나트륨 섭취권장량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Na index 14의 김치찌개, 된장찌개, 미역국, 멸치볶음에서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인스턴트식품을 통한 총 나트륨 섭취량은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남자노인 1562.49 mg, 여자노인 1227.82 mg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면류를 통한 섭취량이 70% 이상이었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Na index 14 점수(p<0.05), 인스턴트식품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p<0.01), 나트륨 섭취 관련 식습관 점수가 낮았다. Na index 14 점수에 대해 세끼 식사의 규칙성, 식사량의 적정성, 천천히 식사함(p<0.01) 항목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Na index 14 점수가 높을수록 인스턴트 국류(p<0.01), 탕류(p<0.01), 죽류(p<0.01), 스프류(p<0.01), 면류(p<0.01), 레토르트류(p<0.01)의 섭취가 높았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나트륨 과잉 섭취 노인의 특성 및 섭취요인을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고나트륨 섭취군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행동변화에 중점을 두는 영양교육이 요구되어지는 바이다.

서울지역에 사는 유아의 식습관, 영양소 섭취와 영양소 질적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ood Habits, Nutrient Intakes and Nutritional Quality of Preschool Children in Seoul)

  • 강금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71-48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habits, nutrients intakes and nutritional quality of the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Seoul. The study was performed by analyzing a questionnaire answered by the mothers of 233 subjects aged 2 to 6 years old. A three-day dietary intakes survey, using a 24 hour recall method was used by both the mothers and teachers of the children in day care centers. Twenty eight, 65.9 and $21.8\%$ of preschool children were underweight, normal and overweight or obese,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19.8\%$ of preschool children replied that they skipped breakfast sometimes. The major reasons for skipping breakfast were 'snacks' ($38.3\%$) and 'no appetite' ($32.6\%$). The proportion of subjects having unbalanced meals was $61.6\%$. From the 24-recall survey, it was found that all nutrients intak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Korean RDA except zinc. The proportion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from total calories were 56,1, 17.2 and $30.7\%$. The P/M/S ratio was 0.62 : 0.86 : 1. Nutrient adquacy (NAR), mean of nu-trient adequacy ratio (MAR)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were considered adequate. In conclusion, the dietary intakes of children aged 2 to 6 were assumed adequate judging from nutrient intakes, although som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fat intake in this age group.

우리나라 저소득층 비만여성의 식사의 질과 식사섭취패턴 특성 분석 -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 (Diet Quality and Food Patterns of Obese Adult Women from Low Income Classes - Based on 2005 KNHANES -)

  • 윤진숙;장희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06-715
    • /
    • 2011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etary patterns relevant to obesity of Korean women among low income classes. Adults 20-64 years were used as study subjects from the data of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 compared obese and normal-weight women in terms of their nutrients intake, diet quality and food patterns. Diet quality was assessed by using the Nutritional Adequacy Ratio (NAR)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Our results showed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among lower socioeconomic status women. In 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socioeconomic status and prevalence of obesity. Higher risk of nutritional inadequacy was observed among obese women compared to normal weight women. Obese wom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Q for nutrients such as Ca, Fe,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and Vitamin C compared to other women. They consum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rice (p < 0.05) and lower amount of vegetables (p < 0.01). By contrast, obese men from low income classes showed higher intake of those nutrients. Obese men also consum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meats than normal weight me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gender-specific approaches based on economic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managing obesity for low income classes.

비만여성에서 내장지방과 한방비만변증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Visceral Adipose Tissue and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in Obese Korean Women)

  • 김은주;이아라;황미자;조재흥;최선미;정석희;송미연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9-288
    • /
    • 2011
  • Objectives : Ou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abdominal adipose tissue and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78 healthy obese(BMI(body mass index)${\geq}25kg/m^2$) women in Seoul. Subjects underwent abdominal CT(computed tomography) scanning and were asked to complete the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Subjects were given written consent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under permission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yung-hee East-west Neo medical center. Results : 1. VFA(visceral fat area) and VSR(visceral/subcutaneous adipose tissue ratio)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agnation of the liver qi(肝鬱, gan-yu)(p<0.05). But, other pattern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p>0.05). 2. We evaluated a difference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score in visceral obesity group(n=34) versus non-visceral obesity group(n=44). Scores of all patterns except food accumulation(食積, shi-j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isceral obesity group than in the non-visceral obesity group(p<0.05). Especially, there was a fur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gnation of the liver qi(肝鬱, gan-yu)(p<0.01). Conclusions : Generally, the stagnation of the liver qi(肝鬱, gan-yu) has a close relation with stress and depr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tress and depression might be correlated with visceral fat, and the use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would be helpful for planning a treatment schedule of visceral obesity in the cli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