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flavone aglycone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5초

Stress에 의한 대두의 Isoflavonoid 화합물 축적변화 (Changes in the Accumulation of Isoflavonoids in Soybeans by Stress)

  • 김진태;김장억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2권
    • /
    • pp.9-22
    • /
    • 1994
  • Soybean mosaic virus에 감수성 품종인 단경콩과 저항성 품종인 팔달콩의 cotyledon에 여러형태로 자극을 처리하였을때 유도되는 isoflavone aglycones(daidzein, genistein)와 이들 배당체들(daidzin, genistin)의 시간별 축적 정도를 조사하였다. UDP-glucose, $MgSO_4$, $HgCl_2$의 처리 및 Botrytis cinerea의 감염에 의하여 두 품종 모두 isoflavone aglycones와 이들 배당체들의 함량이 대조구(water 처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그러나 citrate의 처리에 의해서는 isoflavone aglycones의 함량은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isoflavone glucosides의 함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UDP-glucose, $MgSO_4$$HgCl_2$의 처리에 의하여 isoflavone aglycones의 함량은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크게 나타났다. 특히 daidzein의 경우,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현저하게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Botrytis cinerea의 감염에 의해서 daidzein의 최대 축적 양에는 두 품종 사이에 큰 차이가 없으나 최대 축적 시간은 팔달콩이 단경콩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그 배당체인 daidzin과 geinstein의 축적은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모든 자극처리에의해 높게 나타났다. UDP-glucose, $MgSO_4$, 및 $HgCl_2$의 처리에 의한 daidzein과 geinstein이 축적되는 양은 단경콩에서는 초기에는(24hr까지)에는 비슷하나, 48hr이후에는 daidzein의 축적이 geinstein의 함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팔달콩에서는 대체로 전 기간에서 daidzein의 함량이 geinstein의 함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서는 두 품종에서 모두 daidzein의 양이 geinstein의 양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콩, 메주, 된장의 Isoflavone 함량 및 ${\beta}-Glucosidase$ 활성 측정 (Isoflavone Contents and ${\beta}-Glucosidase$ Activities of Soybeans, Meju, and Doenjang)

  • 김정수;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05-1409
    • /
    • 1999
  • 본 연구는 콩, 메주, 된장에서의 isoflavones의 aglycones % 차이와 ${\beta}-glucosidase$의 활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Isoflavones 중 체내 이용률이 높은 aglycones %는 콩보다는 메주, 된장에서 높게 나타났다. 콩의 경우 유리 daidzein이 106 mg/kg, 총 dai-dzein은 406 mg/kg으로 aglycones 비율이 26.03%이었고 유리 genistein이 95 mg/kg, 총 genistein은 484 mg/kg으로 aglycones 비율이 19.49%이었으며 daidzein/genistein ratio는 0.85이었다. 메주는 유리 daidzein이 269 mg/kg, 총 daidzein은 433 mg/kg으로 aglycones 비율이 61.96%이었고 유리 genistein이 137 mg/kg, 총 genistein은 200 mg/kg으로 aglycones 비율이 68.52%이었으며 daidzein/genistein ratio는 2.16였다. 된장은 유리 daidzein이 578 mg/kg, 총 daidzein은 538 mg/kg으로 aglycones 비율이 107.68%이었고 유리 genistein이 455 mg/kg, 총 genistein은 538 mg/kg으로 aglycones 비율이 85.26%이었으며 daidzein/genistein ratio는 1.00이었다. ${\beta}-glucosidase$의 활성은 콩(5.65 units/mg protein), 메주(2.04 units/mg protein), 된장(0.69 units/mg protein)의 순이었다. pH변화에 따른 ${\beta}-glucosidase$ 활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콩은 pH 6.5, 메주와 된장은 pH 7.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냈다. 온도에 있어서는 $50^{\circ}C$에서 최대 활성을 보였다.

  • PDF

갈색콩 두유의 젖산 발효 중 phytochemicals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of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of Brown Soymilk)

  • 황정은;이병원;안민주;이희율;김현태;고종민;백인열;조계만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157-167
    • /
    • 2016
  • 본 연구는 잠재적인 생균제제 Lactobacillus plantarum P1201을 이용하여 갈색콩 두유의 젖산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총 phenolics, isoflavone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갈색콩 두유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가 최종 4.03으로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총산이 증가하여 발효 후(60시간) 1.03%를 나타내었다. 생균수 역시 11.55log cfu/g으로 발효 과정 중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phenolics 함량은 발효 전 2.87mg/g에서 발효 후 2.98mg/g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Isoflavoneglycosides 및 -malonylglycosides 형태는 감소하였고 -aglycones 형태는 증가하였다. 특히 발효 초기 isoflavone-aglycones 함량은 38.30㎍/g에서 증가하여 발효 36시간째 84.31㎍/g으로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발효 36시간째 isoflavone-aglycones 형태인 daidzein, glycitein 및 genistein의 함량은 각각 24.12㎍/g, 25.25㎍/g 및 24.71㎍/g이었다. 한편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은 발효 중 서서히 증가하였다.

Metabolism of Isoflavone Derivatives During Manufacturing of Traditional Meju and Doenjang

  • Jang, Chan-Ho;Park, Chun-Seok;Lim, Jin-Kyu;Kim, Jeong-Hwan;Kwon, Dae-Young;Kim, Yong-Suk;Shin, Dong-Hwa;Kim, Jong-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442-445
    • /
    • 2008
  • Meju, a major ingredient of doenjang which is a popular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food, was manufactured by fermenting steamed soybeans in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steamed soy was exposed to airborne microorganism, in particular, fungi. Total isoflavone content was reduced from 1,849 mg/kg of cooked soy to 816 mg/kg of meju at the $90^{th}$ day of fermentation. Total glycosides and aglycones of isoflavones in meju were 1,827 and 22 mg/kg at 0 day and changed into 487 and 329 mg/kg at the 90th day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Meanwhile, the ratio of glycosides to aglycones of isoflavones was not changed during aging of doenjang but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with 592 and 644 mg/kg aglycones at the 0 and $160^{th}$ day, respectively. When cooked soy was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and Aspergillus flavus, isoflavone profi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le A. oryzae caused more extensive metabolism of isoflavones than A. flavus.

대두로부터 Isoflavone추출 및 $\beta$-glucosidase를 이용한 Aglycone 형태로의 전환 최적 조건 (Optimum Conversion to the Aglycone Form Using $\beta$-glucosidase and Isoflavone Extraction from Soybean)

  • 김기욱;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74-178
    • /
    • 2001
  • 본 연구는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estrogen 유사작용, 항골다공증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가진 isoflavones의 추출조전을 추출용매획 농도, 추출온도, pH 및 추출시간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isoflavones을 추출함에 있어 최척의 추출 조건올 찾고자 하였으며, 보다 기능이 잘 알려진 4종 isoflavones 추출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여 최적추출 초건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75% ethanol, $80^{circ}C$, pH4, 3시간의 추출 조건에서 $4,024\mu\textrm{g}/mL$의 가장 높온 총 isofla vones 추출량을 나타내었고, 대두추출물 중의 단백질 제거를 위해 이용된 염화칼융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보다 높은 함량의 isotla yones윤 얻을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 얻은 최적추출조건에서의 대두추춤물에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에 홉수되지 않는 daidzin과 genistin 같은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eta$-glucosidase라는 효소를 이용하여 이러한 배당채 들흘 daidzein이나 genistein과 같이 체내여] 홉수 가능한 aglycones 형태로 전환시키는데 있어 효소의 농도, 반응온도 및 pH, 반웅시간의 조건에서 aglycon$\xi$s 형혜익 최적 전환수 율 조건을 각각 선정하였다. 그 결과 효소농도 8.7 units, 온도 $40^{circ}C$, pHS의 초건에서 4 40 분 풍안 반응시켰을 때 90%이상 전환된 aglycones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국내산 콩과 수입콩의 Isoflavone, Phytic Acid 및 Oligosaccharides 함량 (Isoflavone, Phytic Acid and Oligosaccharide Contents of Domestic and Import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 류승현;김성란;김경탁;김성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9-235
    • /
    • 2004
  • 국내산 대두 품종 7종과 외국산 3종을 포함한 10종에 대하여 일반성분, 식이섬유, 대두올리고당, isoflavone 및 phytic acid 함량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7.6-11.9%, 조단백질 32.8-41.0,% 조지방 12.8-20.1% 및 회분 4.6-5.7%의 범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식이섬유 함량은 16.83-21.71%로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종실 전체의 phytic acid 함량은 2.07-3.02% 범위로 검정콩이 3.02%로 가장 높았고, 캐나다산 콩나물콩, US No. 1, 미국산 콩나물콩의 phytic acid 함량은 각각 2.07%, 2.22%, 2.16%로 국내산 품종들보다 약간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품종의 부위에 따른 phytic acid 함량 분포는 배축보다 자엽에 1.5 -2배 높은 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실 전체의 isoflavone 함량은 371-2,398 $\mu\textrm{g}$/g으로 품종간 차이가 켰으나 신팔달통 2호가 2,398.9 $\mu\textrm{g}$/g으로 제일 많았으며 대부분 glucosides 형태로 존재하였다. Isoflavone의 aglycones별 비율은 genistein이 52%, daidzein이 36%, glycitein이 11%로 50% 이상이 genistein으로 존재하였다. 황금콩, 다원콩, 검정콩 및 미국산 콩나물콩의 isoflavone 함량이 371-742 $\mu\textrm{g}$/g 대체적으로 낮았다. 주요 품종의 자엽과 배축 isoflavone 함량 및 분포를 분석한 결과 배축 부위의 isoflavone 함량은 6,120.1-16,921.2 $\mu\textrm{g}$/g였으며 glycitein 계가 48%, daidzein 계가 35%, genistein 계가 10%의 비율로 존재하였다. 자엽의 isoflavone 함량은 375-2,393 $\mu\textrm{g}$/g였으며 genistein 계가 55%, daidzein 계가 38%로 존재하였고 glycitein 계는 검출되지 않았다. 올리고당 총 함량은 9.613.1% 범위로 품종간 차이가 있었으며 stachyose 함량은 3.0-3.9%, raffinose 0.8-l.2%, sucrose 4.6-7.8%, fructose 0.3-0.8%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Acceleration of Aglycone Isoflavone and γ-Aminobutyric Acid Production from Doenjang Using Whole-Cell Biocatalysis Accompanied by Protease Treatment

  • Li, Yincong;Ku, Seockmo;Park, Myeong Soo;Li, Zhipeng;Ji, Geun Eo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1호
    • /
    • pp.1952-1960
    • /
    • 2017
  • Recently, soybean isoflavone aglycones (i.e., daidzein and genistein) and ${\gamma}-aminobutyric$ acid (GABA) have begun to receive considerable consumer attention owing to their potential as nutraceuticals. To produce these ingredients, multiple microorganisms and their enzymes are commonly used for catalysis in the nutraceutical industry. In this work, we introduce a novel fermentation process that uses whole-cell biocatalysis to accelerate GABA and isoflavone aglycone production in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Microbial enzymes transform soybean isoflavone glycosides (i.e., daidzin and genistin) and monosodium glutamate into soybean isoflavone aglycones and GABA. Lactobacillus brevis GABA 100 and Aspergillus oryzae KACC 40250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duction time with the aid of a protease. The resulting levels of GABA and daidzein were higher, and genistein production resembled the levels in traditional doenjang fermented for over a year. Concentrations of GABA, daidzein, and genistein were measured as 7,162, 60, and $59{\mu}g/g$, respectively on the seventh day of fermentat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dministration of whole-cell L. brevis GABA 100 and A. oryzae KACC 40250 paired with a protease treatment is an effective method to accelerate GABA, daidzein, and genistein production in doenjang.

Enhanced Cholesterol-Lower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ymilk by Fermentation with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KML06

  • Ji Seung Han;Jae Yeon Joung;Hyung Wook Kim;Jin Hwan Kim;Hyo Su Choi;Hyun Jin Bae;Ji Hun Jang;Nam Su O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1호
    • /
    • pp.1475-1483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olesterol-lower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ymilk fermented with probiotic Lactobacillaceae strains an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of related bioactive compound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KML06 (KML06) was selected for the fermentation of soymilk because it has the highest antioxidant, cholesterol-lowering, and β-glucosidase activities among the 10 Lactobacillaceae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The genomic information of strain KML06 was analyzed. Moreover, soymilk fermented with KML06 was evaluated for growth kinetics, metabolism,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number of viable cells, which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cholesterol assimilation, as well as the amount of soy isoflavone aglycones, daidzein, and genistein, was the highest at 12 h of fermen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ymilk fermented with KML06 can prevent oxidative stress and cholesterol-related problems through the production of soy isoflavone aglycones.

Profiles of Isoflavone and Fatty Acids in Soymilk Fermented with Lactobacilli, Bifidobacteria, or Streptococci

  • Park, Young-Woo;Lee, Seung-Wook;Choi, Hyung-Kyoon;Yang, SeungOk;Kim, Young-Suk;Chun, Ho-Nam;Chang, Pahn-Shick;Lee, Jae-H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294-298
    • /
    • 2009
  • Distribution of isoflavones and fatty acids in soymilk fermented with 7 Lactobacilli (L-type), 7 Bifidobacteria (B-type), or 5 Streptococci (S-type) were monitored. Total isoflavones in fermented soymilk ranged from 5.24 to $8.59{\mu}mol/g$ dry basis while those in unfermented soymilk were $8.06{\mu}mol/g$ dry basis. Depending on the types of inoculated microorganisms, fermented soymilk showed different profiles in isoflavones, especially aglycones and $\beta$-glucosides. Four L-type fermented soymilk had significantly higher aglycone content (33.69-46.21%) and low $\beta$-glucosides compared to control (p<0.05). All B-type fermented soymilk showed significantly high aglycone levels (p<0.05). Out of 5 Streptococci, 4 strains produced over 82.2% aglycones. Lipid content ranged from 162 to 224 mg/g and linoleic acid was the highest, followed by oleic, linolenic, palmitic, and stearic acids. Average ratio of 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in control, L-, B-, and S-type fermented soymilks was 6.30, 6.09, 6.30, and 5.94, respectively. This study can help to develop a fermented soymilk containing high isoflavone aglycones and low fat content.

대두 가공 식품 중의 이소플라본 함량 (Isoflavone Content in Korean Fermented and Unfermented Soybean Foods)

  • 최연배;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45-750
    • /
    • 1998
  • 대두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은 항암, 골다공증 예방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유용 생리활성물질이다. 국내의 주요 대두 가공 식품은 두부, 콩나물, 두유와 같은 비발효 식품과 간장, 된장, 청국장, 춘장과 같은 발효식품이 있다. 비발효 식품에서는 대두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였다. 두유에는 평균 676 mg/kg의 이소플라본이 존재하였고, 두부는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1,151 mg/kg이 존재하였다. 콩나물에는 약 424 mg/kg이 존재하였다. 발효 식품 중에는 청국장(920 mg/kg)과 된장(627 mg/kg)에 많은 양의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으며, 춘장에도 상당량이 존재하지만 간장에는 매우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많은 양의 이소플라본이 aglycone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따라서 국내 전통 발효 식품인 청국장과 된장은 생체 이용성이 우수한 형태인 이소플라본 aglycone의 좋은 공급원이라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