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vitreal injec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9초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시행 후 시력 반응의 의의 (Significance of Early Visual Responses to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송희준;양지호;김도균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30-1038
    • /
    • 2018
  • 목적: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1회 시행 후 1개월째 시력 반응의 정도 및 3회 시행 후 1개월째 시력 반응의 정도와 치료 시작 12개월 후의 시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로 치료하면서 12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30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유리체강 내 주입술 1회 시행 후 1개월째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였고 3회 주입술 후 1개월째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여 상승 정도(<1, 1-<3, ${\geq}3$줄; logMAR)에 따른 치료 시작 후 12개월째 최대교정시력과 비교하였다. 결과: 첫 주사 후 1개월째 1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6안(20%), 1줄 이상 3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7안(23.3%), 3줄 이상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17안(56.6%)이었다. 세 번째 주사 후 1개월째 1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9안(30%), 1줄 이상 3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9안(30%), 3줄 이상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12안(40%)이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및 선형회귀분석에서 3회 주입술 후 1개월째의 3줄 이상의 시력 향상은 치료 시작 12개월 후의 3줄 이상의 시력상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4). 결론: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 내 주입술 3회 시행 후 1개월째 3줄 이상의 시력 향상 여부는 치료 시작 12개월 후의 3줄 이상의 시력예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rotection of Rabbits from Experimental Pseudomonas Endophthalmitis by Human Anti-P. aeruginosa Outer Membrane Proteins IgG

  • Lee, Na-Gyong;Ahn, Bo-Young;Kwon, Oh-Wo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444-450
    • /
    • 2003
  •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means to treat P. aeruginosa infections, we have purified P. aeruginosa outer membrane proteins (OMPs)-specific human IgG antibod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activity of the purified anti-OMPs IgC against P. aeruginosa infection in a rabbit endophthalmitis model. Rabbits were inoculated by an intravitreal injection with P. aeruginosa, and treated with a single dose of 1 mg anti-P. aeruginosa OMPs IgG. All the control rabbits predominantly developed edematous responses and opacity in the eyes, but the rabbits treated with the antibody showed only very limited degree of edema. Aliquots of the vitreous humor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or the number of viable bacteria and endotoxin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ti-OMPs IgC significantly reduced the bacterial cou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at the endotoxin level of the vitreous from the IgG-treated rabbits was more than 70-fold lower 6 h after the administration than the control animals.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anti-P. aeruginosa OMPs IgG is effective in inhibiting the bacterial growth and thereby in reducing endotoxin levels in the vitreous, warranting further development of the anti-P. aeruginosa OMPs IgG as a therapeutic means for treating Pseudomonas endophthalmitis.

금붕어의 동작 감지에 미치는 갭 정션의 역할: 시각운동 반응 측정 (The Role of Gap Junction in the Goldfish's Motion Detection Measured with Optometer Response)

  • 이영섭;윤영현;정창섭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4호
    • /
    • pp.252-259
    • /
    • 2006
  • 갭 정션(gap junction)은 다양한 세포에 분포되어 있으며 분자 수준의 작은 물질들이 자유롭게 교환되는 전기적 시냅스다. 망막에서, 갭 정션의 차단이 동물의 동작 감지(motion detection)에 실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조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 세포간의 전기적 시냅스를 조절하는 약물이 금붕어의 동작 감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시각운동 반응(optometer response, OMR)이 사용되었다. 갭 정션 차단제인 carbenoxolone, 8-bromo cyclic AMP, sodium nitroprusside (SNP), 8-bromo-cyclic GMP 등의 초자체 내 주사는 광- 및 암-상태에서 모두 OMR을 감소시켰다. 광-상태에서 dopamine, SKF-38393 및 eticlopride의 주사는 OMR을 감소시킨 반면 SCH-23390의 주사는 OMR을 증가시켰다. 암-상태에서는 결과가 반대로 나타났다: 즉 dopamine, SKF-38393 및 eticlopride의 주사는 OMR을 증가시킨 반면 SCH-23390의 주사는 OMR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망막 세포들 사이의 갭 정션이 금붕어의 동작 감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당뇨병유두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시경섬유층 두께의 장기간 변화 2예 (Two Cases of Long-Term Changes in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for Diabetic Papillopathy)

  • 김종진;임종찬;신재필;김인택;박동호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4권9호
    • /
    • pp.1445-1451
    • /
    • 2013
  • 목적: 당뇨병유두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변화를 장기간 측정한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6세 당뇨환자가 우안 시력저하(20/200)로 내원하였고 안저검사상 양안 시신경유두부종이 관찰되었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우안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278{\mu}m$로 증가 소견, 시야검사상 우안 코쪽에 국소적인 협착을 보였다. 우안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하였고 3주 후 두께는 $135{\mu}m$로 감소했으며 시력도 20/25로 호전되었으나, 좌안 시력저하(20/32)와 망막신경섬유층 두께가 $207{\mu}m$로 증가하였다. 좌안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하였고, 3주 후 두께는 $147{\mu}m$로 감소했고 시력도 20/20으로 호전되었다. 이 후 점차적으로 양안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감소하였고, 1년 후 검사에서 우안 $87{\mu}m$, 좌안 $109{\mu}m$였다. 57세 당뇨환자가 우안 시력저하(20/200)로 내원하였고 우안의 시신경유두부종과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252{\mu}m$로 증가된 소견 및 시야검사상 맹점확대를 보였다. 우안 베바시주맙 주입술 3주 후 두께는 $136{\mu}m$로 감소했고 시력은 20/70으로 호전되었으며, 3개월 후 $104{\mu}m$, 6개월에는 $83{\mu}m$로 감소했다. 결론: 본 증례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3주내 시력의 상승과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통한 1년간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분리산 PRV-Ba를 이용한 가토 안구지배신경의 추적 연구 (Tracing study for the rabbit eye ball control nerve utilizing the PRV-Ba isolated in the Korea)

  • 박일권;김무강;신광순;이경열;송치원;이강이;현병화;장규태;정영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63-470
    • /
    • 2000
  • Until now peudorabies virus(PRV) has been used a neurotracer, because of it's properties of retrograde & anterograde transport. But it's anterograde transfort is not perfect, so we tested the applicability of the Bartha strain of PRV(PRV-Ba) isolated from South Korea as a neurotracer in the visual system.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rabbit brain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of the PRV-Ba. After given survival time(24, 48, 72, 96, 120, 144hrs), the brain was removed and processed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PRV-Ba. The strong PRV immunoreactivity(PRV-ir) were almost oberserved contralaterally in oculomotor neurons, fro example Edinger-Westphal nucleus, trigerminal nucleus of pons and peritrigerminal zone but locus of innervating sensitive neurons. The latter were weak positive and selective. PRV-Ba immunoreactive neurons were stained strongly in nucleus compared to cytoplasm. This study suggests that PRV-Ba isolated from South Korea is also a useful neurotracer in the motor innervated system like other PRV-strain.

  • PDF

증식성 초자체망막증의 실험적 유발 (Experimental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 박영훈;이봉환;한덕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78-190
    • /
    • 1991
  • 저자들은 증식성 초자체망막증을 실험적으로 유발시키기 위해 유색가토 12마리 24안에 대하여 배양된 동종섬유아세포를 정상적 초자체 구조가 피괴된 실험군과 gel상태의 초자체가 있는 대조군에 각각 세포수 50,000, 100,000, 150,000의 세군으로 구분하여 주입한 후 1주, 2주, 4주로 나누어 관찰하여 본 결과 주입된 동종섬유아세포의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gel상태의 초자체가 없는 경우에 증식성 초자체망막증의 정도 및 빈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전자현미경 검사상 대조군은 섬유세포화 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실험군에서는 young fibroblast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보였고 양군 모두 collagen의 양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 실험동물에서의 증식성 초자체망막증의 발생은 세포수 150,000이하의 경우에도 충분히 유발될 수 있으며 gel 초자체가 없는 상태에서는 더 유발의 정도가 심하였다.

  • PDF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platin-Resistant Retinoblastoma Cell Line

  • Cho, Chang Sik;Jo, Dong Hyun;Kim, Jin Hyoung;Kim, Jeong H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5권10호
    • /
    • pp.729-737
    • /
    • 2022
  • Carboplatin-based chemotherapy is the primary treatment option for the management of retinoblastoma, an intraocular malignant tumor observed in childre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stablish carboplatin-resistant retinoblastoma cell lines to facilitate future research into the treatment of chemoresistant retinoblastoma. In total, two retinoblastoma cell lines, Y79 and SNUOT-Rb1, were trea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carboplatin to develop the carboplatin-resistant retinoblastoma cell lines (termed Y79/CBP and SNUOT-Rb1/CBP, respectively). To verify resistance to carboplatin, the degree of DNA fragmentation and the expression level of cleaved caspase-3 were evaluated in the cells, following carboplatin treatment. In addition, the newly developed carboplatin-resistant retinoblastoma cells formed in vivo intraocular tumors more effectively than their parental cells, even after the intravitreal injection of carboplatin. Interestingly, the proportion of cells in the G0/G1 phase was higher in Y79/CBP and SNUOT-Rb1/CBP cells than in their respective parental cells. In line with these data, the expression levels of cyclin D1 and cyclin D3 were decreased, whereas p18 and p27 expression was increased in the carboplatin-resistant cells.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genes associated with multidrug resistance were increased. Thus, these carboplatin-resistant cell lines may serve as a useful tool in the study of chemoresistance in retinoblastoma and for the development potential therapeutics.

5,7-Dihydroxytryptamine의 세포독성에 의한 고양이 망막내 미세아교세포의 반응양상 (Microglial Reaction to the Cytotoxicity of 5,7-Dihydroxytryptamine in the Cat Retina)

  • 주우현;남성안;조승묵;조현후;신민철;원무호;최창도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4호
    • /
    • pp.425-434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icroglial reactions to the neurodegenerative changes in the cat retina.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dult cats of both sex, weighing $2,500g\sim3,500g$. 5,7-DHT $(100{\mu}g)$ dissolved in 0.1% ascorbic acid was injected into the vitreous body. All injections were performed in one-side eye; the other side served as the control, which was injected only with 0.1% ascorbic acid. Cats were sacrificed at 1, 3, 7, 14 and 21 days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of 5,7-DHT For light microscopy, retinae were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and processed using NDPase histochemistry. Same retinae were fixed with 1% para(formaldehyde-2.5% glutaraldehyde and processed for electron microscopy. NDPase-positive microglial cell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inner plexiform layer of the retina, and characterized by a small somata with a few slender processes, which were also extended in the ganglion cell layer (GCL) and inner nuclear layer (INL). The intensity of the microglia stained for NDPase was abruptly increased at 7 day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and thereafter continuously sustained until 21 day, the last experimental group in this study. Under the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microglial cells in the control group exhibited elongate nucleus with perinuclear chromatin condensation, and the perikaryon was scanty. However, a few hypertrophic glial cells were frequently found at 3 days after the drug injection. By 7 day, most microglial cells directed toward the degenerated neurons in the GCL, and the number of microglial cells was sligh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former group. At the 14 day, most microglial cells wrapped the degenerated cells in the GCL, and a few cells showed phagocytotic features. By 21 day, most microglial cells were engaged in phagocytotic activity, and their cytoplasm was filled with the phagorytosed material. Based on the results, 5,7-DHT may act as a specific neurotoxin to the cat retina, and microglial reactions to the neuronal death are already induced in early experimental st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croglial cells in the cat retina show characteristic features as a protective effect of neural tissue.

  • PDF

당뇨황반부종에서 항혈관성장인자의 유효성과 안전성: 네트워크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for Diabetic Macular Edema)

  • 최하진;신상진;서재경;조송희;양장미;강민주;지동현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44-151
    • /
    • 2019
  • 목적: 당뇨황반부종 환자에서 항혈관성장인자의 유리체내주입술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최근의 고품질의 체계적인 검토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문헌 고찰에 7건의 최근 수행된 무작위 임상시험을 추가하여 메타분석 및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유효성 결과 지표로는 1) 시력의 평균 향상, 2) 15글자 이상의 최대교정시력 개선을 경험한 환자의 비율, 3) 15글자 이상의 최대교정시력 저하를 경험한 환자의 비율을 파악하였고, 안전성 결과에는 전신이상 반응 및 안구 관련 이상 반응을 분석하였다. 결과: 라니비주맙과 베바시주맙의 교정시력의 평균 차이는 0.16 (95% confidence interval [CI]: -0.02, 0.345)이었고, 라니비주맙 대 애플리버셉트의 평균시력 차이는 -0.08 (95% CI: -0.26, 0.10)이었다. 치료 전후의 시력변화를 약제 간의 비교한 최대교정시력 변화지표에서 라니비주맙(-0.20; 95% CI: -0.40, -0.01)과 베바시주맙(-0.34; 95% CI: -0.53, -0.14)이 각각 애플리버셉트에 비해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신 및 안구 부작용에서 약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당뇨황반부종에서 애플리버셉트는 라니비주맙 또는 베바시주맙에 비하여 최대교정시력의 변화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5글자 이상의 시력향상이나 시력저하에 있어서는 세 가지 약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항혈관성장인자의 안전성은 약제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맥락막상강출혈 1예 (A Case of Suprachoroidal Hemorrhage after Pars Plana Vitrectomy f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 김민한;오종현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82-1086
    • /
    • 2018
  • 목적: 유리체절제술을 시행받은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수술 당일 발생한 맥락막상강출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0세 여자 환자가 1주일 전부터 시작된 좌안 비문증과 광시증,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좌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1이었고, 안저검사에서는 황반부를 침범하고 상이측 열공을 동반한 망막박리가 관찰되었다. 전신마취하에 좌안 백내장수술과 23 G 무봉합 유리체절제술, 14% C3F8 가스충전술을 시행하였다. 마취 회복 1시간 뒤 환자는 갑자기 극심한 좌안의 통증을 호소하였고, 압박안대 제거 후에 측정한 안압은 58 mmHg로 높았다. 통증은 10분 이내에 저절로 호전되었으며 다시 측정한 안압은 8 mmHg였다. 안저검사에서 맥락막상강출혈을 시사하는 적갈색의 융기된 병변이 관찰되었다. 압박안대를 한 채 엎드린 자세를 취하도록 하였고, 수술 다음 날에는 공막절개부위를 통한 출혈이 관찰되었다. 이후 출혈성 맥락막박리는 악화 소견 없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술 후 3주째에는 유리체강 내 100% C3F8 가스주입술을 추가 시행하였다. 술 후 3개월째 좌안 교정시력은 0.8로 호전되었고 망막은 유착된 상태로 안정적이었다. 결론: 유리체절제술 후 심한 안구통을 호소하는 경우에 맥락막상강출혈을 의심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