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subject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27초

교합기능시 흉쇄유돌근과 교근의 관계에 대한 근전도학적 연구 (AN INTEGRATED EMG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STERNOCLEIDOMASTOID AND MASSETER MUSCLES DURING OCCLUSAL FUNCTION)

  • 김교철;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7-52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ernocleidomastoid (SCM) and masseter muscles during occlusal functions by means of EMG recordings of examined muscles. For the study, eighteen normal subjects were selected and the Bio-electric Processor EM2 (Myo-tronics Research, Inc., U.S.A.) with the surface electrodes was used to record the EMG activity from the right and left middle of masseter and insertion of SCM of each subject during right and left gum-chewing and isometric contraction by changing the biting force at right eccentric position of jaw. The amount of biting force ranged from 5 to 70kg during isometric contraction were measured by use of Jaw Force Meter. (Nihon Koden Kogyo, Ja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ctivity onset of SCM and masseter on the same side was almost at the same time, and integrated EMG values of two muscles on the chewing side were higher than the same named muscles on the non-chewing side during gum-chewing. (p<0.01) 2. The regression correlation was not present between both masseters (p>0.05), but between both SCM muscles or muscles of two kinds on the chewing or non-chewing side. ($p{\leqq}0.05$) 3. The integrated EMG value of SCM on chewing or non-chewing side were about 10 percent of that of ipsilateral masseter. 4. Mean voltage of each examined muscles were almost proportional to biting force during isometric contraction and the slope of voltage/biting force line was steepest at the ipsilateral masseter, followed by contalateral masseter, ipsi- and contra-lateral SCM muscles. 5. Mean voltage of ipsilateral masseter was highest during isometric contraction, followed by ipsilateral masseter, contra- and ipsi-lateral SCM muscles.

  • PDF

타원.인벌루트 조합 형상을 갖는 지로터 펌프의 통합적 설계 자동화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Automated Integrated Design System for Gerotor Pumps with Multiple Profiles(Ellipse and Involute))

  • 문현기;정성윤;배준호;장영준;김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67-77
    • /
    • 2010
  • An internal lobe pump is suitable for oil hydraulics of machine tools, automotive engines, compressors, constructions and other various applications. In particular, the pump is an essential machine element of an automotive engine to feed lubricant oil.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the theoretical analysis of internal lobe pump whose the main components are the rotors: usually the outer one is characterized by lobe with elliptical and involute shapes, while the inner rotor profile is determined as conjugate to the other. And the integrated design system which is composed of three main modules has been developed through AutoLISP under AutoCAD circumstance plus CFD-ACE+. It generates new lobe profile and calculates automatically the flow rate and flow rate irregularity according to the lobe profile generated. CFD simulation results show trends similar to those carried out in experiments, and a quantitative comparison is presented. Results obtained from the automotive integrated design system enable the designer and manufacturer of oil pump to be more efficient in this field.

국내에 서식하는 잉어과 어류의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ag 적용에 따른 생존율 평가 (Survival Rate of the Korean Cyprinidae Subject to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agging)

  • 윤주덕;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134-138
    • /
    • 2009
  • 국내에 서식하는 5종의 담수 잉어과 어류(참갈겨니, 피라미, 누치, 납자루, 끄리) 173개체를 대상으로 PIT 태그를 체내 삽입 후, 30일 간 매일 생존율을 파악하여 태그의 적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생존율 테스트 결과, 참갈겨니가 가장 높은 생존율을, 피라미가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개체의 전장이 길수록 생존 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사망률은 외과적 수술과정에서 내부 장기의 손상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본 실험결과 피라미를 제외한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소형 담수어류에도 PIT 태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PIT 태그의 야외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전장 150mm의 개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K-에듀 통합플랫폼 구축을 위한 민간 에듀테크 콘텐츠의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래 교수-학습 방법 및 학습유형과 연계하여 - (A Study on the Types of Private EduTech Content for establishment of integrated platform of K-EDU - In conjunction with fu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types -)

  • 하호성;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3호
    • /
    • pp.11-2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K-에듀 통합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국내·외 민간기업의 에듀테크 트랜드와 콘텐츠 현황을 조사하고, 미래 교수-학습 방법 및 학습 양식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향후 일선학교에서 각 교과목별 교수-학습방법과 가장 적합성이 뛰어난 콘텐츠를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자료 조사 및 2021년 교육박람회 참가 기업 관계자와의 현장 인터뷰를 통해 해외 22개(28종), 국내 46개(88종) 등 총68개 기업에서 생산한 에듀테크 콘텐츠 총116종에 대하여 미래 교수-학습 방법 및 학습양식과의 상호 연결(matching)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8.15 광복 진전.후의 가정과 교육의 비교 (Comparis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n School before with after Korean Independence of the Dominance of Japan Empire.)

  • 정덕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home economics before and after korean Independence of the dominance of Japanes Empire. The specific aimes are to compare the subject organization, educational purpose and subject contents etc. of home economics in korean school before with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of the dominance of Japanes Empire. The methods to study were to analyze some documents(laws or regulations)and textbooks etc. at that tim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erized as follow. 1.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in primary school were‘Jaibong(sewing)’,‘Kasa(household affairs)’just before Korean Independence of Japan in 1945. But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changed to‘Yori(cooking)’,‘Jaibong’after Korean Independence in 1945. In 1946,‘Yori’and Jaibong were integrated in‘Kasa’. In 1954, ‘Kasa’changed to ‘Silkwa(Practical Course)’.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in middle or high girl school were‘Kajeong(home)’, ‘Yuga(nursing)’,‘Bogeon(preservation of health)’,‘Pibok(clothing)’just before Korean Independence in 1945. But the 4 subjects changed to‘Kasa’,‘Jaibong’,‘Suye(embroidery)’and the 3 subjects changed‘Sileop and Kajeong(home affairs)’again. 2. The hours per week assign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higher in high school years than in low school years both in primary schools and middle or high schools. 3. Among various home economics subjects, the hours assigned to‘Jaibong’were higher than any other home economics subjects. But The hours assigned to the‘Kasa’tended to increase in high school years. 4. The purpos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chools before Korean Independence of Japan focused of fostering korean's loyalty to Japan Empire in the end and on cultivating womanly virtue etc. This tendency was more prominant in middle or high school than primary school. 5.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during about 10 years generally followed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of Japanes Empire. 6.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n primary school for school boys was practised after 1955(The period of 1th curriculum). Before that time was practised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school girls. 7. Generally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n schools was weakened after Korea became Independant of Japanes Empire in 1945. 8.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fter Korean Independence tended to follow those of Japan. Among domains of the home economics the rate of contents of‘siksainghwall(life of foods)’tended to be largest, the rate of‘Jusainghwal(life of house)’lowest in primary, while the contents of‘oeusainghwal(life of clothing)’tended to be largest, the rate of‘Jusainghwal(life of house)’lowest in middle education.

  • PDF

한국.미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Undergraduat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 이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88-302
    • /
    • 2013
  • 이 논문은 한국 미국 대학의 지리학과 학부과정 교과목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지리학 개론>은 학부과정 교과목으로 개설하는 경우가 매우 드문데, 이는 지리학의 네 분야(인문지리 분야, 자연지리 분야, 지역지리학 분야, 기타 분야)를 한 과목으로 통합하여 개설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9.4%)이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4.5%)보다 크지만,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2.8%)이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9.4%)보다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난다. 지역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을 비교하면, 미국의 비율(18.1%)이 한국의 비율(13.8%)보다 크다. 이는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 지역지리학 분야가 보다 더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은 미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을 수용하여 정착시킨 것이기 때문에 양자는 매우 유사한 면을 많이 갖고 있다. 그렇지만 지리학의 네 분야가 차지하는 몫에서는 약간의 상이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상이성은 지난 반세기 동안에 한국 지리학과가 놓여있던 역사적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미래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교과교실 교육 환경을 위한 기초 연구 - K중학교 & S중학교 수요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the future school - Focused on the consumer needs analysis of K middle school & S middle school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24
    • /
    • 2022
  • 본 연구는 학생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교과교실 환경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각 교과목별 장기 및 단기 프로젝트수업의 유형 구분 없이 대부분 강의, 토론과 협의, 자료 검색, 보고서 작성, 발표, 작품전시, 기타 등이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다양한 수업이 동일 시간대 운영 될 필요성이 제시되어 단위 교과교실 내 통합 교수학습운영 환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습교과의 특성상 하나의 주제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강의 및 토론 수업 등과 함께 동시에 실습수업이 연계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습교육과 동시에 강의 등 다양한 수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전문 교과교실 체계로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미래 다양한 수업 유형의 실현을 위한 교과교실 공간크기의 적정성을 파악한 결과 특히 실습교실의 공간 크기는 이론수업용 모둠교구 배치 영역과 함께 실습전용 공간 및 작품 전시 영역 등을 포함한 공간 규모가 확장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래 교수학습 수업운영을 위한 공간 환경으로는 교과공용교실제를 기본으로 학생수 규모 및 수업 비중에 따라 강의전담실, 토론 및 발표 전담실, 프로젝트학습실 등 전문 교과교실을 확보하는 것이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한 운영을 실현 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확률적 교차 연산을 이용한 보편적 관계 추출 (General Relation Extraction Using Probabilistic Crossover)

  • 이제승;김재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8호
    • /
    • pp.371-380
    • /
    • 2023
  • 관계 추출은 텍스트로부터 개체(named entity) 사이의 관계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전통적으로 관계 추출 방법은 주어와 목적어가 미리 정해진 상태에서 관계만 추출한다. 그러나 종단형 관계 추출에서는 개체 쌍마다 주어와 목적어의 위치를 고려하여 가능한 모든 관계를 추출해야 하므로 이 방법은 시간과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문장에서 주어와 목적어의 위치에 따른 방향을 설정하고, 정해진 방향에 따라 관계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관계 추출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장에서 주어가 목적어를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표지를 새롭게 생성하고, 개체 위치 토큰과 개체 유형 정보를 문장에 추가하는 작업을 통해 사전학습 언어모델 (KLUE-RoBERTa-base, RoBERTa-base)을 이용하여 방향을 예측한다. 그리고 확률적 교차 연산을 통해 주어와 목적어 개체의 표상을 생성한다. 이후 이러한 개체의 표상을 활용하여 관계를 추출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 모델이 하나로 통합된 라벨을 예측하는 것보다 3 ~ 4%p 정도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제안 모델을 이용해 한국어 데이터와 영어 데이터를 학습할 때, 데이터 수와 언어적 차이로 인해 한국어보다 영어에서 1.7%p 정도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고, 최상의 성능을 내는 매개변수의 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도 관찰할 수 있었다. 제안 모델은 방향에 따른 경우의 수를 제외함으로써 종단형 관계 추출에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Reflection of Their Science Classes)

  • 박지은;강훈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324-337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과학 영재 학생 20명이 작성한 총 91개의 반성 일지를 '생산적 반성'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반성 일지에 포함된 수업 측면의 수를 의미하는 '포함 점수'의 평균은 5점 만점 중에 2.99이었으며, 학생들의 학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대부분의 반성 일지에는 '과학 영재 학생(93.4%)' 측면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과학 영재 교수 전략 및 지도(70.3%)', '과학 내용 지식(68.1%)', '과학 영재 교육 과정(57.1%)' 측면이 포함된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과학 영재 교육 평가(9.9%)' 측면이 포함된 경우는 매우 적었다. 생산적 반성 수준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 반성 일지에 통합된 수업 측면의 수를 의미하는 '통합 점수'의 평균은 5점 만점 중에 2.84이었으며, 학년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반성 일지 중에서 전혀 통합이 없는 경우는 6.6%, 2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34.1%, 3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39.6%, 4가지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25.3%였으며, 5가지 측면이 모두 통합된 경우는 없었다. 특히, 모든 반성 일지에서 '과학 영재 학생(100.0%)'과 다른 측면들이 통합되어 있었으며, '과학 영재 교수 전략 및 지도(70.3%)', '과학 내용 지식(65.9%)', '과학 영재 교육 과정(53.8%)'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과학 영재 교육 평가(9.9%)'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매우 적었다. 실험 중심 수업과 이론 중심 수업의 '포함 점수' 및 '통합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론 중심 수업보다 실험 중심 수업에서 포함 유형과 통합 유형이 좀 더 다양해졌고, 더 많은 측면들이 함께 포함되거나 통합되는 경향이 있었다.

융합인재교육을 적용한 초등수학 수업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Based on STEAM Education)

  • 정윤회;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45-770
    • /
    • 2013
  • 오늘날 지식정보 기반 사회에서 제공되는 지식은 단일한 교과의 지식이 아니라 교과를 구분하기 힘든 통합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문제해결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통합된 형태의 지식을 우선적으로 습득하고, 이를 과학적 상상이나 예술적 감성과 결합시킬 수 있는 융합적인 사고가 요구된다. 융합인재교육(STEAM)은 이러한 문제해결력과 융합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학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 수업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3단원 '각기둥과 각뿔' 수업에서는 '스파게티 프로젝트', '페이퍼 크래프트' 자료를, 4단원 '여러 가지 입체도형'에서는 'EDUCUBE' 자료를, 그리고 6단원 '비율 그래프'에서는 '나만의 팔찌 만들기'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자료들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특히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융합인재교육을 적용한 수학수업 결과 학생들의 수업태도 및 수업에 대한 흥미가 긍정적이었으며, 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을 적용한 초등수학 수업자료의 개발이 보다 다양한 영역과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학년과 내용 영역에서 전개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