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the future school - Focused on the consumer needs analysis of K middle school & S middle school -

미래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교과교실 교육 환경을 위한 기초 연구 - K중학교 & S중학교 수요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

  • 이재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 Received : 2022.06.04
  • Accepted : 2022.06.28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curriculum environment for operating various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most of the lectures, discussions and consultations, data search, report preparation, presentation, work exhibition, and others were commonly derived, regardless of the types of long-term and short-term project classes for each subject.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operating various classes at the same time was suggested, indicating the need for a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operation environment in the unit subject class. Second, considering that practical classes are linked concurrently to lectures and discussion classes to conduct one subject class, it is necessary to switch to a specialized curriculum system that allows various classes such as lectures to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ird, as a result of grasp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space size of the subject class for realizing different class types in the future, it can be seen that the space size of the practice room, including the space for practice and the area for exhibition, should be expand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patial environment for the operation of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classes is based on the public curriculum classroom system, and whether professional curriculum classes, such as lecture rooms an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rooms, are sec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udents.

본 연구는 학생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교과교실 환경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각 교과목별 장기 및 단기 프로젝트수업의 유형 구분 없이 대부분 강의, 토론과 협의, 자료 검색, 보고서 작성, 발표, 작품전시, 기타 등이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다양한 수업이 동일 시간대 운영 될 필요성이 제시되어 단위 교과교실 내 통합 교수학습운영 환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습교과의 특성상 하나의 주제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강의 및 토론 수업 등과 함께 동시에 실습수업이 연계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습교육과 동시에 강의 등 다양한 수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전문 교과교실 체계로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미래 다양한 수업 유형의 실현을 위한 교과교실 공간크기의 적정성을 파악한 결과 특히 실습교실의 공간 크기는 이론수업용 모둠교구 배치 영역과 함께 실습전용 공간 및 작품 전시 영역 등을 포함한 공간 규모가 확장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래 교수학습 수업운영을 위한 공간 환경으로는 교과공용교실제를 기본으로 학생수 규모 및 수업 비중에 따라 강의전담실, 토론 및 발표 전담실, 프로젝트학습실 등 전문 교과교실을 확보하는 것이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한 운영을 실현 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송기상, 김성천(2020). 미래교육,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살림터. 25.
  2. 이재림(2013). 중등학교 이동식 교과교실제 운영 효율화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2(2). 43. https://doi.org/10.7743/kiss.2013.12.2.043
  3. 이재림(2014). 스마트교육 운영을 위한 학교 공간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정책연구, 273.
  4. 이재림(2020). 꿈을 담는 학생 중심 학교 공간(함영기외13인,배움의 공간을 상상하다.). 살림터, 90.
  5. 임미나(2019). 핀란드의 AI동향과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정책동향325, .23.
  6. 정진영(2019). AI 시대 학교교육의 변화와 교사의 역할.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정책동향325, 13.
  7. 최연구(2020). "미래에 필요한 인재는? 어떻게 미래를 준비해야 할까?"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상.
  8. 한국교육개발원교육정책네트워크(2021).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55&pageIndex=1&pageCondition=10&nTbBoardArticleSeq=829522
  9. World Economic Forum.(2015). New Vision for Educati 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p.3.(재인용, 최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