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classroom system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교과교실 운영 성과에 대한 수요자 인식 조사 분석 - 교수·학습 활동과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중심으로 - (The recognition analysis of a student and the teacher about subject classroom system operation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learning attitudes -)

  • 조진일;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9권3호
    • /
    • pp.20-3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cogni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towards an influence of a subject classroom system to teacher's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learning attitude. The study was subjected to students and teachers at a school that has innovatively operated subject classroom system from before 2009.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quality of class has been improved. The formats of managing class and class materials have become various. Second, there is an affirmative exchange in student's learning attitude, such a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concentration, preparation and interest toward a class. Third, the fifty percent of teachers answered it that a block time system and intensive study system is required to manage an efficient subject classroom system. Lastly,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teachers and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running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However, the satisfaction ratio of students is lower than the one of teachers.

과학.수학 특성화 교과교실제의 도입에 따른 과학 재량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Discretion Class by Introducing Science.Mathematics Specialized Subject Classroom System)

  • 전화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57-566
    • /
    • 2011
  • 본 연구는 B-1 교과교실제의 실시에 따라 신설된 과학 재량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교과교실제의 실시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 재량 과목은 탐구 실험 수업으로 교과교실에서 진행되었고, 블록타임제와 분반 수업을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교과교실제 수업과 이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2차례에 걸쳐 학생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학생들은 교과교실제 수업으로 인해 교사의 수업 준비도, 수업 흥미도가 높아졌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과학 실험 중심의 과학 재량 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며(84%), 이공 계열 지망 학생(p<.05)과 성취도 상위권 학생(p<.01)의 경우 유의미하게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블록타임제와 분반 수업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등학교 이동식 교과교실제 운영 효율화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실태 및 사용자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remote subject classroom system in the secondary education - subject to high school consumers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ir cognition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2호
    • /
    • pp.61-7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research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consumers (students and teachers) and managerial characteristics for model classes of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and to draw the effective plan of the syste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advantage of the system is to fulfill the educational goal according to an individual level and ability of each student while the biggest disadvantage is the inconvenience of students to change their classrooms for each specific clas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arrange the classrooms according to the applied subjects from the aspect of curriculum management since the time frame is not convenient for recess. English and mathematics are required preferentially as applied subjects, however Korean (as a national language) and science are needed to be taught with level-differentiated classes, too. The ideal size of classes is most likely 20-25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Lastly, the space of environment is another requirement to secure smooth flow of students' movements and extra space for technical devices used for information research. The above analysis indicates the necessity of supplementation in space planning for further implementation of subject classroom system in secondary school.

수학 교과교실의 발전 방향 제안 (An investment on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mathematics subject classroom)

  • 이종희;박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1호
    • /
    • pp.65-83
    • /
    • 2012
  • 본 연구는 현재 시범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수학 교과교실이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원활한 수학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수학 교과교실의 발전 방향을 탐색해보기 위하여 먼저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일반적으로 교과교실제를 운영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과교실 시범학교로 지정된 8개 학교를 선정하여 방문하고, 수학교사를 면담하여 수학 교과교실의 환경과 운영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변화되어야 할 사항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수학 교과교실은 환경, 교육과정 운영, 교수-학습 등 여러 측면에서 보완해야 할 점이 있었다. 이에 수학 교과교실의 운영 방안과 5가지 수업 원리를 제안하였고, 수학 교과교실을 협동학습실, 첨단미디어실로 구분하여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수학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 PDF

청주지역 중학교 휴게·편의시설의 배치 및 공간구성 연구 (A Study on Arrangement and Space Layout of Resting·Convenience Facility for Middle Schools in Cheongju Region)

  • 이재형;이지영;정진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1-28
    • /
    • 2010
  • As the issues such as safety, hygiene, convenience of school fac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living environment for students and teachers arise as an important task in recent, there is increasing concern for resting convenience facility in school. In recent,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change middle high school into the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The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refers to the school operation system in which the classroom is structured as a subject-specialized classroom and the students move to the classroom according to their class schedules. This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is advantageous in that each subject can be equipped with professional facilities or preparations; the usage rate of the classroom can be enhanced; the common study space or living space can be used substantially; the school can plan and operate its own specialized space. On the contrary, it has the weaknesses that there is need to prepare the home base for the guidance of the class or student guidance; there is need for the facilities including personal lockers. Thus, the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requires the space expansion for home base or the resting convenience space for students and thus has to provide various spaces. Under this background, it is also important to check and plan the resting space for the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arrangement location and space Layout of the resting convenience space among school facilities to propose the architectural data for future resting/convenience spaces for the schools.

농촌지역 고등학교의 교과교실제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in High School in the Rural Area)

  • 양금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33-4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lan of high schools in the rural area. Recently, many high schools are remodeling the buildings and facilities based on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This study, through analyzing on 2 remodeling cases of small high schools in the rural area of gyeongnam. This article discuses about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plan composition and the education programs of 2 small high schools. This study is showing the variation before and after remodeling and space organization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of them take horizontal zoning system in the department classrooms. 2) Number and area of teachers' laboratory ware increased in most of floors. 3) Sample schools took much more spaces of homebase than before. 4)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main subject spaces before the other subject spaces.

수학과 교과교실의 효율적인 환경 구성과 운영을 위한 방향 탐색 (Mathematics Classroom in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What are Required for Effective Establishment)

  • 김창일;이봉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3-118
    • /
    • 2013
  • 이 연구는 교과교실제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수학과 교과교실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교과교실제를 운영하는 10개의 시범학교에서 수학교실을 경험한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 수학교사는 수학과의 특성, 교수 학습 방법, 학교와 학생의 상황 등을 충분히 반영하여 수학과 교과교실 환경의 구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교과교실 환경 구성의 의사결정 과정부터 적극 참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과 교과교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과교실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연수가 필수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학교 수학실의 기능 및 활용 방향 탐색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and Utilization of Mathematics Room in the Elementary School)

  • 고정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44
    • /
    • 2014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교과교실의 활용에 관한 내용이 언급된 후, 중등학교에서는 2014년까지 모든 학교에서 수학교과교실제가 전면 시행될 계획이다. 본 연구는 수학교과교실의 활용이 초등학교로 확장될 것으로 보고, 초등학교에서의 수학실의 기능 및 활용 방향을 탐색하였다. 수학실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설문을 구성하여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수학실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수학실의 기능과 활용에 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실의 주요 기능으로 수학문화체험실, 수학레크리에이션실, 수학특별수업실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차후 중등학교의 수학교과교실과는 차별화되는 초등학교 수학실의 구성 및 활용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부산시 교과교실제 운영 중학교의 창의환경특성 평가 연구 (An Evaluation Study of Creativit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Middle School of Subject Classroom System in Busan)

  • 여지연;이태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2호
    • /
    • pp.65-74
    • /
    • 2019
  • The whole world is emphasizing 'creativity' as the core competence of the future society that global talents should have in the 21st century. Korea is also activel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by recognizing these times and social needs. It is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is an essential condition of education. As a result, the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as an institutional method for creative education since 2009, and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system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acilities of credit school system introduced from 2022 to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door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environment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space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middle schools operated by the advanced classroom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autonomy and sociality was relatively high and the satisfaction of comfort was the lowe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environment.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a priority should be given to ways to enhance sociality in space so as to support smoot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students, and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plan for creative classroom classroom.

초등 교과 교육을 위한 플립 러닝 기반 스마트 교수-학습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lipped Learning-Based Smart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Subject Matter Education)

  • 이미화;박상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9-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과 교육을 위한 플립 러닝 기반 스마트 교수-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고 이를 초등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교과 성취 수준 및 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교수-학습 시스템은 비디오 파트, 데이트 파트, 러닝라인 파트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플립 러닝 기반 수업을 위하여 프레젠테이션, 사전 수업 동영상, 스프레드시트 등이 제작되었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 시스템을 수업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의 교과 성취 수준 신장 및 교과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