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culum concentration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4초

원유오염농도와 미생물 농도가 탄화수소의 생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il Contamination Levels and Microbial Size on Hydrocarbon Biodegradation.)

  • 백경화;김희식;이인숙;오희목;윤병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8-412
    • /
    • 2003
  • 오염토양에 유류분해능을 가진 Nocardia sp. H17-1의 접종시 고려되어야 할 인자중 하나인 초기 오염농도에 의한 탄화수소분해능과 초기 접종농도에 의한 분해능 및 균주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H17-1은 실험 50일 동안 초기 오염농도 10, 50, 100 g Arabian light oil/kg of soil에 대해 각각 78.5%, 94.3%, 53.2%의 탄화수소를 제거하였으며, 오염농도가 높을수록 분해속도 상수(k) 낮아졌다. $CO_2$의 생성량 또한 오염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100 g/kg-soil의 오염농도에서는 균의 생육이 저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17-1의 초기 접종농도에 의한 영향은 균의 접종량에 따라 최종 남은 TPH의 양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분해속도상수(k)는 균의 접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크게 증가되었으며, $CO_2$의 생성량 또한 균의 접종농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오이 뿌리혹선충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 확립 (Development of Efficient Screening Methods for Resistant Cucumber Plants to Meloidogyne incognita)

  • 황성민;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9-125
    • /
    • 2014
  • 연작 재배로 인하여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과 같은 식물 기생 선충에 의한 피해는 오이 재배 면적이 늘어나면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생산량의 감소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으로 경종적 방제의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재배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저항성 육종 소재를 찾기 위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뿌리혹선충 M. incognita를 이용한 오이의 선충병 발생 정도를 접종원 농도, 오이 생육 시기 및 이식 시기 등의 다양한 발병 조건에 따라 오이 4개 품종('드레곤삼척', 아시아스트라이크', '네박자', '하늘백다다기')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접종원의 접종 농도가 증가 할수록 오이의 뿌리혹선충병 발생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지만, 오이의 생육 시기 및 이식 시기에 따른 오이의 뿌리혹선충병 발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오이 품종의 뿌리혹선충병 저항성 검정 조건으로 온실($25{\pm}5^{\circ}C$)에서 파종 후 21일간 재배하고, 이식한지 7일 후에 5,000개의 뿌리혹선충 알 접종으로 45일 이후에 병 조사를 하는 것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적정한 발병 조건에 따라 시판 중인 오이 45개 품종의 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목 6개 품종에서 난낭수 100개 이하의 뿌리혹선충병 발생 정도를 보였고, 특히 '유니온' 대목 품종은 중간 저항성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실험한 모든 품종들은 유사한 정도의 높은 감수성을 나타냈다. 이들 결과들을 바탕으로 M. incognita에 대한 오이 품종의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양한 접종원을 이용한 바이오수소 생산 평가 (Evaluation of Biohydrogen Production Using Various Inoculum Sources)

  • 김근희;이지호;양효주;이윤영;양윤용;최성호;허문석;이병희;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57-56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토양, 담수 및 염수 퇴적물, 슬러지 등 8종의 접종원을 이용하여 배양인자(기질종류, 염농도, 배양온도)에 따른 바이오수소 생산 잠재능을 평가하고 최적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각 접종원 별 바이오수소 생산속도는 배양온도와 접종원 종류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반면 기질종류와 염농도는 바이오수소 생산속도에 대체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고온(50°)보다 중온(37℃)의 배양 온도가 수소 생산에 더 적합하였으며, 8종의 접종원 중에서 중에서는 혐기소화슬러지의 수소 생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혐기소화슬러지의 최대 수소 생산속도는 중온(37℃)과 고온(50℃)에서 각각 2,729.0 및 1,384.7 ml-H2·l-1·d-1였다.

황산화균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를 이용한 사격장 토양 내 중금속 용출 (Bioleaching of Heavy Metals from Shooting Range Soil Using a Sulfur-Oxidizing Bacteria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

  • 한협조;이종운;고명수;최낙철;권영호;김병규;전효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5호
    • /
    • pp.457-469
    • /
    • 2009
  • Pb, Zn, Cu등으로 오염된 사격장 토양을 대상으로 하여 황산화균인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를 이용한 미생물학적 중금속 용출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 에너지원인 황의 농도, 미생물 접종량, 반응 온도 등의 조건이 중금속 용출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황의 투입량 및 미생물의 초기 접종량이 높을수록 중금속 용출 효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황 및 미생물을 접종하지 않은 경우에는 중금속 용출량이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26^{\circ}C$ 조건에서의 중금속 용출량에 비하여 $4^{\circ}C$ 조건에서의 용출량은 매우 낮았다. 오염 농도가 가장 높은 Pb의 경우 다른 중금속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용출량을 나타내었으나 그 효율은 가장 낮았으며 이는 용출되어 나온 Pb가 $PbSO_{4(s)}$로써 침전 또는 콜로이드 입자를 형성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연속추출법을 적용하여 반응 전과 후의 중금속 존재 형태의 변화를 파악한 결과, Zn, Cu, Cr의 경우 용출이 용이한 형태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였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사격장 토양 등의 현장 복원에 미생물학적 용출 기법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에너지원의 농도, 미생물의 접종량, 반응 온도 등의 인자가 용출 효율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음식물류폐기물의 돼지 발효사료화를 위한 종모배양액 제조 (The Manufacture of Inoculum for Fermented Pig Feed Production from Food Wastes)

  • 이경석;홍승윤;김영준;이기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2호
    • /
    • pp.98-108
    • /
    • 2007
  • 본 실험은 음식물류 폐기물을 돼지발효사료로 만들기 위해 공기주입과 보조용양원으로 돼지혈분의 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발효용 종모균주로는 돼지의 내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Lactobacillus brevis와 딸기에서 분리한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가 이용되었다. 배지원료로는 당밀과 유청이 효모엑스와 함께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공기주입은 생균수를 높여주었고 사멸기를 저지하는 효과를 보였다. 보조 영양원으로 돈혈분이 효모엑스를 대치할 경우에도 생균수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종모발효액은 상온에서 저장할 경우 1주일간 Lactobacillus brevis와 Saccharomyces cerevisiae생균수가 모두 8 log cfu/mL대를 유지했다. 종모발효액이 음식물류 폐기물과 혼합될 경우 이틀 뒤부터는 잡균이 증가되기 시작했으나 5일 이내에는 E.coli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Pseudomonas elodea ATCC 31461에 의한 gellan 생산의 최적 배양조건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for the gellan production by Pseudomonas elodea ATCC 31461)

  • Lim, Sung-Mi;Wu, Jian-Rong;Lee, Jin-Woo;Kim, Sung-K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05-711
    • /
    • 2003
  • Pseudomonas elodea ATCC 31461에 의해 생산되는 미생물 다당류인 gellan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flask상에서 inoculum size, 탄소원 종류 및 농도, 질소원 종류, C/N ratio등을 조사하였다. Gellan 생산을 위한 최적 inoculum size는 5%(v/v)로 나타났으며, 1.0%(w/v)의 glucose에서 2.22의 최대 specific yield 와 $0.03 g/\ell$의 생산성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ammonium nitrate가 없을 때 최대 생산을 얻을 수 있어, gellan 생산을 위해서 nitrogen limitation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Glucose와 bactopeptone을 이용하여 C/N ratio를 조사한 결과 20에서 gellan 생산이 가장 높게 나왔다.

연초(Nicotiana tabacum cv. Xanthi) 배양세포로부터 Ubiquinone-10 생산을 위한 현탁배양

  • 양덕춘;최광태;박지창;강신웅;이정명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4-69
    • /
    • 1999
  • The effect of phytohormones, light and phosphate on in vitro production of ubiquinone 10 from the suspension cultures of Nicotiana tabacum cv. Xanthi callus was investigated. The inoculum size and cultured time in the suspension culture had to be at least over 2 % of medium volume at 15 days for the excellent growth of Xanthi callus. The growth of Xanthi callus in the suspension culture was improved by addition of NAA and 2,4-D, especially NAA 1.0mg/1 alone, at the light condition.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phytohormone was 0.1 mg/l 2.4-D and 1.0 mg/l NAA for productivity of ubiquinone 10 in the suspenseion of Xanthi callus. Addition of 3mM KH$_2$PO$_4$ to the medium was more effective in promoting ubiquinone-l0 formation than other concentration in the light condition. Content and production of ubiquinone-l0 in the suspension cultures of Xanthi callus were the highest at the MS media containing 0.5mg/L kinetin, 0.5mg/L 2,4-D, 1.0mg/1 NAA, 3mM phosphate and 2 % inoculum in the light.

  • PDF

광합성 세균을 이용한 고농도 양돈슬러리의 무취화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Deodorization Management of Swine-Slurry by Addition of Phototrophic Bacteria)

  • 이명규;권오중;정진영;태민호;허재숙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7-147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deodorization effect of swine-slurry by addition of phototrophic bacteria(PTB). The pilot-scale reactors operation conditions was designed by the inoculum amounts of PTB and light-conditions. Treatment conditions was divided into 3 types; 106 MPN/ml$.$Dark(T-1), 108 MPN/ml$.$Dark(T-2), 108 MPN/ml$.$Natural light(T-3). The changes of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fatty acids(VFAs), hydrogen sulfide(H2S), ammonia (NH3) and odor intensity were analyz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35 days). From results of this study, the maximum intensity of odor in the headspace of the reactor T-1 was 4.82 and T-2, T-3 was 2.63, respectively. In swine-slurry of reactors used, it almost took 10 days until to be stabilized with solid and liquid phase. Intensity of odor in headspace was mainly derived from the liquid phase. The PTB inoculum method to swine-slurry was very effective in reduction of VFAs, H2S and Sulfate-reducing bacteria(SRB) concentration. Expecially, It was interested in reverse growth behaviour of SRB and PTB in these conditions.

  • PDF

우유내의 LP system의 생리기능 및 항균성에 관한여구 1.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 (Studies on the Biological Func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Lactoperoxidase System in Milk)

  • 정충일;남은숙;김대원;전형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1998
  • 본 연구는 E. coli O157:H7에 대한 LP system(lactoperoxidae/thiocyanate/hydrogen peroxide)의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기 접종수준($10^{2},\;10^{4},\;10^{7}cfu/ml$), LP의 농도 (10ppm, 20ppm, 30ppm), 배지종류 (TSB, UHT milk, raw milk), 배양온도 ($5^{\circ}C,\;10^{\circ}C,\;15^{\circ}C$) 등에 따라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 비교한 결과, 초기 접종수준을 $10^2/ml$으로 하였을 때와 LP의 농도를 10ppm 및 $5^{\circ}C$ 배양에서 항균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우유내의 LP system의 생리기능 및 항균성에 관한 연구 2.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효과 (Studies on the Biological Func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Lactoperoxidase System in Raw Milk 2. Antibacterial Effect of Lactoperoxidase System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 정충일;남은숙;김대원;이원창;정동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3-8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L. monocytogenes에 대한 LP system의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초기 접종수준($10^{2},\;10^{4},\;10^{7}\;CFU/ml$), LP의 농도는 (10, 20, 30ppm), 그리고 저장온도(5, 10, $15^{\circ}C$), 배지종류(TSB-YE, UHT milk) 에 따라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 비교한 결과 초기접종수준을 $10^{2}\;cfu/ml$로 하였을때와 LPshd도는 10ppm 및 $5^{\circ}C$로 배양에서 항균력이 높게 나타났다. UHT milk를 이용한 LP system의 항균 효과는 Tryptic soy agar를 이용한 시험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