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lammabl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3초

전압인가식 제전기의 방전에 의한 가연성가스의 폭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ammable Gas Explosion Triggered by the Electric Discharge Static Eliminator on Voltage Application Type)

  • 이춘하;옥경재;김점호;권병덕;차하나;윤계원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2-26
    • /
    • 2004
  • 정전기 방전에 의하여 주위의 가연성 가스에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가스관련시설, 석유화 학 공장, 화약공장, 필름생산공장, 반도체 공장 등과 같은 가연성 가스를 주로 취급하는 장소에서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제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장소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압인가식제전기(static eliminator)의 Bar에서 발생하는 방전에 의한 가연성 가스의 폭발현상을 고찰하였다. 가연성 가스는 수소, 에틸렌, 프로판, 메탄 가스 등을 사용하였으며, 제전기의 이온발생 Bar의 길이, 이온발생 전극의 수 및 이온발생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점화 현상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Bar의 길이가 짧을수록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900㎜이상의 Bar에서 전극의 수가 1개인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연성 가스에서는 점화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UNIFAC 그룹 기여 모델에 의한 n-Octnae+n-Decane 계와 n-Octane+n-Dodecane 계의 인화점 계산 (Flash Point Calculation for n-Octane+n-Decane and n-Octane+n-Dodecane by UNIFAC Group Contribution Model)

  • 하동명;이성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6-91
    • /
    • 2015
  • The flash point is used to categorize inflammable liquids according to their relative flammability. Such a categorization is important for the safe handl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inflammable liquids. The flash point temperature of two binary liquid mixtures(n-octane+n-decane and n-octane+n-dodecane) has been measured for the entire concentration range using Seta-flash closed cup tester based on the ASTM D3278 method. The closed cup flash point temperature was estimated using the UNIFAC(Universal Functional Activity Coefficient) group contribution model. The experimentally derived flash point was also compared with the predicted flash point from the UNIFAC model. The UNIFAC model is able to estimate the flash point fairly well for n-octane+n-decane mixture and n-octane+n-dodecane mixture.

콘덴서의 발화 메커니즘 실험 (A Study of the Ignition Mechanism in Electric Condenser Iksan Firestation)

  • 김상순;이재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3-113
    • /
    • 2021
  • As the use of capacitors in electrical appliances and electrical control circuits increases, the related electrical fire is increasing. There are various parts such as resistors, coils, and capacitors that make up an electric circuit. Among them, the ignition of a capacitor with a temporary charging fun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apacitor. Capacitors can explode due to various reasons, and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they explode ignites the inflammable dielectric, which in turn burns the inflammable materials such as the surrounding electric wires and spreads into a fire. In this paper, the ignition mechanism is studied by conducting a reenactment experiment on the various probabilities that can be ignited in an electric capacitor, and the prevention measures to be applied to the fire prevention are presented.

가연성 물질에 따른 워터커튼 시스템의 열 및 연기유동 제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flammable Materials on the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rmal and Smoke Fluid of Water Curtain System)

  • 유우준;남준석;김동준;이정균;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53-5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물질을 고려한 워터커튼 시스템(Water Curtain System)의 열 및 연기유동 제어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Room Corner Tester(RCT)를 사용하여 연료의 종류가 소나무(PineWood)와 가솔린(Gasoline)인 경우 각각의 발열량(Heat Release Rate)을 구하였으며, 워터커튼용 화재실험 장치를 제작하여 화원근방에서 5m 떨어진 지점의 천장 부근에 분사각도 $180^{\circ}$, 오리피스 직경 8.2 mm의 노즐(Nozzle)을 설치한 후 목재와 가솔린 각각에 대해서 화재실험을 실시하여 워터커튼 전후의 온도분포와 가시도를 측정하였다. 그결과 워터커튼 시스템의열및연기유동 제어는 가연성 물질의 연소특성에 따른 고온의 연기발생량과 분사 노즐에 의한 유동현상이 중요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센서 어레이와 주성분 기법을 이용한 가연성 가스 인식 (Recognization of Inflammable Gases Using Sensor Array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이대식;허증수;이덕동
    • 센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8-117
    • /
    • 2001
  • 폭발성 및 가연성 가스의 종류 및 그 정량화론 위한 10개의 개별 센서가 하나의 기판 위에 집적시킨 센서 어레이를 개발하였다. 이 센서어레이는 여러 가지 가연성 가스(부탄, 메탄, 프로판, 일산화탄소, LPG)에 대해서 차별화 된 감도 패턴을 가지도록, 나노 사이즈의 grain를 가지는 $SnO_2$를 모 물질로 하는 10개의 서로 다근 감지 물질로 구성하였고, 센서어레이 전반에서 균일한 온도 분포가 되도록 히터를 기판에 내장시켰다. $400^{\circ}C$에서 동작하는 어레이상의 센서들은 저농도에서도 고감도와 재현성의 특성을 보여 주었다. 이들 감도패턴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 기법을 통해 환경기준치(LEL, TLV) 범위에서 부탄, 프로판, 메탄, LPG의 폭발성 및 가연성 가스의 종류 인식 및 정량화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주성분 분석 기법으로 치적 센서 개수 선정에 응용하였다.

  • PDF

냉장고 파쇄 공정에서의 화재 위험성 및 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in the Recycling Process of Used Refrigerators)

  • 이수경;송동우;배정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72-7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냉장고 리사이클링 공정에서 잦은 화재가 일어나는 것에 대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공정 내에서 발생되는 물질의 성분 및 농도를 분석을 통한 공정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근원적인 화재 및 폭발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예방대책을 제시하여 보았다.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결과들은 파쇄공정의 가연물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분진 및 가연성기체 혼합물인 사이클로펜탄과 메탄의 존재 확인이며 점화원은 기계적 스파크인 마찰, 충격, 마찰열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화재 양상은 폴리우레탄의 표면의 가연성 혼합 가스는 주로 사이클로펜탄의 점화, 폴리우레탄 분진의 훈소 및 가연성혼합가스의 flash fire 임을 알 수 있었다. 가연물인 폴리우레탄과 가연성가스를 제거하는 방법, 점화원을 제거하는 방법 및 산소농도를 최소산소농도로 낮춰서 연소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등의 예방대책과 화재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호대책을 제시해 보았다.

가연물의 발열량 특성을 고려한 화재감식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Scheme of Fire Identification Considering the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of Inflammable Material)

  • 강정기;오진희;유우준;유홍선;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52-57
    • /
    • 2014
  • 본 연구는 건축 구조물의 방화 등으로 인해서 발생한 가연물의 연소현상을 분석하여 화재발생 시점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계단실 화재사고 사례로부터 가연물을 인터폰 개별현관기(이하 '인터폰'으로 표시)로 선정하고 룸코너시험기(room corner test equipment)에서 화재실험을 실시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발열량을 산출하였으며,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사용하여 화재성상 변화에 따라서 발화지점 하층부로 연기가 유입되는 시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연물이 ABS 재질로 구성된 인터폰은 계단실 총 체적 공간 $291.3m^3$, 바닥면적 $23.3m^2$, 층간 높이 2.5 m인 경우 발화원의 열 유속 및 환경 조건에 따라서 최대 4.93배 정도 연기 유입 시간이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연물의 열화학적 특성 변화를 고려한 실험 자료를 해석모델에 적용하여 화재감식을 분석적으로 판단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전압인가식 제전기의 방폭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sion proof by the electric discharge on voltage application type)

  • 이춘하;김점호;박민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62-69
    • /
    • 2004
  • 정전기 방전으로 인한 재해방지, 생산효율의 향상, 정전기 방전에 민감한 전자소자의 보호를 위하여 각종 생산 공정에서는 정전기의 제전이 필요하다. 그래서 필름생산공장, 도장공장, 반도체 공장 등에서 이러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압인가식 제전기 bar의 길이, 동관의 길이 및 전극 간격을 변화시켜가면서 최적의 제전효율을 가지는 조건을 고찰하고, 이러한 조건에서 발생되는 방전에 의한 가연성 가스의 폭발 유무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제전효율은 각각의 제전 bar에서 접지전극과 침상전극 사이의 간격이 8-11(mm)사이 일 때 최적의 제전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최적의 제전효율을 나타내는 bar에 대하여 가연성 가스의 폭발실험을 한 결과 폭발은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이용하여 최적의 제전효율과 안전성을 가지는 방폭형 전압인가식 제전기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에 의한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