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dermi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사과 '후지' 과실의 조직 발달 (Development of Fruit Structure in 'Fuji' Apples)

  • 박희승;박지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68-372
    • /
    • 2000
  • 만개기로부터 성숙기까지 사과의 과실구조에 대하여 1997년부터 1998년도 사이에 연속적으로 관찰하고 과실발달에 미치는 적과처리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개기를 기준으로 세포분열은 약 4~5주간 지속되고 만개후 65일경부터 epidermis와 hypodermis로 구성된 과피의 구별이 가능하였으며, 과피를 구성하는 세포의 수는 이 시기부터 성숙기까지 같았다. 사과 과실의 유관속조직은 중앙심피유관속, 측부심피유관속, 화판유관속, 악편유관속 등이 알려졌으나 그외에 hypodermis의 경계부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과실의 외부를 두르고 있는 외부유관속과 심실의 주변을 둘러싼 내부유관속이 새로 발견되었다. 개화기의 내부 epidermis에서는 기공이 보이다가 수일 내에 사라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성숙기 '후지' 과실의 과피는 epidermis를 포함하여 약 7~9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고 $100{\sim}120{\mu}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과피 부분에도 상당히 큰 세포간극들이 나타나 과실조직이 치밀하지 못한 특성을 보여 주었다. 개화기에는 발견되지 않던 탄닌의 경우 만개 후 약 30일이 지나면서 epidermis와 hypodermis 층에 주로 형성되기 시작하나 100일 정도가 지나면 epidermis 층의 탄닌이 완전히 사라졌으며 만개후 160일경에는 다시 형성되었음이 관찰되었다. 과실이 발달하는 동안 전분립은 만개기부터 세포분열 기간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후 특히 과육부위에 많이 형성되었다가 성숙기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수송 전 Diniconazole과 D-mannitol, D-sorbitol, Wax의 혼용 살포에 따른 접목 선인장 산취의 품질과 표피의 변화 (Quality and Epidermal Changes of Chamaecereus silvestriiafter the Spray of the Mixtures of Diniconazole and D-mannitol, D-sorbitol, Wax before Transportation)

  • 박선미;남상용;이병철;이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4-149
    • /
    • 2011
  • 본 연구는 품질증진제 처리가 산취(Chamaecereus silvestrii) '희망'의 모구품질과 표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생체중은 D-sorbitol 처리구보다 D-mannitol 처리구에서 감소율이 낮아 효과적이었다. Diniconazole 200ppm처리는 산취의 자구생육을 어느 정도(수치화) 억제하여 장기수송(50일)에 더 적합하였으며 자구색의 발현 어느 정도(수치화)에도 효과적이었다. 산취 모구의 표피구조는 비모란에 비해 하피 발달이 저조하고 어느 정도(수치화) 단층이며 세포벽도 얇아 어느 정도(수치화) 수송조건에 불리하였는데 생육의 억제효과가 높은 diniconazole 200ppm + D-mannitol 10,000ppm과 발색효과가 좋은 diniconazole 200ppm + wax 살포가 저장 중의 품질 유지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기니픽, 마우스 그리고 랫드에서 EPO (Erythropoietin)의 항원성에 관한 고찰 (Antigenicity of EPO (Erythropoietin) in Guinea Pigs, Mice and Rats)

  • 이학모;남정석;제정환;이석만;양재만;강병철;박재학;송동호;유선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1_2호
    • /
    • pp.153-156
    • /
    • 1997
  • The antigenicity of EPO (erythropoietin) was investigated in guinea pig, mice and rats. Antigenicity tests-active systemic anaphylaxis (ASA),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of this material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egulation of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Safety Research (1996, 4, 16). The results were followed: 1. After sensitizaion with EPO emulsified with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 guinea pigs didn't show any anaphylatic shock symptom in the ASA test 2. After sensitization with antisera of EPO sensitized mice, blue spots were observed on the hypodermis of back of rats in the PCA test, but diameter of each spot was smaller than 5 mm. From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the antigenicity of EPO was negative under the present experimental condition.

  • PDF

선천성 갑상선종에 의한 무모 돼지 발생 (Occurrence of Hairless Piglets with Congenital Goiter)

  • 김재훈;손현주;김형욱;진영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57-461
    • /
    • 2003
  • A diagnosis of iodine-deficient goiter was confirmed in newborn piglets that were born hairless edematous, and with markedly enlarged thyroid gland. Clinically, most of the piglets were born dead, extreme weakness or dying within a few hours of birth. Gestation periods were prolonged for 3-7 days. Histopathologically, hair follicles were scarce and reduced in size, contained slender hairs, and revealed a shallow penetration into the hypodermis that showed severe diffuse edema. Thyroid glands had severely hyperplastic follicles and poorly staining colloid. The follicles were irregular in size and shape depending on varying amounts of lightly eosinophilic and granular colloid in the lumen. The iodine content of the diet fed to the sows and plasma total thyroxine and triiodothyronine concentration of sows were very low. This is a first report for iodine-deficient goiter in newborn piglets in Korea.

'만풍배'의 생육기별 해부학적 구조와 과실품질 (The Characteristics of Anatomical Structure and Fruit Quality According to Fruit Developmental Stage of Pyrus pyrifolia Nakai cv. Manpungbae)

  • 박지은;권용희;이별하나;박요섭;정명희;최진호;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07-414
    • /
    • 2013
  • 본 연구는 '만풍배'의 생육단계 및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의 해부학적 차이를 알아보고, 수확기 과실의 품질 및 착색특성 관찰을 통하여 '만풍배'의 생리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만개기의 과실구조는 바깥쪽으로부터 외표피층, 아표피층, 유조직층, 내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표피층을 이루는 세포 층수는 만개기부터 만개 후 77일까지 9-13층까지 최대로 증가하여 '만풍배'의 세포 분열 기간은 만개 후 77일까지로 조사되었다. 이 기간 동안 아표피층에서 유관속조직까지의 두께는 $73.1{\mu}m$부터 $195{\mu}m$까지 증가하였다. 석세포는 만개 후 7일부터 관찰되어 만개 후 49일에는 석세포군이 형성되어 있었다. 코르크층은 만개 후 49-77일 사이에 형성되었다. 성숙기인 만개 후 161일 '만풍배' 과실의 과피는 바깥쪽부터 코르크층은 4.5층, 아표피층은 7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아표피층에는 탄닌이 분포해 있었다. '만풍배'의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비대 및 조직발달을 비교한 결과, 괘대 초기에는 코르크층이 유대재배구에서 더 빨리 생겨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성숙기에는 3층 정도 무대재배구에서 더 두꺼워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석세포군의 크기는 두 실험구 모두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과중은 무대재배구에서 더 높았으나 수확기의 당도는 괘대 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만풍배'의 수확기 과중 등급은 301g부터 900g 이상까지 분포하였고, 그 중 551-800g의 과실이 총 수확량의 71.6%로 가장 많았으며 이 범위의 평균 과중은 677.2g이었다. 과실품질은 가용성 고형물 함량 $10.1-12.1^{\circ}Brix$, 산도 0.10-1.24%, 당산비 9.76-14.31로 분포하였으며 과중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 크기가 클수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도 높았다. 반면에 경도는 과중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크기가 클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피의 황갈색 부분과 녹색 부분을 구분하여 코르크층 수와 함께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코르크층은 황갈색 부분은 3.8층, 녹색부분은 3.5층으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록소 함량은 녹색부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면 어류의 시기별 근육성분 분포에 관한 조직학적 관찰 - 2. 짱뚱어(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근육조직중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질 분포의 변화 (Histological Observation on the Seasonal Changes of Distribution of Muscle Components in Hibernant Fish - 2. Distributional Change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Components in the Muscle Tissues of Mudskipper,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 박일웅;홍재식;이근광;김종배;강귀환;김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5-202
    • /
    • 1995
  • 짱뚱어를 대상으로 산란기 전(6월), 산란기 후(9월)와 동면 직전(11월), 동면직후(4월)에 있어 자웅(雌雄) 각각에 대한 근육성분의 조성을 분석하고 주요 육(肉)성분에 대한 조직내 분포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도(肥滿度)는 암컷은 산란기 전, 숫컷은 산란기 후가 다소 높았으나 동면후는 가장 낮았다. 수분 함량은 자웅(雌雄) 모두가 산란기 후가 가장 적으나 동면 직후가 가장 많았고 조단백질은 산란기 후에, 조지방은 암컷은 산란기전, 수컷은 산란기 후가 가장 많아 수분과 조단백질 사이 (암컷, 수컷), 그리고 수분과 조지방 함량 사이(수컷)의 변화양상이 대체로 상보적(相補的) 관계를 이루었고 탄수화물함량은 자웅(雌雄) 모두가 동면직전에 다소 많았고 동면직후에 가장 적었다. 근육조직의 PAS염색강도가 산란기 전에는 비교적 근육조직 전반에 걸쳐 높게 나타났고 동면직후는 점액층과 표피층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뚜렷한 차이는 인지할 수 없었다. Sudan black B 염색결과, 지방질 염색반응이 산란기 전과 후에는 주로 점액층과 표피및 피하층에 나타났고, 피하조직 세포 사이에서도 다소 인지되었다. 동면 직전과 직후에는 조직전반에 걸쳐 염색반응이 산재된 경향이었으나 동면직후는 그 정도가 다소 적은 편이었다.

  • PDF

동면어류의 시기별 근육성분 분포에 관한 조직학적 관찰 - 1.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근육조직중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질 분포의 변화 (Histological Observation on the Seasonal Changes of Distribution of Muscle Components in Hibernant Fish - 1. Distributional Change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Components in the Muscle Tissues of Loach, Misgurnus mizolepis)

  • 박일웅;홍재식;이근광;김명곤;김종배;강귀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7-194
    • /
    • 1995
  • 동면어류의 물질대사에 대한 학술적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자연산 미꾸라지의 암컷과 수컷을 시료로 하여 시기별 (산란기 전 ; 5월, 산란기 후 ; 8월, 동면직전 ; 11월, 동면직후 ; 3월)근육성분의 조성과 육조직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질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도(肥滿度)는 암,수 모두가 산란기후에 다소 높았고, 동면직후에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은 산란기 후에 가장 적었으나 동면직후에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산란기 후가 가장 높았으나 동면직후에 가장 낮아 이들 함량의 변화 pattern이 상보적(相補的)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탄수화물은 동면직전이 다소 많으나 동면직후에는 감소된 경향이었다. 근육 조직의 PAS염색 결과, 산란기후 표피의 점액 부위와 피하조직의 근육세포에서 비교적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진피층의 두께가 동면직후와 산란기 전이 산란기 후와 동면 직전보다 얇게 나타났다. Sudan black B 염색결과, 지방 성분 염색반응이 암컷은 산란기 전에 근육 세포층에 비교적 넓게 분포된 경향이었고, 수컷은 주로 점액층과 표피층에 나타났다. 산란기 후는 주로 표피 및 피하조직에 나타났고 동면직전과 후는 조직 전체에 분포하였으나 그정도가 동면직후에 다소 적은 편이었다.

  • PDF

Histopathological and DNA Content Analysis of a Dermal Sarcoma in the Soft-shelled Turtle Pelodiscus sinensis

  • Syasina Iraida Germogenovna;Hur Jun-Wook;Kim Eun-Mi;Park In-Se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3호
    • /
    • pp.107-114
    • /
    • 2006
  • A dermal sarcoma was found in a freshwater, soft-shelled turtle Pelodiscus sinensis. The neoplasm consisted of proliferating fibrous tissue and extended from the dermis. The overlying epidermis was hyperplastic and partially folded. The deeper dermis and hypodermis contained three large, discrete necrotic foci of -10 mm diameter. Numerous eosinophilic granule cells and macro phages surrounded the necrotic areas. A mixed population of cells with nuclear pleomorphism was observed between the papillary layers of vessels. This area also had regions of different histological structures: (l) regularly arranged, spindle-shaped cells with compact nuclei in a fine-fibrillar matrix; (2) haphazardly arranged cells ($\leq$ 23 11m diameter) with ovoid, highly hypertrophic, faintly stained nuclei; and (3) cells (3.6-5.8 11m diameter) with irregularly shaped nuclei and marginal condensed chromatin in a myxomatous matrix. Some mitotic figures, binucleate cells, and multinucleate giant cells of up to 50 11m in length were also found. Flow cytometry of propidium iodide-stained cells yielded different histograms for the normal skin and the skin (primarily epidermis) and fibrous dermis of the tumor, indicating DNA heterogeneity in the dermal portion of the tumor. The ploidy indices for the dermal cells were 1.91 and 0.78, as compared to normal cells.

Hairless 마우스에서 대추 열수추출물의 피부내 염증 및 장벽 손상 완화 효과 (Alleviative Effects of Jujube Water Extract on the Inflammation and Barrier Damage in Hairless Mice Skin)

  • 최소영;김영철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4호
    • /
    • pp.351-357
    • /
    • 2009
  • To investigate the alleviative effects of jujube water extract (JWE) on the inflammation and skin barrier damage, both the irradiation of UVB and the application of squalene monohydroperoxide (Sq-OOH) were applied to the back skin of experimental animals for 4 weeks. And at the same time experimental materials were applied topically. Six weeks female SKH-1 hairless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five animals for each group) including normal (N; saline), control (C; UVB+Sq-OOH+saline), vehicle control (VC; UVB+Sq-OOH+vehicle), positive control (PC; UVB+Sq-OOH+0.01% retinoic acid) and experimental (E; UVB+Sq-OOH+JWE) groups. The skin erythema index in the E group was significantly low compared to the C group (p<0.05). Lipid (p<0.05) and water (p<0.01) capacities in the 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e C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 group, E group showed a relatively well preserved lipid lamellae in the epidermis and a relatively much less infiltration of mast cells in the dermis or hypodermis. As for the both absolute and relative weights of the spleen, PC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JWE have a considerably inhibitory effect on the inflammation and the skin barrier damage induced by UVB irradiation and Sq-OOH application.

Analysis of C. elegans VIG-1 Expression

  • Shin, Kyoung-Hwa;Choi, Boram;Park, Yang-Seo;Cho, Nam Je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6호
    • /
    • pp.554-557
    • /
    • 2008
  • Double-stranded RNA (dsRNA) induces gene silencing in a sequence-specific manner by a process known as RNA interference (RNAi). The RNA-induced silencing complex (RISC) is a multi-subunit ribonucleoprotein complex that plays a key role in RNAi. VIG (Vasa intronic gene) has been identified as a component of Drosophila RISC; however, the role VIG plays in regulating RNAi is poorly understood. Here, we examined the spatial and temporal expression patterns of VIG-1, the C. elegans ortholog of Drosophila VIG, using a vig-1::gfp fusion construct. This construct contains the 908-bp region immediately upstream of vig-1 gene translation initiation site. Analysis by confocal microscopy demonstrated GFP-VIG-1 expression in a number of tissues including the pharynx, body wall muscle, hypodermis, intestine, reproductive system, and nervous system at the larval and adult stages. Furthermore,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VIG-1 is present in each developmental stage examined. To investigate regulatory sequences for vig-1 gene expression, we generated constructs containing deletions in the upstream reg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GFP expression pattern of a deletion construct (${\Delta}-908$ to -597) was generally similar to that of the non-deletion construct. In contrast, removal of a larger segment (${\Delta}-908$ to -191) resulted in the loss of GFP expression in most cell types. Coll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406-bp upstream region (-596 to -191) contains essential regulatory sequences required for VIG-1 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