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tal nurse

검색결과 2,012건 처리시간 0.024초

상복부초음파검사 급여확대에 따른 의료이용의 변화: 이중차이 혼합효과모형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Effect of Coverage Expansion Policy for an Ultrasonography in the Upper Abdomen on Its Utilization: A Difference-in-Difference Mixed-Effects Model Analysis)

  • 손예나;이용재;남정모;김규리;정우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6-334
    • /
    • 2020
  • Background: Korea has gradually expanded the coverage of medical care services in its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On April 1, 2018, it implemented a policy that expanded the coverage for an ultrasonography in the upper abdomen.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olicy on the utilization of the ultrasonography in the upper abdomen in tertiary care hospitals. Methods: Using the dataset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e explored changes in the utilization of the ultrasonography in the upper abdomen in tertiary care hospitals from July 1, 2017 to November 30, 2018 through the difference-in-difference (DID) mixed-effects-model method. Facility factor, equipment factor and personnel factors, type of hospital, the total amount of medical care expenses, and geographic region wer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Results: On average, the utilization of the ultrasonography in the upper abdomen increased by 228% after the coverage expansion policy. However, the results of DID mixed-effects-model method analysis showed that the utilization increased by 73%. As for the number of beds, the utilization was higher with a group of 844-930, 931-1,217, and 1,218 or greater compared with a group of 843 or fewer, while the utilization of the number of ultrasonic devices was lower with a group of 45-49 compared with a group of 44 or fewer. The utilization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interns and the number of nurse assistants. Besides, relative to Seoul, the utilization was lower in the other metro-cities and provinces. Conclusion: The coverage expansion policy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creased service utilization among people. Future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the degree to which such coverage expansion policy reduces the unmet medical care needs among the deprived in Korea.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직 장기근무 의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ng-term intentions of nursing students in graduate students)

  • 안미나;김서인;박민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76-484
    • /
    • 2020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직에 장기간 근무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도의 G시와 J도의 G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4학년 116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11월 1일부터 11월 27일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였고,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그리고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직 장기근무 의도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전공만족도(β=.54, p<.001), 취업 후 진로를 병원으로 원하는 경우(β=.28,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6.5%이었다(F=51.00, p<.001).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낙관성 및 사회적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취업 후 진로(병원)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간호대학생 대상의 간호직 장기근무 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의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부터 전공만족도 향상을 통해 간호직 장기근무 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 불안 및 대리양육 (Parenting Stress, Parenting Guilt Feelings, Separation Anxiety and Alternative Care in Hospital-Nurses)

  • 박윤경;이주연;임소라;장희란;강효정;김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02-3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미취학 자녀를 가진 기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을 파악하고 대리양육에 따라 이러한 변수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8월 15일부터 2014년 1월 30일까지로 대상자는 미취학 자녀가 있는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3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불안은 공통적으로 나이, 직장만족도, 양육에 대한 직장동료 및 배우자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대리양육의 만족도와 대리양육형태에 따라서도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그리고 격리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에서 출근 시 일반보육시설에 맡기거나 다른 양육자의 집에 맡기는 경우가 다른 양육자가 가정으로 와서 대리양육을 하는 경우보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이 더 많았다. 어머니의 심리적인 부담은 자녀의 양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성인력의 비중이 높은 병원 간호사의 지속적인 근무를 위해서는 양육을 지지할 수 있는 직장 내 환경개선과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양육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감정노동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u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 김경옥;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794-3803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감정노동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의 3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514명을 대상으로 2012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간호사들의 감정노동수준에 따른 우울수준은 감정노동의 총 평균점수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우울수준과 감정노동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수로는 연령, 여가시간여부, 커피음용여부, 주관적인 건강상태, 업무의 육체적인 부담정도, 업무에 대한 만족도, 업무에 대한 적성여부 및 감정노동 점수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들 전체 변수들의 설명력은 39.4%이었으며, 특히 감정노동변수의 투입으로 11.0%의 설명력을 증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조사대상 간호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감정노동과 우울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감정노동은 다른 변수보다 우울에 대한 설명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감정노동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객불량행동, 직무소진, 긍정심리자본이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ustomer's Badness Behavior, Job Burnou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Embeddedness of Nurses)

  • 권정옥;강정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05-21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불량 행동, 직무소진, 긍정심리자본이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2개 광역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3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9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불량 행동은 직무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24, p=<.001), 긍정심리자본(r=-.37, p=<.001), 직무착근도(r=-.48, p=<.001)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무소진은 긍정심리자본(r=-.44, p=<.001), 직무착근도(r=-.31, p=<.001)와 유의한 부적 상관간계,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착근도(r=.49,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직무착근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특성 중 직위(β=-.19, p=.001)와 독립변인 중고객불량 행동(β=-.34, p<.001), 긍정심리자본(β=.32, p=.004)이었고, 이들 변인은 직무착근도를 38%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사의 직무착근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불량 행동을 근절하고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어린이 화상사고의 실태와 예방대책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Burn Accidents in Children towards Developing a Program for Prevention)

  • 한정석;서미혜
    • 대한간호
    • /
    • 제36권4호
    • /
    • pp.61-74
    • /
    • 1997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which was done to examine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burn accidents in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a burn prevention program.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the mothers of 107 children admitted to two burn specialty hospitals in seoul and the mothers of 172 healthy children attending day care or kindergarten. The tool used in the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pretested and refined. Cronbach's alpha was 0.72.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November 1995 and April 1996. Statistically analysis was done using SAS Version 6.04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est, chi square, regression and logistic analysis. A suumary of the results shows the following : Eighty percent of the children in both groups lived in nuclear families but comparatively more of the children with burn accidents lived in apartments. More of the parents in the group of healthy children had university education and held white collar or professional jobs, while the parents of the children with burn accidents were slightly younger than the parents of the healthy children. but not significantly younger.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burn accidents had more than one chi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burn accidents that they were more frequently boys, either first or last born and very active. Most of the burn accidents occurred in fall or winter. sometime between noon and midnight and the majority occurred in the home and were caused by hot liquid. In 86% of the cases emergency care was not given at home but the child was brought to the hospital emergency unit. Most of the burns were second degree or greater. involved the arms or legs. required admission, and 41.5% occurred when the parents were preparing or eating meals. In a test of knowledge of preventive measures, the mothers of children who had suffered burn accidents scored slightly higher than the mothers who had no experience with burn accident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o what to do in the case of a fire, the mothers of the healthy children had more knowledge about who to notify. but 70% of the mothers in both groups did not know how to escape from the house if it was of fire. 80 to 96% did not know what do to in case of a fire, such as rolling if clothes were on fire. 80% did not know what emergency care to give for a burn, and 74 to 87% did not know when it is appropriate to try to put out a fire. It can be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si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most frequent situation which resulted in burn accidents was when the parents were not aware of the danger of burns or were not paying attention to the child. and when there were no protective devices to prevent burns. and that accidents most frequently occurred at home. the most effective way of preventing accidents is to develop in the parents a "safety mind", Since burn accidents in children are usually more severe than in adults. the physical.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damage is greater. In order to develop and awareness of this in the general public. the use of mass media. books and pamphlets and other educational media that provide education on prevention of burn accidents need to be utilized.

  • PDF

심도자 검사 환자의 기질불안과 대응양상에 관한 연구 (Coping Style and Trait Anxiety in Cardiac Catheterizaion Patients)

  • 김조자;허혜경
    • 대한간호
    • /
    • 제35권1호
    • /
    • pp.81-93
    • /
    • 1996
  • This descriptive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yle and trait anxiety in patients undergoing cardiac catheterization. The subjects selected were 69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cardiac catheterization in S hospital from , November 1st, 1994 to May 30th, 1995.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pielberger's Trait Anxiety Scale, Bendig's Short Form of the Manifest Anxiety Scale, Crowne & Morlowe's Social Desirability Scale, Millers Behavioral Style Scale, Information Subscale of Krantz Health Opinion Survey and Visual Analog Scale about informaton seeking behavior.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ge, sex, marital status, level of education and occupation, and the variables coping style and trait anxiety. 2. The mean of trait anxiety scores for the Spielberger Scale was 46.68. It is slightly above average.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o personality type: truely low anxious 25 (36.2%), highly anxious 25 (36.2%), and repressing 16 (23.2%), using a combination of scores from the Bendig Short Form Anxiety Scale and the Crowne Marlowe Social Desirability Scales. 3.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pielberger s trait anxiety and Bendig's personality type. 4. Each subject's preference for either monitor or blunter coping strategy was assessed via the Miller Behavioral Style Scale. The proportion of Monitors (47.8%) and Blunters (52.2%) among the subjects were similar. The means of preference for information measured on the Krantz's subscale and Visual Analog Scale were 4.18, 80.79 respectively. Because these scores appeared above average, subjects tended to be higher seeker an information rather than avoiding it. 5.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iller's Behavioral Style and Spielberger's trait anxiety. 6.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Bendig's personality types. and the preference on information of Krantz's and Visual Analog Scale. and Miller's Behavioral Styles. But 56.0% of the subjects who were highly anxious used Monitor strategy for coping.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do not permit any relationship inferences between coping style and trait anxiety. Patients undergoing cardiac catheterization must receive interventions on stress reduction because the cardiac 'catheterization creats a situation of psychological stress. Therefore, the nursing interven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ardiac catheterization have to be given based on each patient's coping style and on their trait anxiety.

  • PDF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내용과 흡연습관과의 관련성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윤현숙;안권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047-2054
    • /
    • 2015
  •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흡연 유무와의 관련성을 알아볼 목적으로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872명을 대상으로 2012년 2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조사대상자의 기본적 속성, 흡연습관 및 JCQ에 의한 직무스트레스요인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흡연률은 53.0%로 나타났으며, 기본적 속성에 따른 흡연상태를 보면, 흡연군은 연령, 직급 및 근무경력이 높은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흡연상태에서는 직무 요구도가 높은 군과 상사의 지지도가 낮은 군에서 흡연군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직위 및 근무경력을 조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흡연에 대한 위험비는 업무요구도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상승한 반면, 상사의 지지도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 내용 중 업무요구도와 상사의 지지도는 흡연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A형 행동유형과 피로자각증상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ype A Behavior Pattern and Fatigue Symptom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 길경옥;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589-2599
    • /
    • 2012
  • 일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A형 행동유형과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일부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06명을 대상으로 2011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A형 행동유형의 분포는 A형 행동유형군이 50.7%, B형 행동유형군이 49.3%이었으며, 피로자각증상의 분포는 정상군이 76.8%, 고위험피로군이 23.2%이었다. A형 행동유형에 따른 피로자각증상의 분포를 보면, 피로자각증상이 정상인군은 B형 행동유형군이 높은 반면, 고위험피로군은 A형 행동유형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A형 행동유형은 피로자각증상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B형 행동유형군보다 A형 행동유형군에서 고위험피로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A형 행동유형군은 B형 행동유형군보다 피로자각증상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연구대상에 대한 A형 행동유형과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Turnover Intention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 김여진;박금숙;양은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52-362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의료기관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 및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수술실 간호사 1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연령(F=5.629, p=.004), 결혼상태(t=-2.907, p=.004), 자녀유무(t=-2.623, p=.010)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는 연령(F=11.924, p<.001), 결혼상태(t=-4.747, p<.001), 자녀유무(t=-4.434, p<.001), 수술실 근무경력(F=6.000, p=.003), 수술실 근무배경(t=-2.543, p=.012)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연령(F=21.472, p<.001), 교육수준(F=4.997, p<.008), 종교유무(t=3.235, p=.001), 수술실 근무경력(F=13.599, p<.001), 직위(t=3.222, p=.002), 수술실 근무배경(t=-3.001, p=.003), 근무형태(t=-2.797, p=.006)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스트레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요인이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32.6%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스트레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스트레스와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대응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