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enting Stress, Parenting Guilt Feelings, Separation Anxiety and Alternative Care in Hospital-Nurses

종합병원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 불안 및 대리양육

  • Received : 2014.04.07
  • Accepted : 2014.05.26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guilt feelings and separation anxiety and alternative care in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with preschooler at 2 hospitals from August 2013 to January 2014.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163 nur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satisfaction of work place and co-worker, spouse support of parenting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guilt feelings and separation anxiety in common. The majority type of alternative care was surrogate foster home when they went to work.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 of alternative care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guilt feelings and separation anxiety. Particularly, those who use child day-care center and surrogate foster home showed more parenting guilt feelings and separation anxiety in Scheffe post-hoc comparison. As a result, it is needed to b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nd policy for nurses' parenting support to continue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미취학 자녀를 가진 기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을 파악하고 대리양육에 따라 이러한 변수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8월 15일부터 2014년 1월 30일까지로 대상자는 미취학 자녀가 있는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3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불안은 공통적으로 나이, 직장만족도, 양육에 대한 직장동료 및 배우자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대리양육의 만족도와 대리양육형태에 따라서도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그리고 격리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에서 출근 시 일반보육시설에 맡기거나 다른 양육자의 집에 맡기는 경우가 다른 양육자가 가정으로 와서 대리양육을 하는 경우보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이 더 많았다. 어머니의 심리적인 부담은 자녀의 양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성인력의 비중이 높은 병원 간호사의 지속적인 근무를 위해서는 양육을 지지할 수 있는 직장 내 환경개선과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양육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사업보고서 및 제2차 기초분석 보고서, 2009.
  2. 대한간호정책연구소, 분야별 활동 간호사 및 간호사 현황분석연구, 2006.
  3. 김영숙, 권미경, "간호사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13권, 제2호, pp.86-94, 2010.
  4. 강미란, 맞벌이 부모의 자녀 대리양육 유형과 양육스트레스,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 김교성, 김경희, "직장보육시설과 일반보육시설 이용하는 여성근로자의 보육의 질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 및 격리불안정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제33권, pp.1-22, 2003.
  6. 최정애, 간호사의 영유아보육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7. 권영순, 취업간호사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직무 및 가족관련 변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8. 강수정, 김숙영,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4호, pp.508-515, 2011.
  9. 장인숙, 자녀양육에 대한 죄책감, 격리불안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0. 백영숙,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양육죄책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1. 송원경, 간호사의 대리양육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효능감 및 행동,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2. 손인순, 김호미, 박광옥, 한상숙, "병원 간호사의 양육실태와 직장 보육시설 요구도 조사", 임상간호연구, 제16권, 제1호, pp.51-60, 2010.
  13. 강희경, 김기현,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제35권, 제5호, pp.141-150, 1997.
  14. M. B. Mann, and K. R. Thornburg,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day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27, pp.451-464, 1987. https://doi.org/10.1080/0300443870270304
  15. 조복희, 박성옥, "어머니 격리불안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6-37, 1992.
  16. 김기현,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회지, 제9권, 제1호, pp.71-84, 2000.
  17. 오재연, 유구종,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5호, pp.73-94, 2007.
  18. 오재우, 문영숙, 박인숙,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10호, pp.469-481, 2013.
  19. A. Rotkirch, "Maternal guilt," Evolutionary Psychology, Vol.8, pp.90-106, 2009.
  20. 박주영, 조복희, "주말부모 어머니의 자녀양육실태, 격리불안과 죄책감", 대한가정학회지, 제38권, 제11호, pp.77-88, 2000.
  21. 강윤심, 다양한 보육형태로 살펴본 육아문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2. O. Peleg, E. Halaby, and E. Whaby,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differentiation of self to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and adjustment to kindergarten: A study in Druze familie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20, pp.973-995, 2006. https://doi.org/10.1016/j.janxdis.2006.01.008
  23. 김명희, 한세용,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격리불안과 양육죄책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19권, 제4호, pp.99-115, 2012.
  24. A. Tharner, P. C. M. Maartje, Marinus, H. van IJzendoorn, M. J. Bakermans-Kranenburge, W. V. J. Vincent, A. Hofman, F. C. Verhulst, and H. Tiemeiera, "Infant Attachment, Parenting Stress, and Chil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t Age 3 Years,"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Vol.12, No.4, 2012.
  25. 정은선, 이자영,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및 강인성이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04-21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204
  26. 권경옥, 3교대근무 병원간호사의 자녀보육서비스 이용실태 및 욕구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Cited by

  1. Adaptation Process of Nurses Who Return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vol.22, pp.1,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1.33
  2. Experience of Conflict in Three Shift Nurses Rearing more than Two Kids: Phenomenological Study vol.24, pp.3, 2018, https://doi.org/10.4069/kjwhn.2018.24.3.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