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ney forest resource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Hovenia (Hovenia dulcis) Monofloral Honey Produced in South Korea

  • Park, Seung Hee;Kim, Young Ki;Kim, Moon Seob;Lee, Seung 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1-230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Hovenia (Hovenia dulcis) monofloral honey produced in Korea. To produce Hovenia monofloral honey, Hovenia trees were surrounded by a net house, and honeybees were breed there over a 20-day period. Hovenia monofloral honey contained more than 95% of Hovenia pollen and show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agreement with the international honey standard (Codex).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Hovenia monofloral honey ranged from a 24.82-27.00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 honey and a 0.41-0.46 mg quercetin equivalent/100 g honey, respectively. In addition, to evalu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Hovenia monofloral hone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ovenia monofloral honey was estimated by us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and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ssay. Furthermore, Hovenia monofloral honey showed an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gram positive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and gram negative bacteria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O157:H7).

머신러닝기법을 활용한 가리왕산과 유명산 지역 주요 밀원수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Habitat Suitability of Major Honey Trees in the Mt. Gariwang and Mt. Yumeong through Machine Learning Approach)

  • 이용주;이민기;이해인;이창배;심형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1-325
    • /
    • 2023
  • 본 연구는 가리왕산, 유명산에 자생하는 주요 밀원수종인 음나무, 벚나무류, 피나무류 및 쪽동백나무를 대상으로 머신러닝기법(i.e., MaxEnt)을 활용하여 서식지 적합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형의 예측정확도인 AUC 값은 대부분의 밀원수종이 0.7 이상이었으며, 주요 환경 변수에 대한 반응 곡선 결과 주요 밀원수종의 서식지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은 고도, 연평균 강수량, 연평균 기온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도 구배에 따른 기후 인자가 주요 밀원수종의 분포 패턴 설명에 있어 주요한 환경 변수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밀원수림의 조성 및 관리 전략수립 뿐만 아니라 밀원수종의 분포도 제작 시 근거 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다양한 층위에서의 꿀과 화분의 생산량 증대 및 꿀의 주년 생산을 위해서는 생물학적 변수를 반영한 다양한 지역 단위의 추가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Effect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human impact on understory honey plant richness: implications for pollinator visitation

  • Cho, Yoori;Lee, Dowon;Bae, SoYe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1호
    • /
    • pp.1-8
    • /
    • 2017
  • Background: Though the biomass of floral vegetation in understory plant communities in a forested ecosystem only accounts for less than 1% of the total biomass of a forest, they contain most of the floral resources of a forest. The diversity of understory honey plants determines visitation rate of pollinators such as honey bee (Apis mellifera) as they provide rich food resources. Since the flower visitation and foraging activity of pollinators lead to the provision of pollination service, it also means the enhancement of plant-pollinator relationship. Therefore, an appropriate management scheme for understory vegetation is essential in order to conserve pollinator population that is decreasing due to habitat destruction and disease infec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diversity of understory honey plant and studied how it is related to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1) canopy density, (2) horizontal heterogeneity of canopy surface height, (3) slope gradient, and (4) distance from roads. Vegetation survey data of 39 plots of mixed forests in Chuncheon, Korea, were used, and possible management practices for understory vegetation were suggested.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113 species among 141 species of honey plant of the forests were classified as understory vegetation. Also, the understory honey plant diversity i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tance from the nearest road and horizontal heterogeneity of canopy surface heigh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nopy density. Conclusions: The diversity of understory honey plant vegetation is correlated to vegetation structure and human impact. In order to enhance the diversity of understory honey plant, management of density and height of canopy is necessary.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ed diversity of canopy cover through thinning of overstory vegetation can increase the diversity of understory honey plant species.

MaxEnt 모형을 활용한 백두대간에 자생하는 주요 밀원수종인 음나무, 피나무, 쪽동백나무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Habitat Suitability of Honey Tree Species, Kalopanax septemlobus Koidz., Tilia amurensis Rupr. and Styrax obassis Siebold & Z ucc.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using MaxEnt Model)

  • 심형석;이민기;이창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50-60
    • /
    • 2022
  •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 자생하는 주요 밀원수종 3종(음나무, 피나무, 쪽동백나무)을 대상으로 서식지 적합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백두대간 내 밀원수종 서식지 적합도 분석을 MaxEnt를 이용하여 수행한 결과, 모형의 예측정확도 AUC값은 음나무 0.747, 피나무 0.790, 쪽동백나무 0.755로 나타났다. 밀원수종의 서식지 적합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수로 음나무와 피나무는 고도, 연평균 기온, 경사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쪽동백나무는 연평균 기온, 고도, 연평균 강수량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대상수종 모두 지형인자인 고도와 기후인자인 연평균 기온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도와 기온이 대상 수종의 분포 패턴을 설명하는데 매우 핵심적인 인자임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임업소득 향상을 위한 고부가가치 아이템인 산림양봉의 필수자원인 주요 밀원수종들의 서식지 적합성 분석을 통해, 백두대간 내 주요 밀원수종의 관리와 밀원림을 조성할 수 있는 잠재력이 높은 중요 적합지들에 대한 자료를 제공한다. 향후 밀원수종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 건조도 등의 무생물적 인자와 종간경쟁 등의 생물적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of Beekeeping Practices in Ethiopia

  • Dekebo, Aman;Bisrat, Daniel;Jung, Chuleu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9-180
    • /
    • 2019
  • Beekeeping has been practiced for centuries in Ethiopia. Currently, there are three broad classification of honey production systems in Ethiopia; these are traditional (forest and backyard), transitional(intermediate) and modern(frame beehive) systems. Ethiopian honey production is characterized by the widespread use of traditional technology resulting in relatively low honey yield and poor honey quality. Despite the challenges and constraints, Ethiopia has the largest bee population in Africa with over 10 million bee colonies, of which 5 to 7.5million are hived while the remaining exists in the wild. Consequently, these figures, indeed, has put Ethiopia as the leading honey and beeswax producer in Africa. In fact, Ethiopia has even bigger potential than the current honey production due to the availability of plenty apicultural resources such as natural forests with adequate apiculture flora, water resources and a high number of existing bee colonies. However, lack of well-trained man powers, lack of standardization, problems associated with honey bee pests and diseases, high price and limited availability of modern beekeeping equipment's for beekeepers and absconding and migration of bee colonies are some of the major constraints reported for beekeeping in Ethiopia. In this review, an attempt was made to present all beekeeping practices in Ethiopia. The opportunities and major constraints of the sector were also discussed.

Free Sugar and Organic Acid in the Fruit of Hawthor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Selected Clones as Honey Plant in Korea

  • Park, Youngki;Kim, Jae-Hee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97-301
    • /
    • 2018
  • Hawthorn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nd has been used as herbal medicine for treating various cardiovascular disease, arteriosclerosis and hypertension in Korea. In order to select superior honey tree plant from Korea, the free sugar and organic acid in hawthorn fruits, including five Korean clones and four Chinese cultivars, were evaluated. We also compared these hawthorn fruits of five clones (selected from different area of Korea) with Chinese hawthorn cultivars. Glucose, galact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the major sugar components of hawthorn.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content. The highest sucrose content of hawthorn fruit was 188.12g/100g in Daegeumseong cultivar. The sweetness index, which plays important role of taste, was also calculated from the content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The contribution of each carbohydrat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fact that fructose is 2.30 and sucrose 1.35 times sweeter than glucose. The highest sweetness of hawthorn fruit was 579.52 in Pocheon clone. Main organic acid detected in hawthorn fruit were citric acid, malic acid and shikimic acid. The highest citric acid and malic acid content in hawthorn fruit were 157.50g/100g (Pocheon 3) and 34.12g/100g (Daegeumseon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using food and functional food products, due to the beneficial effects of free sugar and organic acid for human health such as antioxidants and anticarcinogenic properties.

피나무의 임지생산력지수 및 임분수확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Site Productivity Index and Yield Prediction Model for a Tilia amurensis Stand)

  • 김소라;임종수;이선정;송정은;이혜림;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209-216
    • /
    • 2023
  •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피나무림의 임지생산력지수와 수확예측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나무의 임지생산력을 알 수 있는 지위지수는 Schumacher 모델로서 파라미터를 도출하였으며, 이 결과로서 지위지수분류곡선도를 작성하였다. 국내 피나무림 지위지수 분포는 8~16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령을 설명변수로하여 흉고직경과 수고를 추정하는 생장모델은 Chapman-Richards 모델과 Weibull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 도출하였다. 추정 모델의 적합도는 각각 0.32, 0.11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볼 때 낮은 값이었으나, 추정식의 잔차가 "0"을 중심으로 고르게 분포하여 식을 적용하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나무림의 임분축적 변화에는 흉고단면적과 지위지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인자를 적용시켜 피나무림의 수확모델을 도출하였으며, 모델에 대한 설명력은 약 94%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수확모델의 잔차에 대한 정규성 및 자기상관 등에 대해서도 검증한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피나무림의 생장모델과 수확모델을 이용하여 임시로 활용할 수 있는 임분수확표를 제작하였으며, 이 자료에 의하면 피나무림이 70년생이 될 때, ha당 축적은 약 208 m3 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밀원자원 및 목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피나무림에 대한 경영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수량화이론 I방법에 의한 아까시나무 임분의 적지 환경인자 도출 (Derivation of Suitable-Site Environmental Factors in Robinia pseudoacacia Stands Using Type I Quantification Theory)

  • 김소라;송정은;박천희;민수희;홍성희;임종수;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3호
    • /
    • pp.428-434
    • /
    • 2022
  • 본 연구는 밀원식물인 아까시나무의 적지적수 조림을 위해 임지생산력을 나타내는 지위지수를 도출하고, 지위지수에 어떠한 입지환경인자가 영향을 미치는 지를 수량화이론 I방법으로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와 1/5,000 산림입지토양도 상의 임령, 우세목 수고 및 각종 입지환경인자였다.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에 의한 우리나라 아까시나무 임분의 지위지수는 평균 14였으며, 범위는 8에서 18 사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지위지수에 영향하는 입지환경인자는 모암, 기후대, 토양성질, 국소지형과 해발고였으며, 수량화이론 I방법을 적용한 추정모델의 적합도는 33%였다. 이 추정모델의 적합도는 낮으나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어 지위지수와 입지환경인자 간의 상호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지위지수와 입지환경인자 간의 수량화 분석 결과, 모암은 변성암, 화성암이, 기후대는 온대중부지역 이상에서, 토성은 식양토, 미사질양토가, 국소지형은 산복 지역에서 높은 점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지생산력(지위지수)에 영향하는 입지환경인자 각각의 편상관을 분석한 결과, 산림 내 토양의 성질과 해당 입지의 해발고에 대한 편상관계수가 0.4129, 0.4023으로 각각 나타나, 이들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Changes in 'Autumn Sense' Hardy Kiwi (Actinidia arguta) as Honey Plant during Fruit Ripening

  • Park, Youngk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7-332
    • /
    • 2017
  •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Actinidia arguta fruit of Autumn Sense cultivar during fruit ripening.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find the knowledge of the changes of physiochemicals associated with fruit quality, antioxidant properties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during fruit ripening. The highest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00{\mu}g/ml$) and reducing power (at $100{\mu}g/ml$) in A. arguta fruit were 78.57% and 0.22,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in fruit of 10 days after fruit set were $639.48{\mu}g/g$ and $1052.2{\mu}g/g$, respectively. In general,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related parameters, including total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decreased during fruit ripening. These results improve knowledge of the effect of ripen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contents that could help to establish the optimum A. arguta fruit harvest data for various usages.

유망 밀원수종 이나무의 화밀 특성 분석 (Analysis of Nectar Characteristics of Idesia polycarpa)

  • 김영기;송정호;박문수;김문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512-520
    • /
    • 2020
  • 본 연구는 유망 밀원수종인 이나무를 대상으로 객관적인 밀원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화밀분비량, 유리당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나무는 암수딴그루로 수꽃이 암꽃보다 약 4일정도 빨리 개화하였고, 개화시기는 5월 14일부터 5월 30일까지 약 17일간 개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밀분비 패턴을 조사한 결과 수꽃은 개화 3일차에 5.0 ± 2.5μL로 가장 높았고, 암꽃은 개화 2일차에 1.1 ± 0.4 μL로 가장 많이 분비되었다. 개화기간 동안 분비된 총 화밀량은 수꽃 9.7 ± 2.9 μL, 암꽃 1.7 ± 0.5 μL로 조사되었으며, 건조화밀량은 수꽃 2.2 ± 0.6 μL, 암꽃 0.8 ± 0.3 μL을 나타내어 암수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화밀 내 유리당 함량은 수꽃 54.6 ± 15.4 ㎍/μL, 암꽃 20.5 ± 4.9 ㎍/μL으로 조사되었으며, 꽃 하나당 당 함량을 산출한 결과 수꽃 170.7 ± 15.4 ㎍, 암꽃 24.9 ± 5.5 ㎍으로 수꽃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수꽃은 19개 아미노산에서 20.4 ± 3.9 mg/L, 암꽃은 11개 아미노산에서 3.2 ± 0.1 mg/L가 검출되었으며, 수꽃의 경우 glutamine, asparagine, proline 순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암꽃 화밀에서는 asparagine, glutamic acid, glutamine 순으로 높게 조사되어 차이를 나타냈다. 이나무는 주요 밀원수종인 아까시나무의 개화 종료 후에 개화하고, 개화기간이 길며, 화밀 분비량과 화밀 내 유리당 및 아미노산 함량 등 화밀 특성을 고려할 때 밀원수종으로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