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coming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인 다시 되기: 최근 미국 연극에 나타난 성인 입양인의 귀환과 젠더 연습 (Re-made in Korea: Adult Adoptees' Homecoming and Gendered Performance in Recent American Plays)

  • 나은하
    • 미국학
    • /
    • 제43권1호
    • /
    • pp.25-56
    • /
    • 2020
  • The essay examines two contemporary American plays that portray adult Korean American adoptees' return to South Korea: How to Be a Korean Woman (2012) by Sunmee Chomet and Middle Brother (2014) by Eric Sharp. While the existing scholarship on transnational adoption has discussed homecoming as a predominantly female experience of birth mothers and daughters, Chomet and Sharp suggest the differing ways in which the adoptee subjectivity is re-imagined in particularly gendered ways after homecoming. In these plays, adult adoptees' repeated, mundane bodily performances of Korean cultural norms illustrate how notions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are inscribed onto the body of adoptee individuals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Such performative construction of Korean-ness departs from the earlier theatrical representations of young, adolescent adoptees' homecoming that served as a symbolic rite of passage, a necessary process through which they would gain cultural hybridity and mature into cosmopolitan American-ness.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 소장된 베트남전 귀국상자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Vietnam war Homecoming box in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김수철;장은정;안주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5호
    • /
    • pp.121-127
    • /
    • 2014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베트남전 귀국상자는 전체적으로 열화가 진행되어 색이 바래고 이물질 고착, 균열, 부후 등 손상이 심하였다. 특히 하단부는 충해로 인한 손상이 심한 상태이며 일부 남아있는 받침목은 열화와 갈라짐이 심하여 불안정한 상태이다. 금속 띠를 둘렀던 흔적이 바닥과 측면 중앙 모서리에 있으며 부착되어 있는 금속 띠와 상자 내부에 보관되어 있던 탈락된 금속 띠 모두 부식이 심하다. 또한 상자를 덮고 있는 뚜껑의 우측 하단부에는 검은 색의 이물질이 고착되어 있다. 보존처리는 처리 전 조사를 마친 후 클리닝, 균열 메움, 바닥 보강, 금속띠 부착 등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 PDF

외국인근로자 고용만료에 따른 귀국지원사업 분석 (An analysis on homecoming support project by employment expiration of foreign workers)

  • 유재섭;이승은;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1-459
    • /
    • 2014
  • To solve the serious problem of insufficient manpower in medium and small scaled companies, our country allows introduction of foreign manpower for 5 business types such as manufacture industry, service industry, etc. and there are 226,825 people who entered by employment license system(E-9) in Sep. 2013.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ctual status and difficulties of foreign manpower's employment of medium and small scaled manufacturing companies" of KFTA in 2013, 36.4%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current scale of introducing foreign manpower is insufficient to solve difficulties of insufficient manpower in industrial world and 37.7% of them responded that the quarter of new employment is insufficient. So, they hope that current quarter system of foreign manpower can be abolished. Meanwhile, introduction scale of foreign manpower was decided by 53,000 people so as to solve enterprise difficulties in manpower and vitalize economics this year, but illegal aliens are 39,623, more than 17.5%, in Sep. 2013 after employment expiration. Therefore, it becomes serious social problem. Government displays various support businesses so that foreign workers after employment expiration can return to their homeland legally. This thesis intends to find measures to maintain royalty for our country and support their smooth resettlement through the analysis on homecoming support business of foreign workers.

영화 <우리생애 최고의 해> 주제 연구 -귀향 장면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Themes in Homecoming Scene)

  • 신혜승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89-29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1940년대 할리우드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해>의 '귀향 장면'의 주제를 연구하였다. 그 장면 속에 제시되는 몇 개의 주제의 음악적 성격과 그 주제가 반복되고 변형되는 스타일을 분석함으로써 작곡가가 영화의 장면에 대응하는 방법을 밝히고자 하였다. 여기서 작곡가 프리드호퍼는 주제의 반복과 변형, 특정 음정과 분산화음의 빈번한 사용, 조성구조에서의 해결 지연과 화음의 연장이라는 방법을 주인공들의 심리 묘사에 사용한다.

  • PDF

일본군 '위안부' 영화의 자매애와 증언전수 가능성 (The Signification of Sisterhood and Testimony i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Films)

  • 권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14-421
    • /
    • 2017
  •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관객들의 관심 속에 소개된 두 편의 영화 <귀향>과 <눈길>은 모두 '위안부' 소녀들의 우정을 다루면서 살아 돌아 온자가 살아 돌아오지 못한 자를 고향과 저승으로 보내는 해원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기존의 '위안부' 서사들과는 다르게, 이 두 영화는 '위안부' 여성의 전장에서의 로맨스 플롯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일종의 여성공간을 구축하고 있다. 현실에서의 새로운 젊은 여성의 존재는 개인적 우정의 이야기를 자매애의 공동체 차원으로 확장시킨다. 특히 <눈길>은 '위안부' 할머니가 새로운 후속 세대 여성에게 증언을 전수하는 증언작업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영화적 현재에서는, 이렇듯 일본군 '위안부' 서사를 여성주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과거 식민지 시절의 재현은 많은 부분 기존의 가부장제적인 민족주의적 관점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 주인공들이 여전히 '순수하고 순결한' 조선소녀들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귀향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Baby boomers' Desire of Homecoming Migration)

  • 김지원;강정구;마강래
    • 지역연구
    • /
    • 제36권3호
    • /
    • pp.17-27
    • /
    • 2020
  •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3을 차지하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새로운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들은 산업화·도시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주도해 온 세대로, 또 한 번의 새로운 변화를 주도할 가능성이 있는 세대이다. 특히, 이전 세대와는 달리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 중 하나는 은퇴 후 귀향에 대한 욕구를 강하게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상당수의 베이비부머들이 경제적 여력, 고향지역의 열악한 정주여건 등과 같은 개인적·사회적 요인의 제약으로 인해 귀향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 5인(귀향희망자, 귀향예정자, 귀향자)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관점에 기반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해 이들의 귀향 저해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현 거주지인 대도시와 이주희망지인 고향지역 간 상대적 격차를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상대적 격차는 '경제', '의료', '관계', '정주환경' 네가지의 범주로 분류되었고, 이러한 요인이 이들의 귀향 실행의 장벽이 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베이비부머의 귀향정책을 정교화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에서 1954-2005년 동안 관측된 설날 귀성에 따른 일교차의 변화 (Changes in the Diurnal Temperature Range due to Homecoming in the New Year Holiday Observed in Seoul for the 1954-2005 Period)

  • 허창회
    • 대기
    • /
    • 제16권1호
    • /
    • pp.49-53
    • /
    • 2006
  • The present study has examined interdecadal variations of the diurnal temperature range (DTR, daily maximum temperature minus daily minimum temperature) during the New Year season in Seoul for the period 1954-2005. Here, the average DTR for the New Year holidays (three consecutive days; one day before the New Year, the New Year day, and one day after the New Year) minus the average DTR for 14 days, 7 days before and 7 days after the New Year holidays, is defined for representing the New Year effect. The DTR index does not show notable trend until the late 1970s but shows obvious positive values afterward. For example,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DTR between two periods (1980-2005 minus 1954-1979) is $0.65^{\circ}C$, which is meaningful at the 95% confidence level.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intense human activity even for the limited period may provide climate impact in local regions. Its plausible causes are discussed.

밤길 안전한 귀가를 위한 교복 리폼 프로젝트 (School Uniforms Reforming Project for Safe Homecoming at Night)

  • 이은정;김한빈;최정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223-22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늦은 귀가시 밤길 교통사고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교복을 개선하기 위한 발광체를 제작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발광체 제작을 위한 적절한 도구로 Lilypad arduino를 활용하여 e-textile을 개발하였으며, e-textile을 개발을 위하여 기존 발광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제품의 전반적인 구상, 제품의 디자인, 회로설계, 프로그래밍 및 오류 검토, 제작의 과정을 걸쳐 발광체를 완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작된 발광체는 기존 재귀반사판과 같은 발광체에 비해시각적 인식률을 높일 수 있었고 더 다양한 디자인으로 표현이 가능했으며 부착 위치에 있어서도 기존 발광체보다 융통성을 갖추게 되었다.

  • PDF

남북이산가족의 실향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Losing a Hometown among Korea's Divided Families)

  • 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2호
    • /
    • pp.143-152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chieve an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divided families in South Korea. The study adopted a qualitative method based on the interpretive science paradigm The participants were 14 elderly people who came from North Korea around 1950 and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first generation of divided familie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ocusing on what divided families experienced after leaving their hometown, how these experiences affected their meaning-making about their homecoming, and how the divided community has changed. The result of them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irst generation of divided families identified themselves as "people who lost their hometown." their hometown implied multiple losses, including their family members, socioeconomic status, and psychological support systems. The participants explained the process of their settlement and adaptation to South Korea based on the cohesion of the divided family community. However, they anticipated that the divided family community would fade away because of the aging of the first generation, the indifference of the second generation, and the frustration that existed about the reunion of the divided family members. The participants showed a realistic view on returning to their hometown after the reunific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Jean Rhys's Racial Disorientation: "The Imperial Road" and the Question of Racial Identification in the 1970s

  • Lee, Jung-Hwa
    • 영어영문학
    • /
    • 제55권3호
    • /
    • pp.441-458
    • /
    • 2009
  • The Imperial Road is Jean Rhys s unfinished manuscript, rejected by publishers for its openly racist tone. Although it describes Rhys s actual visit to Dominica in 1936, it is not a transparent recollection of the travel but a recreation informed by racial dynamics of the 1970s when she wrote the text. This paper examines the manuscript as a troubled (and troubling) response to what Rhys perceived as racial rejection from Dominica at the wake of political independence. Rhys s representation of white Creole womanhood significantly depends on an interwoven configuration of racial dynamics and sexual politics, where an oppressive white European man facilitates a white Creole woman s cross-racial identification with Afro-Caribbeans. However, the political and literary landscape of the West Indies in the 1970s made such cross-racial identification untenable. As a result, The Imperial Road is full of disturbing racial hatred, prejudice, and resentment. And yet, it also reflects Rhys s honest and serious concern over a white Creole s racial identity in postcolonial Dominica, raising a difficult question: How would a postcolonial age change a white Creole identity that belongs neither to the colonized nor to the colonizer (or both)? In The Imperial Road, unable to identify with Afro-Caribbeans, the white Creole is disoriented in time and space, lost at home, stuck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not knowing how to participate in a postcolonial homeland. Through the narrator s racial disorientation, The Imperial Road exposes the white Creole s fundamental dependence on other Creo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