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ignification of Sisterhood and Testimony i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Films

일본군 '위안부' 영화의 자매애와 증언전수 가능성

  • 권은선 (중부대학교 연극영화학과)
  • Received : 2017.06.05
  • Accepted : 2017.06.27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After the Korea-Japan comfort women's agreement, two films and were released with the audience's attention. Both films deal with the friendship of 'comfort women' girls. Unlike the existing 'comfort women' narratives, these two films are building a women's space based on a kind of sisterhood.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extends the story of personal friendship to the community level of sisterhood. In particular,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 testimony that the 'comfort women' grandmother passes testimony to a new generation of women. In the cinematic present, it shows the possibility of feminist thinking of the 'comfort women' narrative. However, the representation of the colonial period does not deviate much from the existing patriarchal nationalistic viewpoint. It is typical that the 'comfort women' characters are still set with a pure and innocent girls of Chosun era.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관객들의 관심 속에 소개된 두 편의 영화 <귀향>과 <눈길>은 모두 '위안부' 소녀들의 우정을 다루면서 살아 돌아 온자가 살아 돌아오지 못한 자를 고향과 저승으로 보내는 해원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기존의 '위안부' 서사들과는 다르게, 이 두 영화는 '위안부' 여성의 전장에서의 로맨스 플롯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일종의 여성공간을 구축하고 있다. 현실에서의 새로운 젊은 여성의 존재는 개인적 우정의 이야기를 자매애의 공동체 차원으로 확장시킨다. 특히 <눈길>은 '위안부' 할머니가 새로운 후속 세대 여성에게 증언을 전수하는 증언작업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영화적 현재에서는, 이렇듯 일본군 '위안부' 서사를 여성주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과거 식민지 시절의 재현은 많은 부분 기존의 가부장제적인 민족주의적 관점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 주인공들이 여전히 '순수하고 순결한' 조선소녀들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오윤성 옮김, 모든 것을 무릎쓴 이미지들, 도서출판 레베카, 2017.
  2.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00년 일본군 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한국위원회 증언팀,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4-기억으로 다시 쓰는 역사, 풀빛, 2001.
  3. 이유혁, "이동하는 또는 고통스러운 기억들-한국인 종군위안부들의 트라우마의 초국가적 이동, 그것의 문학적 재현, 그리고 식민의 망각에 관하여," 인문연구, 제64호, pp.267-300, 2012.
  4.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김홍기 옮김, 반딧불의 잔존-이미지의 정치학, 도서출판 길, 2016.
  5. Derrida, Jacques, Specters of Marx, Newyork & London: Routledge, pp.135-136, 1994.
  6. Derrida, Jacques, Specters of Marx, Newyork & London: Routledge, pp.126-128, 1994.
  7. 최은주, "위안부'=소녀이야기와 국민적 기억," 日本學報, 第107輯, pp.306-321, 2016.
  8.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김홍기 옮김, 반딧불의 잔존-이미지의 정치학, 도서출판 길, p.146, 2016.
  9. 노라 옥자 켈러, 박은미역, 종군위안부, 밀알, 2001.
  10. 송효정, "현재적 의미가 봉쇄당한 고통의 무기력함," 문학동네, 제23권, 제2호(통권 87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