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economics

검색결과 8,413건 처리시간 0.028초

SOURCE & SOLUTION OF A1R POLLUTION

  • Indonesia Home Economics Association Hj. Dewi Motik Pramono;Soemino Nasrul Tinuk Sitti Nursetiawati
    • 대한가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가정학회 1997년도 Program & Abstracts * The 7th Korea-Japan Home Economics Joint Syposium
    • /
    • pp.106-106
    • /
    • 1997
  • PDF

2009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 '소비생활' 영역의 내용 연계성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 Connectivity of the 2009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sumption' Area)

  • 박지숙;김정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337-349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f 12 kinds of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1) textbooks, 9 high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2 high school home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5 areas and 9 subject areas of 'Understanding of market and consumer', 'Reasonable consumption', 'Resolution and prevention of consumer problems', 'Formation of desirable consumption culture', 'Career and occupation related to consumption lif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connectivity of contents in the area of 'consumption life' in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revised in 2009, and analyzed connectivity of contents on the basis of 'developed', 'repeated', 'different' and 'reduc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nalysis results show that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1) textbooks are mainly dealing with problems related to consumption life and ways to practice healthy consumption life, high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emphasized understanding of consumption culture in modern life and practice and method of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and high school home science textbooks contain overall contents of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and consumption life. In general, contents were distributed as 'developed' 11 times (32.4%), 'repeated' 6 times (17.6%), 'reduced' 13 times (38.2%), 'different' 4 times (11.8%). Contents of the majority of textbooks are composed suitable for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but connectivity of 'developed' cannot be considered a desirable type of connectivity. various formation plans as suggested shall be devised not to let learning elements of 'consumption life' area discontinued considering school levels and achievement standard of curriculum.

가정실습실 공간 구축과 활용을 통한 진로 연계형 고등학교 선택 과목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Career-Related Elective Subject in the High School Establishing and Using the Laboratory Facilities for Home Economics)

  • 고재윤;김은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3-65
    • /
    • 2020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육 활동을 위한 가정실습실 공간 구축 및 활용 사례를 통해 진로 연계형 고등학교 선택 과목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선택 과목 추이와 학교 실험·실습실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 이를 가정실습실 구축을 통한 진로 연계형 고등학교 선택 과목 사례를 서울의 일반고교 두 곳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 현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목 중 가정 교과 관련 과목 개설은 학교마다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 학교의 경우 실험·실습실의 활용도가 높으며, 학생들의 선호가 있으나, 과목 개설에서 입시 과목과의 연관성에 대한 안내를 통해 학생들의 선택의 암묵적 유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가정교과 수업 시간 축소, 개설과목 축소는 교사 충원과 연관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과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으나 가정 교과와 진로 진학을 연계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가정 교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이는 교과 선택으로 연장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가정 교과 관련 과목의 개설과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신규가정과교사의 경험 탐색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Novice Home Economics Teachers Using Photovoice)

  • 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9-38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신규가정과교사로서의 교사생활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내용은, 신규가정과교사는 첫 1년 동안의 교사생활에서 무엇을 경험하며 이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연구방법론은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2022년 가정과교사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합격한 후 3월부터 수도권 중학교에 근무하는 신규가정과교사 3명이며, 2022년 2월~2023년 1월에 걸쳐 서면 인터뷰(2월, 1회), 포토보이스(3월~12월, 9회, 총 81장의 사진과 사진별 현장 노트), FGI(여름방학과 겨울방학)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주제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신규가정과교사의 내러티브는 크게 가정과교사 이야기와 신규교사 이야기로 구분되었다. 신규가정과교사는 가정과교사로서, '가정교과는 실천교과이다', '가정과교사는 변화를 만드는 교사이다', '가정교과는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의 하위주제로 자신들의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또 신규교사 이야기의 하위주제는 '이제 정말 시작이구나', '교직은 멋진 직업이다', '좋은 교사가 되겠다'이다. 이 연구는 신규가정과교사의 첫 1년을 그들의 목소리로 생생하게 탐색함으로써 신규교사의 학교생활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고, 연구전략이자 교육전략인 포토보이스의 가능성을 넓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