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er grad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3초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웹기반 진로안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Career Guidance System Applied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 민항기;이재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49-358
    • /
    • 2007
  • 본 연구는 개인의 일생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의 하나인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한 웹기반 진로안내 시스템을 개발 하는 것이다.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직업선택에 필요한 초보적인 지식, 일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와 가치관의 형성이 목적이므로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직업의 종류에 대한 안내가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검사결과를 알려주는 수준에 머물려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잠정적 진로선택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적합한 진로발달검사를 실시하고, 결과에 맞는 직업의 종류를 안내하는 웹기반 진로안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진로안내시스템은 검사결과를 알려주는 것에서 발전하여 검사결과 값을 우수지능 3개로 제시하여 검사자의 학습욕구를 자극하였다. 그리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우수한 지능영역을 알고 이 지능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와 하는 일에 대해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의 진로에 대한 인식과 진로선택의 바른 자세를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원주지역 초등학교 학생의 학교급식유형에 따른 영양섭취실태 조사 (A Study on Dietary Intak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ccording to School Foodservice Type in Won-Ju)

  • 오혜숙;박희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38-348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dietary intakes of 739 elementary students, 4-6grades, in Won-Ju area, in 1998, to enhance the effect of school foodservi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ost investigated students had nuclear family with one brother or one sister. 2. The average height of boys and girls was $141.0{\pm}7.7cm\;and\;141.4{\pm}8.0cm$, and the average weight of them was $35.7{\pm}8.5kg\;and\;36.1{\pm}8.5kg$,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3. The rates of obesity were 12.2% in urban, 7.4% in rural and 0% in remote rural area by Rohrer index and 22.9% in urban 13.9% in rural and 0% in remote rural area by the rate based on standard weight. 4. All nutrients intake of investigated students were sufficient according to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All nutrients intake of boys were higher than those of girls. Calcium intake of children with well educated mother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with poorly educated mother. Children in remote rural area had lower carbohydrate, calory and calcium intake than those in other areas. 5. Students without breakfast had lower protein and iron intake and higher calory from snack than those with breakfast. 6. Students who thought themselves to be obesity had low intake of carbohydrate, total calory and calory from snack and students with regular exercise had high intake of protein, iron, calcium and calory from snack. 7. Students with unbalanced diet, snack intake in large quantities and irregular meal had lower protein, fat, iron and calcium intake and higher calory from snack than other students. As a result, Students without breakfast often had lower all nutrients except calory from snack than other students, significantly. Problems of nutrients intake of elementary students in Won-Ju area were high rate of obesity, high intake of protein, unbalanced nutrients intake of students without meal or students with excessive eating and limited calcium intake of students with poorly educated mother. It is important to confirm desirable food habits for balanced nutrients intake in all areas and to increase calcium intake of students in remote rural area.

  • PDF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생태중심 세계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centric World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희석;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227-238
    • /
    • 2021
  • 생태중심 세계관은 현재의 환경 문제를 극복하고 동물 권리를 신장시키는 세계관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도덕성의 발달을 가족중심, 종중심, 생태중심으로 구분한 피터 싱어의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학년별 생태중심 세계관 형성에 대해 탐색하고, 현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를 찾아 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4학년 77명, 5학년 84명, 6학년 91명이며, 학생들의 생태중심 세계관과 종중심 세계관, 그리고 가족중심 세계관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제작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6학년 학생들 모두 대부분의 문항에서 생태중심 세계관보다 종중심 세계관이나 가족중심 세계관의 형성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6학년 학생들의 경우 5학년 과학교과서에서 늑대복원의 생태 관련 학습 시 접했던 사례를 활용한 문항에서는 생태중심 세계관을 형성한 비율이 다른 학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의 효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나, 다른 문항들에서는 생태중심 세계관이 높게 나타나지 않았기에 6학년 학생들이 진정한 생태중심 세계관을 형성했다기보다는 단순히 학습한 내용을 암송하듯 읊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습한 생태중심 세계관이 단순한 지식 암기에 그치지 않고, 어떤 상황에서도 일관성 있게 생태중심 세계관을 바탕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행동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로 학습한 결과물이 단순히 지식수준에 그치지 않고, 내면화되어 실천적 역량까지 발달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방안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어린이 영양지수 (NQ)를 활용한 대구 지역 남녀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식생활과 영양 상태 평가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 이수정;김영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5호
    • /
    • pp.440-446
    • /
    • 2013
  • 본 연구는 대구지역 초등학생과 중학생 730명을 대상으로 어린이 NQ를 적용하여 식생활과 영양 상태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Q는 초등학생 66.2, 중학생 58.3으로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7.9 낮았으며, 남학생 62.8, 여학생 61.6로 남학생이 1.2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균형, 다양, 절제, 규칙, 실천의 5개 영역별 평가 점수는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모두 높았고, 성별 비교에서 균형과 다양은 남학생이 절제는 여학생이 점수가 높았다. 2) NQ 영역별 양호, 불량 판정 결과, 양호로 판정된 비율이 가장 높았던 영역은 절제 2/3 (63.4%)이었으며, 균형 1/2 (49.9%), 규칙 1/3 (37.8%), 실천 1/4 (26.0%)의 순으로 나타났다. 양호의 비율이 가장 낮았던 영역은 다양으로 1/5 (22.9%)이 양호로 판정되었다. 5개 영역 모두에서 학교급별 차이가 있었으며, 즉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양호의 비율이 높았다. 성별 차이는 절제 영역만 유의하였으며, 양호 여학생 비율은 70.2%로 초, 중, 남, 여 학생 5개 영역의 양호 비율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이었다. 3) NQ 등급별 분포를 조사하였을 때 최우수 8.4%, 우수 13.6%, 보통 44.5%, 약간 불량 19.3%, 불량 14.2%로, 불량한편 (33.5%)이 우수한 편 (22.0%) 보다 1.5배 많았다. NQ 등급별 분포 실태는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즉 최우수와 우수 등급 비율은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았으며, 약간 불량과 불량 비율은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높았다. NQ 등급별 분포는 성별 차이가 없었다. 5) NQ는 BMI 비만도를 제외한 가족 구성, 부모의 교육 수준, 어머니의 취업 상태, 가정 경제, 주관적 건강인식, 운동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Q 영역 가운데 균형은 부모의 교육 수준, 가정 경제, 주관적 건강인식, 운동시간과, 다양은 모의 교육 수준, 가정 경제, 주관적 건강인식, 운동시간과, 규칙은 가족 구성, 부모의 교육 수준, 어머니의 취업 상태, 가정 경제, 주관적 건강인식, 운동시간과, 실천은 부모의 교육수준, 가정 경제, 주관적 건강인식, BMI 비만도, 운동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개 영역 가운데 절제는 조사 요인 모두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BMI 비만도는 NQ를 포함하여 실천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어린이 NQ를 활용한 식생활과 영양 상태 판정에서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점수가 낮았는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도 중 고등학생의 영양소 섭취실태가 초등학생보다 낮았던 것으로 보고되었다. 중학생 대상의 NQ가 별도 개발되면 바람직하겠지만, 현 단계에서의 차선책으로 어린이 NQ의 중 고등학생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5개 영역의 양호, 불량판정 기준, 특히 NQ 등급 판정 기준은 초등학생 대상의 조사에 근거한 것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전국 규모 어린이 NQ 조사와 식행동 조사에 기초하여 새로이 설정되어야 하겠다. 그리고 향후 영양교육에 있어 절제 보다는 다양과 실천의 강조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탐구 (Personal and Environmental Predictors of Internet Addiction in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윤영미;박효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34-43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and factor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28 students in 4, 5 or 6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y were recrui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of 6 questionnaires that were modified by the investigator.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10.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1) The mean of total item score for internet addiction was 2.1, which was slightly low. Of respondents in this research 48.4% normally use the internet, while 48.5% addictively use the internet and as high as 3.1% were serious internet-addicted. 2)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addiction, self-esteem, aggression, impulsivity, parent's support and friend's support(γ= -.15 ~ .44). 3)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mount of time spent on the internet per day, impulsivity, aggression, gender, self-esteem, duration to use of internet, father's age, and the major place where the internet was used were the predictors of internet addiction and accounted for 47% of the variance in internet addiction. Conclusion: Time spend on the internet per day, impulsivity, aggression, gender, self-esteem, duration to use of internet, father's age, the major place where the internet was used accounted for internet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and to further identify the depth of the relationship of the related factors in order to decrease internet addiction.

  • PDF

목포지역 초등학생들의 미교정안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earch on Uncorrected Refractive Err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Mokpo)

  • 김인숙;장정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3-317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목포시 소재 초등학생들의 미교정안 실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지역별 초등학생들의 미교정안 현황 파악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목포시 소재 초등학교 3개교, 1~6학년까지 약400명을 대상으로 시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각적 타각적 굴절검사로 미교정안의 실태를 파악 하였다. 결과: 대상자중 미교정된 근시안은 256명으로 전체에 64%, 원시안은 21명으로 5.3% 난시안은 19명으로 4.8%로 나타났다.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미교정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좌안보다 우안의 미교정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정확한 시력교정을 필요로 하는 초등학생들의 미교정안과 같은 시기능 문제는 초등학생들의 시력보호를 위하여 복지차원으로서 규칙적인 검사와 교정이 필요하다.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Gifted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n General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 조성신;유미현;여상인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465-48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학생, 영재학급 영재학생, 영재교육원 영재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영재학생이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느끼는 학교생활만족도를 각각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 영재학생 76명, 초등 일반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급,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학생의 일반학급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급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학교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재교육원 영재학생, 일반학급 학생 순으로 학교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영재교육기관이 다른 영재학생의 소속 영재교육기관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영재학급의 학생이 영재교육원 학생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셋째, 영재학생의 일반학급에서의 생활만족도와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넷째, 영재학생의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는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학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Dietary intake based on physical activity level i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im, Yeon-Soo;Kim, Hyun-A;Kim, Jung-Hyun;Kim, Yu-Ri;Lim, Yun-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4호
    • /
    • pp.317-322
    • /
    • 2010
  •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is increasing significantly worldwide due to energy imbalance perhaps stemming from undesirable dietary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level.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level on nutritional statu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287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4th and 6th grades in Seoul, Korea.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was scored with a modified Godin leisure-time exercise questionnaire and was categorized as active, moderately active, and sedentary. Dietary intakes were obtained using a 24-hour food recall method.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test for global significant differences of nutrient intakes by physical activity level. Boys were more active than girls. Daily intakes of energy in moderately active boy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edentary group, but intakes of calcium and iron in moderately active boys were lower than active boys. For girls, physical activity level did not affect nutrient density at all. Intakes of calcium, vitamin C, and folate for both boys and girls were below 50% of recommended intake. Physical activity did not affect nutrient density and our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nutritional imbalance.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 education regarding balanced diet and optimum physical activity is required for children's health and growth.

초등학생의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 (A Study on Recognition, Util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Labell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오세현;이양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83-109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ndamental research data that is necessary in an education of dietary life so that the students have sound dietary life through a right food purchase after investigating perception of children's dietary habit and activity, food labelling, and nutrition labelling for 400 students of the 5 and 6th grade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In terms of perception questions over food labelling, on the whole, "know it little bit" was the highest. Girls and country was higher than boys and city. A list of item that is important in contents of food labelling were period of circulation, data of manufacturing, price, used ingredient, origin of product, nutrition contain labelling, manufacturer, quantity in contents(quantity, the number).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gender(p<.05) and area(p<.01). In 30 perception questions over nutrition labelling, "know it little bit" was the most, and girls and country were higher than boys and city. In ascertaining nutrition labelling at the time of purchasing the food, "look often" was the most. Girls and city were higher than boys and Gun in average but no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hown in knowledge mark in utilization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The response rate in girls(p<.01) and country(p<.05) was higher in a question of "if nutrition labelling is displayed, nutriment that is harmful for our body will be eaten less" and girls' response rate was higher in the question of "being educated for my health". Therefore, practice centered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to purchase the food after ascertaining food nutrition labelling out of an attitude in habitually purchasing the processed food. The students develop comprehensible food nutrition labelling the direction to emphasizing nutrition educational labelling and recognizing that the healthy nutriment is contained without conventional and food safety centered labelling should be changed.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행위변화단계를 적용한 운동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he Stage of Change on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 이연희;정혜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3-84
    • /
    • 2005
  •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pply a "stage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to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ir BMI. stage of change. process . and self-efficacy in exercise. Methods :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64 children in the fourth . fifth and sixth grades. from one elementary school. whose BMI was in the H5th percentile or more for their age groups. The control group had 6 1 students from a different one elementary school whose conditions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After the stage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was applied, the BMI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by a significant enough degree to conclude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BMI.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helping relationships. counter-conditioning . reinforcement management and stimulus control compared 10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self-efficacy in terms of exerci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A stages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has been shown to engage individual students and encourage them 10 maintain a higher fitness level that promote s self-efficacy in exercise and therefore moves them towards healthier lifestyles. Moreover. the study proved that a significant reduction of BMI was achieved by the stages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