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fertility

검색결과 430건 처리시간 0.02초

아프리카의 인구변천 유형과 특성 (The Pattern and Determinants of Demographic Transition in African Countries)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31권1호
    • /
    • pp.127-146
    • /
    • 2008
  • 본 연구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인구변천 유형과 특징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프리카의 인구변천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아프리카 국가들의 출산력과 사망력이 지난 40년간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검토하고 있다. 분석결과 출산력의 경우 아프리카 지역은 최근까지도 비교적 높은 출산율을 보여 인구변천의 제2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은 또한 알제리, 리비아, 모로코 등 아프리카 북부 지역의 국가와 나머지 국가들이 인구변천 과정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사망력의 경우에도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우선 영아사망율의 경우 리비아는 17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는 데 반해 말리와 소말리아는 각각 142와 133으로 매우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평균수명도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리비아와 알제리가 각각 71.5와 70.5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르완다는 39.9세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아프리카의 평균수명은 낮은 수준에 있다. 아프리카의 평균수명이 낮은 것은 여러 가지 설명이 가능하나 최근에 크게 확산되고 있는 에이즈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경제지표와 사망력 및 출산력의 관계는 대부분 예상했던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관계의 유의성은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회경제지표 중 문맹률은 영아사망율과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도시화율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은 음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1970년을 제외하고는 통계적 유의성도 잘 드러나고 있다. 연구모형에서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영아사망률은 출산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영아사망률을 통하여 출산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도 비교적 잘 드러나고 있다.

최근의 가족계획실태와 전망 (Recent Clanges in Contraceptive Use in Korea)

  • 조남훈;이임전
    • 한국인구학
    • /
    • 제8권1호
    • /
    • pp.118-138
    • /
    • 1985
  • This paper is aimed to analyse the recent changes in family planning as a step in an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the population control policy which has been strenuously pursued by the government since December 1981.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comes from the 1985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planning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KIPH) in May 1985. According to the 1985 survey data, there have been great changes in both the contraceptive practice and fertility rates since the strengthening of the government's population control policy in 1 981. The contraceptive practice rate for married women aged 15-44 has increased from 57.7% in 1982 to 70.3% in 1985, an increase of 12.6% points in the short span of only 3 years. During the same period, the total fertility rate has declined from 2.7 in 1982 to the population replacement level which was planned to achieve by 1 988. More than 80% of women aged over 30 or with two children or more are practicing contraception, while the practice rates of women with 0-1 children are 14.0% and 45.1% respectively. The survey has revealed that the increase of contraceptive practice rate during 1982-1985 has mainly attributed to the high acceptance of sterilization procedures which practice rate of the married women has increased from 28.1% to 40.3% for the period. Also, the survey data shows that 24.7% of those women with only one child is practicing contraception for thepurpose of fertility termination. The government, taking into account of rapid changes in contraceptive practice and fertility rates, is formulating a population plan during the sixth fiveyea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plan (1987-1991) to achieve 1% ofpopulation growth rate by 1993, which was planned to realize by 2000. In order to meet this demographic goal, the existing population control policy measures should be improved to be suited to the recent contraceptive use and fertility changes. From this standpoint,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should be put forth; 1) improvement of the current program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target allocation and evaluation schems for recruiting new acceptors in the young 20s groups to use contraceptives for birth spacing and to increase high continuation rates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follow-up services for the acceptors, 2) increase of self-supporting contraceptive users by promoting commercial advertisements on contraceptives through mass media including T.V. and radio, 3)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policies including incentive schems, and strengthening of IE & C activities for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one-child family, 4) strengthening of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education in and out school youth, and 5) strengthening of management capabilities at the provincial and local program managers.

  • PDF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Factors associated with Lowest Low Fertility and Strategies for the Policy of Family-friendly Environments for Fertility Increase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윤경자
    • 한국인구학
    • /
    • 제33권2호
    • /
    • pp.137-163
    • /
    • 2010
  • 본 연구는 인구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요인들이 부산광역시의 지속적인 낮은 출산율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며,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가족친화환경조성에 관한 정책들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몇 년간 부산광역시의 출산율은 전국의 광역시도 중 가장 최저로 나타났으며 부산지역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출산율은 만혼 및 임신의 고령화, 혼인율 감소, 높은 이혼율, 미혼여성들의 결혼기피현상, 남성들의 전통적 성역할태도, 맞벌이 남성들의 저조한 가사분담참여, 낮은 결혼만족도와 가족생활만족도, 높은 낙태율과 같은 복합적인 가족학적 요인들과 가족정책, 자녀양육시설의 이용가능성, 교육비 및 사회와 기업의 가족친화 수준과 같은 보다 광의의 특성들 때문에 낮게 나타난다. 부산 여성들은 전통적 성역할 규범과 관습이 유지되는 사회 환경에서 맞벌이를 하는 경우에도 과중한 가사노동을 수행하고 있었고, 부부의 결혼만족도도 전국평균보다 낮았는데 부인의 결혼만족도는 남편에 비해 전국평균보다 더욱 낮게 나타났다. 부산광역시의 출산율 향상을 위하여 이 요인들의 시사점들과 가족 친화적 정책제안들도 8가지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토양 비옥도가 상이한 조건에서 돈분 퇴비와 요소 비료의 배추에 대한 시비효과 (Pig Manure Compost and Urea Application Effects on Chinese Cabbage in Different Soil Fertility)

  • 윤홍배;한승갑;이종식;이예진;김명숙;이용복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62-967
    • /
    • 2010
  • 가축분퇴비 시용시 시비질소의 이용효율 증진 도모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토양 비옥도가 다른 두 토양 (Soil-L와 Soil-H)에서 돈분 퇴비와 질소비료 (요소)의 혼용비율을 달리하여 포장조건에서 배추를 포트 재배시험을 실시하였다. 배추수량은 Soil-L에서는 시용질소를 전량 화학비료로 시비한 NPK 대비 돈분퇴비로 시용한 COM 100 처리구에서 17% 감소한 반면, 화학비료 질소와 퇴비를 혼용한 3처리 (COM 70+N30, COM50+N50 및 COM30+N70) 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oil-H에서는 NPK 대비 COM100 처리구에서 23.6%의 수량감소를 보였다. 배추의 질소흡수량은 두 토양 공히 NPK 처리구와 N70+COM30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시비 질소에 대한 배추의 생산효율은 두 토양 모두 화학비료의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그리고 화학비료를 전량 시비한 NPK 처리구에서 두 토양의 질소 생산효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질소 시비량을 전량 퇴비로 시용한 COM 100 처리구에서는 Soil-L에서 28.8 g $g^{-1}$으로 Soil-H 16.2 g $g^{-1}$보다 현저히 높았다.

Fertility-Preserving Treatments in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s: Chinese Experience and Literature Review

  • Liu, Chun-Yan;Li, Hua-Jun;Lin, Hua;Ling, B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2호
    • /
    • pp.4839-4841
    • /
    • 2015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ly reviewed of the literature published of patients underwent fertility-preserving treatments for cervical, endometrial and ovarian cancers using the WANFANG database in Chinese. A majority were retrospective studies and case reports. With cervical cancer, radical trachelectomy(RT) in combination with pelvic lymphadenectomy could preserve the fertility of patients with early stage IA1-IB1 cancers, Tumor size ${\leq}2cm$ should be emphasized as the indication of RT in considering of the higher recurrent rate in patients with tumor size >2cm. For endometrial cancers, there is much experience on it. Given accurate pretreatment assessment, hormonal therapy is feasible management option to preserve fertility in young patients with early stage lesions that limited to the endometrium and well differentiated. High dose progestin have been applied, oral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250-500mg/day, megestrol acetate 160-480mg/day. Other therapies that have been used in a limited number of cases include GnRH analog, intrauterine devices (IUDS) containing progestogen, usually combination of these therapies. All patients should be followed up by ultrasound and/or MRI evaluation, and endometrial curettage at intervals of 3 months. With ovarian cancer, in China, fertilitypreserving surgery in patients with stage IA (grade G1) of epithelial ovarian tumor and patients with germ cell tumor and borderline ovarian tumor have been successfully performed.

개나리국의 종간교잡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TERSPECIFIC CROSSING OF GENUS FORSYTHIA)

  • HARN, Chang Yawl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4권1호
    • /
    • pp.1-7
    • /
    • 1961
  • 분류학에서 이종으로 취급되고 있는 Forsythia속의 종간교잡을 실시하여 화주장의 분리비, 양화주간의 수정양식, $F_1$의 임성, ♀♂성 기타 분류학상의 제문제제를 구명한바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화주장은 L:S=1:1로 분리한다. (2) 이종간의 적, 부적법수분인데도 양친 L, S의 수정양식은 일 일반형예식물 동일종내의 2형화와 전혀 동일하다. (3) $F_1$의 L, S간의 수정양식도 일반형예식물과 동일하다. (4) 종간교잡은 잘되고 $F_1$의 임성도 이상없다. (5) 교잡제일식의 형태, 생리적변이는 심하다. (6) S주도 적법수분에서는 임성이 양호하고 Forsythia가 ♀, ♂ 이주라는 것은 잘못이다. (7) $F_1$에는 영양생장 및 생식기관이 빈약한 왜형이 나타난다. (8) 본실험에 사용한 두종은 이종이라기보다 동일종내의 이화형개체라고 하는 것이 타당하다.

  • PDF

한국 부인의 불임증실태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Infertility Rate of Korean Women)

  • 홍문식;김택일
    • 한국인구학
    • /
    • 제5권1호
    • /
    • pp.133-144
    • /
    • 1982
  • One of the primary objectives of Korean family planning program is to assist parents in having the number of children they want, both by providing fertility-en-hancing services to infecund and subfecund women and by providing fertility-limitation services to fecund women. As far as fertility-enhancing services to infecund and subfecund women is concerned, there has been little effort from the national family planning program, So far, there is no any basic data on infertility prevalence rate among the Korean women. Therefore, an attempt has been made to review data of 1976 and 1978 fertility and family planning surveys in order to estimate the level of infertility rate among the Korean women. In the 1978 survey 3. 7 percent of the current married women responded that they were physically infertile while in the 1976 survey physically infer-tile women was calculated as 3 percent of the total ever married women which is similar level of 1978 data of 3.7 percent. Mean age at first marriage of Korean women is 23 and most of the women are married in the high fecund age. Only 0.3 percent of the respondents married age 30. in addition, the rate of women with no children among the ever married women whose married duration is more than 5 year is very low;2. 5 percent among 5-9 years, 1. 4 percent among 10- 14 years; 1.8 precent among 15-19 years; 1.0 percent among 20-24 years; and 0. 7 percent among 25 or more years of marriage duration. If we consider those data shown above, it is manifest that infertility rate of Korean women is less than 5 percent level which is much lower than the 10 percent level of infertility rat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owever, this kind of estimation is still not able to show definite data on fertility rate. Therefore, a nationwide planned survey should be carried out as early as possible to figure out the real situation of infertility rate in Korea.

  • PDF

외국인 배우자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ign Wife Status and Social Capital on Fertility)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31권3호
    • /
    • pp.1-26
    • /
    • 2008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외국인 아내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 베트남과 일본으로부터의 혼인이주자들을 대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소수집단의 지위와 이들이 지닌 사회적 자본이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출산력에 독립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주장을 검증하는데 분석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외국인 아내의 출산력 수준과 속도는 그들이 지닌 사회적으로 불리한 여건과 이주 후의 적응 수준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내와 한국인 아내의 출산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두 인구학적 조사의 원자료가 활용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내들이 한국인 아내들에 비해 자녀수가 적다는 것을 확인해준다. 출산간격 역시 한국인 아내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인 아내의 사회적 자본이 클수록 출산행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주 후 현지 사회에의 통합과 동화의 수준이 높은 외국인 아내들 역시 상대적으로 자녀수가 많은 경향이 발견되었다.

저출산수준과 강한 남아선호관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성.연령별 인구 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ertility and Strong Son Preference on Korean Society - On the basis of the changes of age and sex structure -)

  • 김태헌
    • 한국인구학
    • /
    • 제16권2호
    • /
    • pp.1-23
    • /
    • 1993
  • Korea fertility level has dropped since the 1960's and speed of decline has accelerated in the 1980's. In the resuls, the growth rate reached to less then 1 percent in 1990 and will be $\ulcorner$0 $\lrcorner$ percent growth in 2021. The total population will increase to 50, 586 thousand persons in 2021 then will decrease. With the rapid fertility decline the age structure of Korean population has changed : while the proportion of child population aged 0-14 is decreasing sharply, that of old-ag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recent increase of sex ratio at birth, the sex structure among the young generation has been destorted; the sex ratio at age 0-4 was as high as high as 112.0 in 1990. The effects of these population phenomena on Korean society are the followings: 1) Old age dependency ratio is increasing rapidly and continuously and will be about 40.0 from the 2050's. 2) Because of the rapid decline of the number of births, the absolute number of the major labour force at age 25-34 will decrease after around 2000 and then from the 2010's become less than that in 1990. 3) Since the large fertility defferentials by womens's educational level have continu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levels of mothers and children are very strong, level has dropped among higher educated women first when the average fertility level has declined in Korea, the average educational level of the children is may be expected to be relatively low and then the future productivity is will be also low, which causes the decline of 'quality of population. 4) When the high sex ratio at birth (over 110 since 1986) continues, number of brides will be short by over 20 percent from the 2010s, which will bring various kinds of social prblems. Therefore, the counter measures in concrete to relieve the heavy problems are recommended as follows: 1) The extention of the birth intervals, which helps to drop the population growth rate at the same level of number of children per women. 2) The positive supports for out-migrants, which helps to reduce the population size without any destortion of age-sex structure. 3) The defferent supports of family planning for the higher and lower classes, which helps to reduce the gaps between different ferility levels of the classes and to keep and improve the quality of population. 4)population education for both students and adults, which helps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requirements.

  • PDF

출산율 및 여성고용 제고 정책이 성장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Fertility Rate and Female Labor Supply on Economic Potential)

  • 류덕현
    • 한국인구학
    • /
    • 제31권1호
    • /
    • pp.27-54
    • /
    • 2008
  • 본 논문은 최근 출산율 저하와 인구고령화로 인한 성장잠재력의 저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성장잠재력을 제고하는 정책의 성공 여부는 인적자본의 양적.질적 제고를 통한 생산성 향상에 달려 있음으로 파악하고, 인구구조의 변화, 노동시장 조건의 변화 및 노동생산성의 변화 등이 잠재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성장회계 접근방식을 이용하여 1인당 GDP 증가율을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부양비의 변화와 노동투입 요소의 양적.질적 부분의 변화로 분해하였다. 우선, 노동투입의 양적인 변화는 고용률과 근로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시산하였으며, 노동투입의 질적인 변화는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였다. 또한 출산율과 여성고용을 제고하는 정책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출산율과 여성의 고용률을 주요 정책변수로 한 정책시뮬레이션을 하였다. 1인당 GDP 증가율의 베이스라인 전망결과는 2010년까지 연평균 4%대 중반의 성장률을 보이다가, 2020년대에는 3.94%, 2030년대에는 3.03%, 2040년대에는 2.41%로 서서히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산율 제고에 따른 성장률 효과는 2030년을 지나서 반영이 되며, 고출산율 시나리오 (2030년 이후 합계출산율이 1.57명으로 유지)의 경우 베이스라인보다 2030년대 이후 연평균 약 0.10%p 높은 1인당 GDP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편, 여성고용률이 제고되는 시나리오(2025년 이후 $25{\sim}54$세 여성의 고용률이 74.5%로 상승)의 경우 베이스라인보다 2050년까지 연평균 0.04%p 높은 1인당 GDP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는 양적인 노동투입의 효과만으로는 성장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노동생산성의 향상과 같은 질적인 요소의 증대가 성장잠재력 확충에 중요한 대안이 됨을 알려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