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 resources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자생 자원식물들의 항산화 활성 검색 (Screening of Natural Herb Resources for Anti-oxidative Effects in Korea)

  • 양윤정;김현준;강신호;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11
  • 자생식물의 항산화 활성 탐색을 위하여 140종의 식물을 80% ethanol로 추출하여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며느리배꼽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VitaminE, ORACPE=1.0), 쉬땅나무, 찔레나무, 좁쌀풀, 갈참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싸리의 순으로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ORACPE ${\geq}$ 1.50). 또한 80%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별(n-hexane, $CH_2Cl_2$, EtOAc, n-BuOH, water) 분획층 ORAC 결과에서도 며느리배꼽과 쉬땅나무가 각각 $1.13{\pm}0.002$, $1.10{\pm}0.004$, $3.67{\pm}0.232$, $1.62{\pm}0.049$, $1.05{\pm}0.003$; $1.02{\pm}0.007$, $v1.00{\pm}0.016$, $2.94{\pm}0.130$, $1.80{\pm}0.019$ 그리고 $1.04{\pm}0.012$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 중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EtOAc 분획층의 유효성분 규명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New hydroperoxylated and 20,24-epoxylated dammarane triterpenes from the rot roots of Panax notoginseng

  • Shang, Jia-Huan;Sun, Wen-Jie;Zhu, Hong-Tao;Wang, Dong;Yang, Chong-Ren;Zhang, Ying-J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405-412
    • /
    • 2020
  • Background: Root rot is a serious destructive disease of Panax notoginseng, a famous cultivated araliaceous herb called Sanqi or Tianqi in Southwest China. Methods: The chemical substances of Sanqi rot roots were explored by chromatographic techniques. MS, 1D/2D-NMR, and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structures. Murine macrophage RAW264.7 and five human cancer cell lines were used separately for evaluating the antiinflammatory and cytotoxic activities. Results and Conclusion: Thirty dammarane-type triterpenes and saponins were isolated from the rot roots of P. notoginseng. Among them, seven triterpenes, namely, 20(S)-dammar-25-ene-24(S)-hydroperoxyl-3β,6α,12β,20-tetrol (1), 20(S)-dammar-3-oxo-23-ene-25-hydroperoxyl-6α,12β,20-triol (2), 20(S)-dammar-12-oxo-23-ene-25-hydroperoxyl-3β,6α,20-triol (3), 20(S)-dammar-3-oxo-23-ene-25-hydroperoxyl-12β,20-diol (4), 20(S),24(R)-epoxy-3,4-seco-dammar-25-hydroxy-12-one-3-oic acid (5), 20(S),24(R)-epoxy-3,4-seco-dammar-25-hydroxy-12-one-3-oic acid methyl ester (6), and 6α-hydroxy-22,23,24,25,26,27-hexanordammar-3,12,20-trione (7), are new compounds. In addition, 12 known ones (12-16 and 19-25) were reported in Sanqi for the first time. The new Compound 1 showed comparable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inhibition of NO production to the positive control, whereas the known compounds 9, 12, 13, and 16 displayed moderate cytotoxicities against five human cancer cell lines. The results will provide scientific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Sanqi rot roots and new candidates for searching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 agents.

Enhancing Production of Terpenoids in Metabolically Engineered Transgenic Spearmint (Mentha spicata L.) by Salt and Fungal Elicitors

  • Choi, Myung Suk;Park, Dong Jin;Song, Hyun Jin;Min, Ji Yun;Kang, Seung Mi;Lee, Chong Kyu;Cho, Kye Man;Karigar, Chandrakant;Kim, Ho Kyoung;Kang, Young Mi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43-252
    • /
    • 2014
  • Forest tree species usually takes for long periods to be harvested and cultivated but spearmints are a good model system for woody plant because of reducing and shortening cultivation time. Spearmints are good model plants (Mentha species) for research about terpenoids production and industrial essential oil manufacture. Isopentenyl pyrophosphate isomerase (Iso) and limonene synthase (Limo) are the key enzymes of terpenoid biosynthesis pathway. Transgenic and wild spearmints (Mentha spicata, MS) were cultured in vitro and assessed for the essential oil contents. The content of essential oil of transgenic spearmint also was enhanced slightly depending on the target terpenoid genes. In an attempt to increase productivity of terpenoids further, salt and fungal elicitation strategy was adopted on transgenic Mentha spicata. The salt (800 mM NaCl) as abiotic and two fungi (Botrytis cinerea and Glomerella cingulata) as biotic were used for elicitors. In the absence of salt stress four terpenoids were detected from the spearmint extracts, all of them being monoterpenes. On the other hand, the transgenic (MSIso) extracts contained eleven terpenoids (10 monoterpenes and 1 phenylpropene) while transgenic (MSLimo) extracts contained seven monoterpenes. After 3 days of fungal infection, the resistance indices further increased to 4.38, 3.89 and 2.04 for wild type, MSIso and MSLimo, respectively. The salt and fungal elicitators proved beneficial towards modifying both the terpenoids profile and improvement in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applications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essential oils and forest biotechnology with respect to spearmint.

서운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Seounsan in Korea)

  • 장현도;오아미;심선희;임효선;한세희;양선규;오병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5-449
    • /
    • 2017
  • 행정구역상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와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에 걸쳐있는 서운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2014년도 4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작성한 소산 관속식물은 97과 306속 439종 5아종 51변종 6품종의 총 50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185분류군이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광릉골무꽃, 금오족도리풀, 병꽃나무 등 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솔붓꽃, 들떡쑥, 뻐꾹나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68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생태계교란종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Oriental Medicinal Herbs on Dental Pathogens)

  • 유영은;박은영;정대화;변성희;김상찬;박성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0-20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69가지의 한약재를 이용하여 구강세균인 Actinomyces viscocus, Streptococcus sobrinus, 그리고 Streptococcus mutans 2종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우선 선발된 한약재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목, 오매, 오미자, 그리고 황련을 선별하여 열수, 에탄올, 메탄올,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황련 열수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황련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공시균주에 대한 저해양상을 조사한 결과 180 mg/ml 이상의 농도에서 공시균주의 생육이 대부분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때 황련 열수 추출물의 회수율은 22%였다. 황련 열수 추출물을 UPLC를 이용하여 berberine 함량을 조사한 결과 25.54%로 조사되었다. 또한 $121^{\circ}C$에서 15분간 열 처리 후 황련 열수 추출물의 열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열에 대하여 안정 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산지별 국내 유통 한약재의 이산화황 잔류실태 조사 (Monitoring of Sulfur Dioxide Residue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at Domestic by Geographical Origins)

  • 이아름;장설;이아영;최고야;김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2-157
    • /
    • 2014
  •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국산과 수입산 한약재 11종 116건을 대상으로 잔류이산화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108건(93.1%)은 불검출이었고 6건(5.2%)는 이산화황 허용기준치 30 mg/kg을 초과하였고 2건은 30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116건의 이산화황 평균함량은 $17.6{\pm}144.2mg/kg$이고 최대 검출량은 구기자(1,546.3 mg/kg)이었고 중국산 현호색(66.6%)의 이산화황 검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한약재는 71건 중 1건(1.4%), 수입산 한약재는 45건 중 7건(15.6%)에서 이산화황이 검출되었고 국내산 1건(36.7 mg/kg)과 수입산 5건(118.1 mg/kg)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여 국내산보다 수입산 한약재에 이산화황 잔류량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이산화황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부적합율은 다소 낮아지고 있지만 이산화황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한약재들 중 일부 한약재에서는 잔류이산화황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국내산 약재에 비해 수입산 약재는 부적합율이 높게 나왔다. 한약재는 일반적으로 수세 및 가열과정을 거치므로 실제 섭취하는 형태의 탕액에서는 원재료보다 이산화황의 잔류량이 크게 감소하지만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으므로 유통되는 한약재의 안전성 확립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강화된 기준이 정착하여 안전한 한약재가 유통될 수 있도록 수입통관시 특별관리가 요구되며, 보다 적극적인 검사 요주의 품목에 대한 지속적인 잔류이산화황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약재 추출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Herb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Blood Component Profile in Broiler Chickens)

  • 박성복;나재천;유동조;방한태;황인호;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9-84
    • /
    • 2008
  • 본 실험은 한약재 추출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육계 Ross 종 1일령 수컷 320수에 사료내 한약재 추출물 HE 0%, HE 0.1%, HE 0.2%, HE 0.4% 수준으로 급여하였으며,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6수를 평사에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사료는 초기($0{\sim}2$주), 전기($3{\sim}5$주), 후기($6{\sim}7$주)로 나누어 급여하였으며, 대사 에너지 수준은 3,100, 3,100, 3,200 kal/kg, 조단백질은 22, 20, 18%가 되도록 배합하였다. 초기($0{\sim}2$주)와 후기($6{\sim}7$주)에 증체량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3{\sim}5$주령 증체량은 HE 0%에 비해 HE 0.2%와 HE 0.4%에서 개선되었으며, 사료 섭취량은 HE 0%에 비하여 HE 0.1%와 HE 0.2%에서 증가하였다(p<0.05). 전실험 기간의 증체량은 HE 0.2% 첨가구에서 HE 0%에 비하여 개선되었으며(p<0.05), 사료 섭취량은 HE 0.1%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료 요구율은 HE 0.2%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 내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total protein, albumin, glucose 함량에 대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HE 0.4%가 혈청 내 total 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 HE 0%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장 내 Lactobacillus spp., Yeast, E. coli 균수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내 한방약제 추출물 첨가가 과밀사육환경 하에서의 육계의 성장과 면역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iental Herb Extra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Under High Density Stocking Condition in Broiler Chickens)

  • 최형석;김기현;박상훈;남인식;황성구;남기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87-399
    • /
    • 2010
  • 본 시험은 한방약제 추출물 급여가 과밀사육 환경에서의 육계 (Ross broiler)의 생산성 및 면역세포 중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육계 수컷 240수를 저밀도 사육구와 고밀도 사육구로 나누어 각각 대조구와 처리구를 두었으며 저밀도 사육구는 pen 당 10수씩 고밀도 사육구는 pen당 30 수씩 임의 배치하였다. 저밀도와 고밀도의 대조구 사료에 한방약제 추출물 0.23%(AP 0.2%+ DFP 0.03%)를 첨가 급여였다. 사육밀도에 따른 평균 사료섭취량은 저밀도 사육구에 비하여 고밀도 사육구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05), 한방약제 추출물 첨가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사육밀도에 따른 평균 체중은 고밀도 사육구에서 저밀도 사육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p<0.05), 저밀도와 고밀도 사육구 모두에서 한방약제 첨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일당증체량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밀사육에 의한 증체량 감소 및 사료섭취량 감소 현상은 생육 중기에 주로 나타난 결과 이며 후기에는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여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요구율은 한방약제 첨가 처리구가 고밀도 사육구 및 저밀도 사육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두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면역세포증식은 비장세포 종식도, LPS로 자극시킨 B세포 증식도와 ConA로 자극시킨 T세포 증식도 모두에서 한방약제 추출물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은 증식도를 나타내었다(p<0.05). 결과적으로 고밀도환경하에서 한방약제 추출물 급여에 따라 육계의 면역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며, 궁극적으로 육계의 질병예방 및 일부 생산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한방의료기관 이용이 양방의료기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Korean and Western Medicine in treating Musculoskeletal Disease)

  • 최병희;손지형;임병묵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31
    • /
    • 2014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lementary and substitut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Korean medicine (KM) and that of Western medicine (WM) in th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 Methods: We analyzed the 2009 Korea Health Panel datase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medical utilization of respondents were analyzed descriptively. Logistic regression, negative binominal regression, and Tobit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KM and the use, visit frequency, and expenses of WM, respectively. Results: In th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 KM use and non-herbal treatments with Korean medicine significantly reduced WM use. Herb medication use significantly increased WM visit frequency.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KM use and WM expenses. Conclusions: There are substitute relationships between WM use and KM use, especially non-herbal treatments in KM.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he clinical protocols of KM and WM treatments in th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 for proper distribution medical resourc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ycoris radiata with Habitat Types

  • Lee, Jeom-Sook;Ihm, Byung-Sun;Kim, Ha-S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5호
    • /
    • pp.247-250
    • /
    • 2003
  • The investigati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ycoris radiata was carried out in flooding (site I), half flooding (site II) and dry stands (site III). Seasonal change of air temperature showed similar patterns and that of light intensity showed quite difference among three L. radiata stands. Seasonal change of soil water content showed a great difference among three L. radiata stands. The study area was 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P. thunbergii and L. radiata communities. The number of bulb in 1. radiata increased in September with bulb formation and decreased in January. Bulb weight in L. radiata was different from each site. The numbers of blossom were 23, 13 and 9, respectively in site I, II and III. The length of wreath were 17.0, 13.0 and 11.0cm, respectively, the length of stamen were 7.0, 6.4 and 6.5 cm, respectively and the length of stalk were 60.0, 45.0 and 42.0 cm, respectively in site I, II and III. The leaf of L. radiata developed rapidly in site I with sufficient water supply and lower light intensity, the number and the length of rootlets increased considerably in site III with insufficient water supply and higher light intensity,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site II was intermediate between site I and site III.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s of rootlets in site I and site II, which were due to sufficient water supply in two st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