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mispheric asymmetr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Variation of the Hemispheric Asymmetry of the Equatorial Ionization Anomaly with Solar Cycle

  • Kwak, Young-Sil;Kil, Hyosub;Lee, Woo Kyoung;Yang, Tae-Yo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6권3호
    • /
    • pp.159-168
    • /
    • 2019
  • In solstices during the solar minimum, the hemispheric difference of the equatorial ionization anomaly (EIA) intensity (hereafter hemispheric asymmetry) is understood as being opposite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This phenomenon is explained by the temporal variation of the combined effects of the fountain process and interhemispheric wind. However, the mechanism applied to the observations during the solar minimum has not yet been validated with observations made during other periods of the solar cycle. We investigate the variability of the hemispheric asymmetry with local time (LT), altitude, season, and solar cycle using the electron density taken by the CHAllenging Minisatellite Payload satellite and the global total electron content (TEC) maps acquired during 2001-2008. The electron density profiles provided by the Constellation Observing System for Meteorology, Ionosphere, and Climate satellites during 2007-2008 are also us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the hemispheric asymmetry with altitude during the solar minimum. During the solar minimum, the location of a stronger EIA moves from the winter hemisphere to the summer hemisphere around 1200-1400 LT. The reversal of the hemispheric asymmetry is more clearly visible in the F-peak density than in TEC or in topside plasma density. During the solar maximum, the EIA in the winter hemisphere is stronger than that in the summer hemisphere in both the morning and afternoon. When the location of a stronger EIA in the afternoon is viewed as a function of the year, the transition from the winter hemisphere to the summer hemisphere occurs near 2004 (yearly average F10.7 index = 106). We discuss the mechanisms that cause the variation of the hemispheric asymmetry with LT and solar cycle.

말초신경-피질 연계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운동피질 가소성의 비대칭성 (Hemispheric Asymmetry of Plasticity in the Human Motor Cortex Induced by Paired Associative Stimulation)

  • 신혜원;손영호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3권1호
    • /
    • pp.38-43
    • /
    • 2011
  • Background: In the brain, the dominant primary motor cortex (M1) has a greater hand representation area, shows more profuse horizontal connections, and shows a greater reduction in intracortical inhibition after hand exercise than does the non-dominant M1, suggesting a hemispheric asymmetry in M1 plasticity. Methods: We performed a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study to investigate the hemispheric asymmetry of paired associative stimulation (PAS)-induced M1 plasticity in 9 right-handed volunteers. Motor evoked potentials (MEPs) were measured in the abductor pollicis brevis (APB) muscles of both hands, and MEP recruitment curves were measured at different stimulation intensities, before and after PAS. Results: MEP recruitment curve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dominant, but not the non-dominant M1.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ominant M1 has greater PAS-induced plasticity than does the non-dominant M1. This provides neurophysiological evidence for the asymmetrical performance of motor tasks related to handedness.

THE LONG-TERM HEMISPHERIC VARIATION OF POLAR FACULAE

  • Deng, Lin-Hua;Qu, Zhong-Quan;Liu, Ting;Huang, Wen-Juan
    • 천문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209-215
    • /
    • 2011
  • In this paper, the long-term hemispheric variation of the polar faculae is investigated. It is found that, (1) both the N-S asymmetry and N-S asynchrony of the polar faculae exhibit a long-term persistence, which suggests that they should not be regarded as a stochastic phenomenon; (2) both the N-S asynchrony and N-S asymmetry of the polar faculae are functions of the latitude, implying that the N-S asynchrony of the polar faculae is related to the N-S asymmetry of the polar faculae; (3) from a long-term view, the dominant hemisphere of the polar faculae seems to have close connection with the phase-leading hemisphere of the polar faculae.

Frontal Asymmetry Analysis of Theta Wave in the Audio Emotional Experiment Revealed by Event-related Spectral Perturbation

  • Du, Ruoyu;Lee, Hyo Jong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92-994
    • /
    • 2014
  • Hemispheric asymmetry in prefrontal activation have been proposed in two decades ago, as measured by electroencephalographic (EEG) power in the theta band (4-8Hz), is related to reactivity to affectively pleasure audio stimuli. In this study, we designed an emotional audio stimulus experiment in order to verify frontal EEG asymmetry by analyzing ERSP results. Thirty healthy college students volunteered the stimulus experiment with the standard IADS affective sounds. These affective sound clips are classified in three emotion states, happy, neutral and fear. ERSP imag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are the stronger responses of high arousal (fear and happy) in the left prefrontal lobe, while the stronger responses of low arousal (neutral) in the right pre-frontal lobe. However, the high pleasure emotions (happy) can elicit greater relative right EEG activity, while the low and middle pleasure emotions (fear and neutral) can elicit the greater relative left EEG activity. Additionally, the most response differences of theta band have been found out in the medial frontal lobe, which is proved as the frontal midline theta.

경기 승패에 따른 야구팬들의 정서경험: fMRI연구 (Emotional experiences of baseball fans at winning and losing games: An fMRI approach)

  • 박혜주;류호상
    • 인지과학
    • /
    • 제21권3호
    • /
    • pp.429-446
    • /
    • 2010
  • 본 연구는 경기장에서 스포츠 팬들이 자신이 응원하는 팀의 경기 승패에 따라 경험하는 긍정, 부정 정서가 정서의 편측화를 보이는 지를 fMRI 실험을 통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S 프로야구 구단 팬 12명을 대상으로 S구단이 승리한 장면과 패배한 장면을 보여주었다. 측정결과, 승리장면을 지켜본 피험자들의 좌우 쐐기소엽, 우하후두이랑, 우하전두이랑, 좌편도체, 우해마옆이랑, 좌갈고리, 좌대상이랑, 좌하측두이랑, 우중측두이랑, 좌소뇌비탈, 좌소뇌정상 영역에서 활성화 반응이 나타났다. 반면에 패배장면을 지켜본 피험자들의 우중간전두이랑, 좌전대상회, 좌소이랑, 좌조가비핵, 좌창백핵, 좌배쪽전핵, 좌시상, 좌전장, 좌뇌섬엽 영역에서 활성화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정서가의 반구비대칭 증거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승리자극에서는 나타난 편도체의 활성이 패배자극에서는 나타나지 않아 패배정서 유발에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아졌다.

  • PDF

가상현실볼링 수행에 따른 정서변화: 대뇌반구 비대칭 연구 (Emotion Changes during Virtual Bowling Game: An EEG Study on Hemispheric Asymmetry)

  • 신경식;김진구;류광민
    • 감성과학
    • /
    • 제20권1호
    • /
    • pp.49-5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볼링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본 실험에 참여한 16명의 피험자는 볼링 경력 3년, 나이는 26-35세, 평균나이 29.6세의 볼러들로 구성하였다. 피험자들이 볼링을 다섯 게임 하는 동안 전두엽의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게임이 끝난 후 곧바로 시각상사척도를 사용해 게임 후의 정서를 측정하였다. 뇌파측정부위는 전전두엽, 전두엽, 외측 전두엽이었다. 자료 분석은 전두엽의 알파파에 대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알파파워 값이다. 연구결과 스트라이크를 쳤을 때는 시각사상척도 값이 스페어나 스페어 처리를 처리했을 때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스페어를 처리했을 때는 스페어 미스보다 시각사상척도 값이 높게 나타났다. 대뇌 반구 비대칭 점수와 관련해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좌측 전두엽의 알파파는 스트라이크와 스페어를 처리했을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페어 미스를 했을 때는 우측 전두엽의 알파파가 활성화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경쟁에서 성취 또는 성공을 했을 때 긍정적인 정서가 나타나고, 반대로 실패했을 경우에는 부정적인 정서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연구는 경기 중에 발생하는 수행의 결과가 선수의 정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신경생리학적으로 입증해 주었다.

과훈련에 따른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와 정서변화에 대한 문헌 고찰: P300, EEG 대뇌반구비대칭 연구를 중심으로 (A review on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nd Emotional Changes of Athletes by Overtraining: P300, EEG Cerebral Hemispheric Asymmetry)

  • 하태호;김진구;김성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501-509
    • /
    • 2017
  • 본 연구는 과훈련에 따른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와 정서변화에 관련된 국내 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과훈련 시 유발되는 신체적 피로감이 어떻게 선수들의 인지정보처리와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신경생리학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스포츠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수와 코치들에게 뇌 생리적 관점에서 과훈련 증상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최근 20년간 발행된 국내외 학술자료 및 연구보고서 등을 검토하였으며, 검색된 학술 문헌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문헌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검토한 문헌을 바탕으로 과훈련에 따른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와 정서변화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신체의 피로감이 과훈련을 통해 누적되어 운동수행 저하뿐만 아니라 선수들의 인지 및 정서적 능력 측면에서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ERP를 이용한 P300의 진폭과 잠재기 및 EEG를 이용한 대뇌반구비대칭 차이지표를 이용한 접근은 과훈련이 인지정보처리과정과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뇌생리심리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는 새로운 연구방법의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청각자극에 따른 세타파와 알파파의 스펙트럼적 반응 (Spectral Perturbation of Theta and Alpha Wave for the Affective Auditory Stimuli)

  • ;이효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10호
    • /
    • pp.451-456
    • /
    • 2014
  • 감정을 유발하는 청각자극에 따라 발생되는 EEG(Electroencephalographic) 스펙트럼 강도와 감정 반응 간의 상관관계는 중요한 변수이다. 약 20여 년 전 쾌감을 주는 청각자극에 대하여 측정된 신호의 강도가 전전두엽에서 비대칭적으로 반응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극관련 스펙트럼적 반응(Event-related Spectral Perturbation: ERSP)이 전두엽에서 비대칭적으로 발생되는지 고찰하기 위하여 청각자극 실험을 수행하였다. 30명의 건강한 대학생 지원자들이 IADS(International Affective Digital Sounds) 실험에 참여하였다. 이 청각자극은 행복, 공포, 그리고 중립의 3단계로 분류되었으며, 데이터의 분석은 세타파(4-8Hz)와 알파파(8-13Hz)에서 이루어졌다. 알파대역의 ERSP 지도는 오른쪽 전두엽에서 행복감과 공포감의 자극에서 높은 신호의 강도를 보여주는 반면 중립성 자극에서는 왼쪽 전두엽에서 높은 신호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세타파는 행복감과 공포감의 자극에 따라 좌측 전두엽에서 높은 신호가 나타나는 반면, 중립적 자극에 따라 우측 전두엽에서 높은 신호를 보여주었다. 높은 쾌감성 자극(행복)은 상대적으로 우측 전두엽에서 높은 EEG 신호가 측정되었으며, 낮은 쾌감성 자극(중립과 공포)은 왼쪽 전두엽에서 측정되었다. 또한 가장 큰 세타파의 변화가 전두엽의 중앙에서 발생되었다. 알파파에서 행복한 청각자극에 가장 강한 신호가 전두엽 전체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은 기존의 감정들과 일치되며, 세타파와 알파파가 감정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파킨슨병에서 $^{99m}Tc-HMPAO$ SPECT를 이용한 국소뇌혈류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using $^{99m}Tc-HMPAO$ SPECT in Parkinson's Disease)

  • 이명철;배상균;이명혜;정준기;고창순;노재규;명호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1-256
    • /
    • 1992
  •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were measured in 10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nd 12 normal persons using $^{99m}Tc-HMPAO$ SPECT. Reconstructed images were interpreted qualitatively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findings of CT.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six pairs of region of interest matched with the perfusion territories of large cerebral arteries and cerebellar hemisphere were determined. From the count values, indices showing the degree of asymmetry between right and left cerebral or cerebellar hemisphere, cerebral asymmetry index (ASI) and percent index of cerebellar asymmetry (PIA), and an index showing change of each region, region to cerebellum ratio (RCR) were obtained. ASI of normal persons and patients were $0.082{\pm}0.033$ and $0.108{\pm}0.062$, respectively and PIA were $-0.4{\pm}0.7%$ and $-0.7{\pm}1.0%$, respectively, whic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persons and patients. Among 10 RCR's, those of both regions of basal ganglia and both regions of anterior cerebral artery were significantly reduced. We concluded that the most significant reduction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was observed in the regions of basal ganglia and in the regions of anterior cerebral artery, and the degree of change in hemispheric blood flow was similar in both hemisphere.

  • PDF

천막위 뇌경색 환자에서 전정유발근육전위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Supratentorial Infarction Patients)

  • 김광기;이승환;이서영;손홍석;김성훈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8권1호
    • /
    • pp.53-57
    • /
    • 2006
  • Background: V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VEMP) have been known to be useful documenting abnormality in patients with various vestibular disorders and brainstem lesions but the studies of VEMP in patients with hemispheric lesions are rare. Methods: We recorded VEMP in 21 consecutive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in the supratentorial lesions without evidence of brainstem or vestibular end organ lesions. All patients underw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the main outcome measures of VEMP were recorded in all subjects. We interpreted each parameters of VEMP using our normal laboratory data. Results: VEMP abnormalities(prolonged latency or asymmetry of amplitude) were found in 57%(12/21) of acute infarction patients with supratentorial lesions. Bilateral VEMP abnormalities were found in six patients and unilateral abnormalities were found in another six patients with ipsilateral abnormalities in the three and controlateral abnormalities in the three patients. Conclusions: VEMP abnormalities were found in supratentorial stroke patients in our studies and this findings suggest supranuclear control may affect the generation of VEMP potent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