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information services

검색결과 1,337건 처리시간 0.028초

IPA를 활용한 맞춤형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분석 (Personalized mobile Healthcare Service Analysis by IPA)

  • 신다혜;박만영;이영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59-69
    • /
    • 2011
  • 최근 건강관리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헬스케어 서비스는 이동성의 불편함이 있으며, 정보입력의 신뢰성과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스마트 폰을 활용한 m-Health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이는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건강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20~30대를 대상으로 맞춤화된 식이추천, 심혈관 질환위험도 알림 등의 총 5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기법을 통해 일반적인 m-Health 서비스의 중요도와 본 서비스의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장점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의 IPA분석결과 m-Health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12가지 항목 중 '정보 입력의 정확성 및 신뢰성', '컨텐츠 신뢰성', '건강에 적합한 서비스 추천' 등의 6가지 속성이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영역에 속하였다. 그리고 '정보의 보안성'은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가 낮은 영역에 속하였다. 결론적으로 본서비스의 장점을 지속적으로 잘 유지하기 위해 Personal Heath record(PHR) 정보 연동과 함께 제공되는 서비스의 업 데이트 및 정보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개인통신단말기를 통한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 Management System via Personal Communication)

  • 문태균;장성봉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331-335
    • /
    • 2008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u-City and u-City services have been actively pursued by individual local government bodies in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u-Health service, one of the services of u-City, by studying u-Health services in development (domestic and foreign) and by analyzing and proposing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required to provide such services. Mainly, this study will focus on analyzing the current trend in personal mobile device based u-Health servic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propose a new type of u-Health service, u-Diet service. The study will introduce the architecture, service scenario, technologies, characteristics, and the business model for the u-Diet servi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guideline for developing new u-Health services.

  • PDF

사물인터넷 기반의 일상 건강정보 수집을 위한 스마트 홈 테스트베드 구축 (Study on Building Smart Home Testbed for Collecting Daily Health Condi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채명수;김용록;김상식;김상태;정성관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284-292
    • /
    • 2017
  •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보통신기술과 의료서비스의 결합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면 개인의 건강 정보를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수집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의료서비스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일상 생활에서의 건강정보 수집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기들의 부족과 사용자 편의성 저하 등의 문제와 더불어, 개인 건강 정보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이러한 서비스들의 연구 개발 및 적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일상 생활을 영유하는 상황에서 건강관련 정보를 상시 수집하고 이를 개인 저장소에 저장하여 필요시에만 의료 종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일상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기반 스마트 홈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으며, 현재 사용자 실험을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추후 의료기기 제조업체, 병의원, 보험사 등과의 연계를 통해 일상의 건강정보에 기반한 고품질 의료 시범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다양한 건강관련 사물인터넷 기기의 활성화 및 일상 건강정보 분석을 통한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HR 서비스를 위한 SOA 기반 보건의료분야 통합정보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SOA for PHR services)

  • 박용민;오영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2호
    • /
    • pp.29-35
    • /
    • 2011
  • PHR(Personal Health Record)은 평생건강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자신의 진료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열람할 수 있고 건강정보를 직접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PHR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PHR 시스템과 보건의료 관련 정보시스템이 통합 및 연계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보건의료분야 정보시스템은 늘어나는 보건의료 수요 충족을 위해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정보화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지만, 현재의 시스템은 다양한 시스템 간의 상호 연관성이 있음에도 통합 및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웹 서비스 기반의 보건의료분야 통합정보시스템을 제안한다. 웹에서 서비스 통합을 추구하는 주요한 수단으로 서비스 지향 구조(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 SOA)를 들 수 있다. 이는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을 크게 변형하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요구사항들을 추가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보건의료분야 환경에 최대한 신속히 적응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모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HR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으로써 SOA를 기반으로 하는 보건의료분야 통합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함으로써, 웹 서비스 기반이 PHR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의 적합한 모델임을 입증한다.

도농복합지역 재가복지대상자의 기능상태평가 (Functional Status Evaluation of Disabled Persons in Urban and Rural Areas)

  • 문미승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27-13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techniques in utilizing the systematic home-rehabilitation service with a Minimum Data Set for Home Care (MDS-HC) 2.0 navigator system.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50 persons receiving home-care services from a Welfare Center. Respondents were selected from urban and rural areas in and around the Wonju are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MDS-HC2.0 was useful to evaluate the functional status of disabled persons in the fields of health and home-care services. Furthermore, this navigator system provided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al health problems of respondents and therefore can provide guidance for health and home care services for disabled persons. Conclusions: Through the present study, a comprehensive model for health and home-rehabilitation was developed. The author believes that respondents will have the satisfaction of high quality service if the developed model is used as the standard in planning and providing home-rehabilitation services.

현상학적 방법에 의한 소규모 사업장 산업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ccupational Nursing Services in Small Sacle Industry with Reference to Phenomenological Study)

  • 정문희;조정민;이수연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22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qualitative approaches to occupational reference to group health practices. In-depth interviewing was done on 8 subjects health monitor members, owners and occupational nurses, respectivel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Visiting health management Useful services were 'health counseling', 'medical examination', 'providing informations about managing diseases', 'agency business in relation to Labour Ministry' and 'giving a recognition about occupational health service to owners'. Insufficiencies were 'lack of treatment service after medical examination' and 'lack of follow up services constantly'. 2. Occupational nursing service Useful services were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and 'counselling about health'. Major contents of occupational nursing services were 'management of occupational and adult diseases' and 'explanation of the results after medical examination'. Insufficiencies were 'deficiency of the place where group health education could be performed', 'lack of additional or closer examinations needed in counselling' and 'discontinuous selection of additional or more exact examinations'. 3. Health monitor members Health monitor members in industries were classified into two. Some were selected by owners and the others were selected simply by considering their administrative abilities such as proficient management of documents. Their major tasks were to connect workers with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agencies. This study suggests tha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which enable health monitor members to cooperate with occupational nurses.

  • PDF

탄소 저감 및 건강 정보를 위한 U-health Bike 웹 서비스 (U-health Bike Web Services for Reducing Carbon and Health Information)

  • 김창진;김우완;장상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249-256
    • /
    • 2013
  • 오늘날 화석연료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화두 되면서 우리 정부와 선진국들은 환경 친화적이며 건강을 증진시키는 교통수단으로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기존 공영자전거 시스템들은 위치추적, 자전거 대여 관리와 같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탄소저감 측정이나 자전거 사용 정보와 같은 이용자 측면의 서비스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녹색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교통수단인 자전거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들의 건강정보, 환경정보, 녹색정보, 개인정보, 상담 서비스와 탄소저감량 정보를 제공한다. Web 2.0 기술을 접목하여 구현함으로써 자전거의 사용자 측면에서 참여와 공유의 개념을 확대한 저탄소 녹색성장 실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한국 거주 외국인의 의료서비스 경험 (Foreign Residents' Experience of Korean Health Care Services)

  • 이병숙;오익근;이은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6-237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xperience of health care services by foreign residents in Korea. Method: Participants were 12 foreigners from China, North America, and Japan.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wit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health services was categorized as 21 sub-categories, 11 categories and three main categories. The main categories were 'Quality of health care', 'Health care personnel', and 'Health care system and infrastructure'. The main category of 'Quality of health care' included three categories, 'Health care personnel' included another four categories, and 'Health care system and infrastructure' included the remaining four categories. The participants reported positive experiences such as favorable feelings and satisfaction particularly, with the high quality of health care but also negative experiences such as apprehension, distrust,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 in the health care service in Korea.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improve health care services for foreigners by providing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the foreign residents' experience of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from their perspectives.

국외 병원도서관에서의 환자이용자를 위한 건강정보서비스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 for Patient Users in Overseas Hospital Libraries)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5-221
    • /
    • 2019
  • 본 연구는 국외 병원도서관 환자대상 건강정보서비스 사례조사를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총 89개의 국외 병원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여기에는 종합병원, 전문병원, 여성병원, 어린이병원, 재향군인병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89개 병원도서관에서 일반적이면서 공통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건강정보서비스를 조사하였으며 다음으로 차별화된 건강정보서비스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국외에서는 병원도서관의 설치와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이 일반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서, 건강정보전문가, 의학전문사서, 사회복지사, 임상사서, 건강교육전문가, 자원봉사자 등의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하고 있다. 셋째, 인쇄자료뿐 만 아니라 전자자료, 웹사이트, 팸플릿, 브로우셔 등의 다양한 정보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언어로도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건강(정보활용)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에 있어 병원, 지역공공도서관, 지역공동체 등과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를 통한 국내 병원도서관을 위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병원도서관 설치 및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식의 전환, 둘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협회의 지원과 계속교육의 필요성, 셋째, 병원도서관에서의 건강정보서비스 의무화 및 다양화를 위한 관련 기관과의 연계 등이 필요하다.

헬스 2.0 기반의 한의정보 프레임워크 모델 설계 (Design Korean Medicine Health Information Model with Health 2.0 Framework)

  • 예상준;양창섭;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807-814
    • /
    • 2013
  • 건강관리 및 만성질환관리에 강점을 보이는 한의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변화를 수용한 새로운 한의정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한의학 분야에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헬스2.0의 개념과 서비스의 특징을 분석하고 국내의 한의정보 서비스의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인증된 의료정보를 유통하여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의료정보의 가치를 높이며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통합하고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고 콘텐츠를 재생산할 수 있는 한의 헬스2.0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