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Korean Medicine Health Information Model with Health 2.0 Framework

헬스 2.0 기반의 한의정보 프레임워크 모델 설계

  • 예상준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개발운영그룹) ;
  • 양창섭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개발운영그룹) ;
  • 김철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개발운영그룹)
  • Received : 2013.09.26
  • Accepted : 2013.10.24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Because there are growing demands for new information service of Korean medicine (KM) accommodated changes in the paradigm of health communication, we aimed to apply health 2.0 - which shares health information to improve individuals' health - extensively in KM. First we studied abou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health 2.0 and analyzed the pros and cons of KM information services. Finally we drew the KM health 2.0 framework from the analyzed results. KM health 2.0 framework is designed to raise the value of KM information through circulation of certified medical information to prevent medical accident. And it is also designed to integrate inform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from the information of individual services to recreate KM contents.

건강관리 및 만성질환관리에 강점을 보이는 한의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변화를 수용한 새로운 한의정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한의학 분야에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헬스2.0의 개념과 서비스의 특징을 분석하고 국내의 한의정보 서비스의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인증된 의료정보를 유통하여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의료정보의 가치를 높이며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통합하고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고 콘텐츠를 재생산할 수 있는 한의 헬스2.0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병관, 변웅준, 임주리, "개인의 e-헬스 리터러시 (e-Health Literacy)가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7 권, 제3호, pp.89-125, 2010.
  2. R. Thackeray, B. L. Neiger, A. K. Smith, and S. B. Wan Wagenen, "Adoption and use of social media among public health departments," BMC Public Health, Vol.12, No.1, e242, 2012. https://doi.org/10.1186/1471-2458-12-242
  3. 예상준, 장현철, 김상균, 김철, 송미영, "한의학 웹 사이트의 신뢰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189-196,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5.189
  4. http://isiknowledge.com/
  5. http://www.ncbi.nlm.nih.gov/pubmed/
  6. http://www.riss.kr/index.do
  7. http://www.dbpia.co.kr/
  8. T. H. Van De Belt, L. J. Engelen, S. A. Berben, and L. Schoonhoven, "Definition of Health 2.0 and Medicine 2.0: A Systematic Review," J.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2, No.2, e18, 2008.
  9. P. J. Murray, M. Cabrer, M. Hansen, C. Paton, P. L. Elkin, and W. S. Erdley, "Towards addressing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Web 2.0 for health and informatics," IMIA Yearbook of Medical Informatics, pp.44-51, 2008.
  10. B. W. Hesse, D. Hansen, T. Finholt, S. Munson, W. Kellogg, and J. C. Thomas, "Social Participation in Health 2.0," Computer (Long Beach Calif), Vol.43, No.11, pp.45-52, 2010.
  11. J. E. van Gemert-Pijnen, N. Nijland, M. van Limburg, H. C. Ossebaard, S. M. Kelders, G. Eysenbach, and E. R. Seydel, "A Holistic Framework to Improve the Uptake and Impact of eHealth Technologies," J.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3, No.4, e111, 2011. https://doi.org/10.2196/jmir.1672
  12. M. Swan, "Crowdsourced Health Research Studies: An Important Emerging Complement to Clinical Trials in the Public Health Research Ecosystem," J.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4, No.2, e46, 2012. https://doi.org/10.2196/jmir.1988
  13. http://en.wikipedia.org/wiki/Health_3.0
  14. 김철, "검색포털 지식검색에 대한 한의학분류체계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대한한의정보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10, 2009.
  15. 엄석기, 맹웅재, "한국십진분류법의 한의학분야 稅目 분류에 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16권, 제2호, pp.359-370, 2004.
  16. 안선영, 김산하, 장이권, "생명과학 지식의 가공과 콘텐츠화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503-51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503
  17. 문병채, "문화콘텐츠 DB 분류 및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04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2권, 제2호, pp.61-73, 2004.
  18. 홍성천, 금경수, 황우준, 이시형, 전병욱, "한방의 료정보화 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의료정보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14-188, 2004.
  19. 김정은, 김석화, 신윤주, "인터넷 건강정보가 의사-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사들의 인지도 조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제21호, pp.279-301, 2007.
  20. 이영태, 윤태영, 김상현, "환자의 특성에 따른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의료인의 설명이해도", 보건과 사회과학, 제32집, pp.145-17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