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 volum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장기산림경영계획의 목표수확량 산출을 위한 목표계획법의 적용 (Estimation of Optimal Harvest Volume for the Long-term Forest Management Planning using Goal Programming)

  • 원현규;김영환;권순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125-131
    • /
    • 2009
  • 산림청에서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실현과 국내 목재수급 및 우량 목재자원 확보를 위해서 전국 450개 단지, 292만ha의 산림을 경제림육성단지로 지정하고, 경제림육성단지별 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지자체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집약적으로 산림사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산림의 대부분은 III, IV영급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불균형한 영급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 영동군의 경제림육성단지를 대상으로 이 지역의 산림을 지속가능한 영급구조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벌채수확량을 산출하였다. 벌채수확량의 최적화를 위해서 목표계획법(Goal Programming)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대상지의 산림을 지속가능한 영급구조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50년을 전체사업기간으로 하여 매 분기(10년)별로 약 124만$m^3$의 벌채수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영급구조 개선을 위한 관련 정책 및 사업들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Linear Programming에 의한 삼림경영계획(森林經營計劃) - 잣나무임분(林分)의 삼림수확계획(森林收穫計劃)을 중심으로 - (Forest Management Planning by Linear Programming - Timber Harvest Scheduling of a Korean Pine stand -)

  • 우종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27-435
    • /
    • 1991
  • 삼림수확계획(森林收穫計劃)을 위한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LP)의 적용성(適用性)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삼림경영(森林經營) 계획기간(計劃期間) 10년 동안 보적수확량(保積收穫量)의 시간적(時間的), 공간적(空間的) 최적배분(最適配分)을 위하여 시뮬레이션과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을 사용하였다. 수확표수치(收穫表數値)를 이용하여 수종별(樹種別) 생장방정식(生長方程式)을 유도했고 시뮬레이션 모형(模型)에 유도된 생장방정식(生長方程式)을 포함시켜 계획기간(計劃期間)동안 잣나무임분(林分)의 축적변동상황(蓄積變動狀況)을 추정(推定)하였다. 이것은 LP모형의 기초 data가 되며 고전적(古典的) 수확조절방법(收穫調節方法)(Paulsen-Hundeshagen 공식법(公式法))에 의해 계산된 분기별(分期別) 수확재적(收穫材積)의 상한치(上限値)등이 LP모형구성에 포함되었다. 2년(年)을 1분기(分期)로 하여 계획기간(計劃期間) 10년(年)을 5분기(分期)로 나누었으며 본(本) 연구(硏究)에서 개발(開發)된 LP모형에 의해 연습림내(演習林內) 잣나무 임분(林分)의 보조소반별(補助小班別) 분기별(分期別) 최적수확(最適收穫) 계획(計劃)을 수립(樹立)하였다.

  • PDF

Assessment of Timber Harvest in Tropical Rainforest Ecosystem of South West Nigeria and Its Implication on Carbon Sequestration

  • Adekunle, Victor A.;Lawal, Amadu;Olagoke, Adewole 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14
    • /
    • 2014
  • Timber harvest in natural forests and its implications on carbon sequestr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Southwestern Nigeria. Data on timber harvest from forest estates for a 3-year period were collected from the official record of States' Forestry Department. The data registered the species, volume and number of timbers exploi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ly for rate of timber harvest and carbon value of the exploited timbers using existing biomass functions. Values were compar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ates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exploited logs, in terms of volume and number of trees, have the highest amount of carbon removal. There was a variation in type of timber species being exploited from each state. The total number of harvested trees from Oyo, Ondo, Ogun, Ekiti and Osun were estimated at 100,205; 111,789; 753; 15,884 and 18,153 respectively. Total quantity of carbon removed for the 3-year period stood at 2.3 million metric tons, and this translated to 8.4 million metric tons of $CO_2$. The annual carbon and $CO_2$ removal therefore were estimated at 760,120.73 tons and 2.8 million tons/ year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amount of $CO_2$ removed from the five states. Based on our result, we inferred that there is increasing pressure on economic tree species and it is plausible that they are becoming scarce from the forests in Southwestern Nigeria.. If the present rate of log removal is not controlled, forests could become carbon source rather than carbon sink and the on biological conservation, wood availability and climate change may turn out grave. For the forest to perform its environmental role as carbon sink, urgent conservation measures and logging policies are needed to be put in place.

탄소가치를 고려한 소나무림의 최적관리 방안 (The Optimal Harvest Scheme for Pine Trees When Carbon Value Is Considered)

  • 이상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64-1170
    • /
    • 2013
  • 나무는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산림은 목재의 생산지로서만 아니라 탄소저장고로 고려되어야한다. 이 연구는 산림의 탄소흡수 역할을 고려한 최적 벌채연령을 찾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관리방법별 연령별 재적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문제해결을 위해 다이나믹프로그래밍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벌채연령은 탄소의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정부가 규정하는 국유림 소나무에 대한 벌채연령보다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유림 소나무에 대한 정부의 관리에는 탄소흡수에 대한 가치뿐만 아니라 다른 공익적 가치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사유림에 대한 규정은 적정 벌채연령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사유림경영에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

Establishment of Optimal Timber Harvesting Model by Using Goal Programming

  • Jang, Jae-Young;Choi, Sang-Hyun;Woo, Jong-C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30-36
    • /
    • 2012
  • The total yield of Pinus koraiensis stands was reviewed along forest function by using goal programming, which is one of the operations research techniques. The 4 kinds of management goals are set to identify timber production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s a result, scenario 1 was estimated the best timber production over 2,073 ha area and also 588 ha in the third quarter was showed the most timber harvest. The rate of timber harvest was separated by 10 to 50 percent in non-timber forest function in the scenario 1 and that model was applied to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structure of the area and volume is showed to be balanced quarterly when rate of timber harvest at 10 to 20 percent.

The Role of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in Latissimus Dorsi Flap Donor Site Seroma Prevention: A Cohort Study

  • Angspatt, Apichai;Laopiyasakul, Thana;Pungrasmi, Pornthep;Suwajo, Poonpissamai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4호
    • /
    • pp.308-312
    • /
    • 2017
  • Background Donor site seroma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after latissimus dorsi (LD) flap harvest.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NPWT) in preventing donor site seroma formation after the harvest of an LD flap for breast reconstruction. Methods In this prospective matched-pair study, 40 patients in whom an LD flap was harvested for breast reconstruction were enrolled. NPWT was used in 20 patients, and in a control group composed of another 20 patients, the conventional donor site dressing technique was used. Information was collected regard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incidence of seroma, total drainage volume, the number of percutaneous seroma aspirations, and the volume aspirated. Results In the NPWT group, the incidence of seroma formation after drain remova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15% vs. 70%; odds ratio=0.07; relative risk, 0.24). Both the mean percutaneous aspirated volume (P =0.004) and the number of percutaneous aspirations (P=0.001)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NPWT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drainage volume or the duration of wound drainage between the NPWT dress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NPWT is a promising tool for reducing the incidence of seroma formation after removing the drain at the donor site after LD flap harvesting. It is a simple and safe technique.

Immediate Partial Breast Reconstruction with Endoscopic Latissimus Dorsi Muscle Flap Harvest

  • Yang, Chae Eun;Roh, Tai Suk;Yun, In Sik;Kim, Young Seok;Lew, Dae Hyu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13-519
    • /
    • 2014
  • Background Currently, breast conservation therapy is commonly performed for the treatment of early breast cancer. Depending on the volume excised, patients may require volume replacement, even in cases of partial mastectomy. The use of the latissimus dorsi muscle is the standard method, but this procedure leaves an unfavorable scar on the donor site. We used an endoscope for latissimus dorsi harvesting to minimize the incision, thus reducing postoperative scars. Methods Ten patients who underwent partial mastectomy and immediate partial breast reconstruction with endoscopic latissimus dorsi muscle flap harvest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total operation time, hospital stay, and complications were reviewed. Postoperative scarring, overall shape of the reconstructed breast, and donor site deformity were assessed using a 10-point scale. Results In the mean follow-up of 11 weeks, no tumor recurrence was reported. The mean operation time was 294.5 (${\pm}38.2$) minutes.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11.4 days. Donor site seroma was reported in four cases and managed by office aspiration and compressive dressing. Postoperative scarring, donor site deformity,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neobreast were acceptable, scoring above 7. Conclusions Replacement of 20% to 40% of breast volume in the upper and the lower outer quadrants with a latissimus dorsi muscle flap by using endoscopic harvesting is a good alternative reconstruction technique after partial mastectomy. Short incision benefits from a very acceptable postoperative scar, less pain, and early upper extremity movement.

한국형 산림토양탄소모델(KFSC)을 이용한 수확 주기 및 강도와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에 따른 소나무림 토양탄소 저장량의 장기 변화 추정 연구 (Estimation of Long-term Effects of Harvest Interval and Intensity, and Post-harvest Residue Management on the Soil Carbon Stock of Pinus densiflora Stands using KFSC Model)

  • 박찬우;이궁;이종열;이경학;이명종;김춘식;박관수;김래현;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82-89
    • /
    • 2013
  • 벌채 수확은 토양 내 탄소 동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교란 중 하나이다. 그러나 수확에 따른 토양탄소 변화를 현지에서 장기간 연구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제한 요건이 있기 때문에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장기적인 토양탄소 변화 경향을 효율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한국형 산림토양탄소 모델(KFSC 모델)을 이용하여 국내 중부지방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 임분을 대상으로 수확의 주기, 강도,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에 따른 산림토양탄소 동태의 장기 변화를 모의하였다. 모의 시나리오는 3개의 수확 주기(50년, 80년, 100년), 2개의 수확 강도(재적 대비 30%의 부분수확 및 100%의 개벌수확), 2개의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지상부 잔재물의 전량 수거 및 전량 방치) 등을 조합하여 총 12개로 이루어졌으며, 연간 토양탄소 저장량의 변화를 400년 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400년 후 30 cm 깊이까지의 토양탄소 저장량은 시나리오별로 50.3-55.8 Mg C $ha^{-1}$(현재 토양탄소 저장량 대비: 98.1-108.9%)의 범위를 나타냈다. 수확 후 잔재물을 전량 방치할 경우 잔재물을 전량 수거할 때보다 토양탄소 저장량이 2.5-11.0%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나, 수확 주기 및 강도에 따른 토양탄소 저장량 변화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탄소 저장량의 변화 경향은 고사유기물의 변화 경향과 일치하였으며, 고사유기물의 변화 경향은 수확 시 발생하는 고사유기물의 양과 수확 후 임분 생장 형태에 의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율무의 기계수확(機械收穫) 시기(時期)에 따른 수량성(收量性) (Yield Variation in Different Harvest Time of Coix lachryma L. var. Ma-yuen STAPF)

  • 이은섭;이준석;김기중;이효승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84-288
    • /
    • 1997
  • 농가(農家)에 보급(普及)된 수도용(水稻用) 콤바인의 이용효율(利用效率)을 높이고 농가소득 증대(農家所得 增大)에 기여(寄與)하기 위해 율무의 콤바인 수확적기(收穫適期)를 구명(究明)하고자 수확시기(收穫時期)를 개화기후(開花期後) 40일, 50일, 00일, 70일에 실시(實施)하시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업효율(作業效率)은 개화기후(開花期後) 50일 이후(以後)에는 2조 수확(收穫)) 가능(可能)하였고, 작업속도(作業速度)는 개화기후(開花期後) 50일 이후(以後)에는 0.26m/s였고 이론상의 작업능력(作業能力)은 개화기후(開花期後) 60日 이후(以後)는 11.23a/hr였다. 2.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낮아져 경엽(莖葉)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69.7{\sim}55.3%$ 였고, 종실(種實)의 수분함량은 개화기후(開花期後) 60일 이후(以後)에는 34.2%정도로 안정 되었다. 3.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등숙립(登熟粒)은 증가(增加)하였고, 미숙립(未熟粒)과 검불은 감소(減少)하였는데, 개화기후(開花期後) 60일 이후(以後)에는 검불의 혼입율이 1.8%미만이었다. 4. 개화기후 40일부터 7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조사한 결과, l 중은 수확시기(收穫時期) 가 늦어질수록 무거워졌으나, 10a당(當) 종실수량(種實收量)은 개화기후(開花期後) 60일에서 가장 무거웠다. 5. 율무의 수도용(水稻用) 콤바인을 이용한 수확적기(收穫適期)는 회귀분석(回歸分析) 결과(結果) 개화기후(開花期後) 68 일경(日頃)이었다.

  • PDF

응집제 혼합을 이용한 미세조류의 응집 특성 (Flocculation Characteristics of Microalgae Through Combined Flocculants)

  • 권도연;정창규;이철균;이진원
    • KSBB Journal
    • /
    • 제26권5호
    • /
    • pp.443-452
    • /
    • 2011
  • In this study, inorganic flocculant with biodegradable polymer flocculant was usedfor microalgae harves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flocculant, the concentr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flocculant and reaction volume for decreasing the amounts of flocculant and obtaining the suitable pH range for seawater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flocculation of three marine microalgae, Chlorella ellipsoidea, Dunaliella bardawil, and Dunaliella tertiolecta, using inorganic flocculants and biodegradable polymer flocculant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al flocculant quantity showed 0.1 g/L of ferric chloride, 7.5 g/L of chitosan on Chlorella ellipsoidea. In the case of Dunaliella bardawil, the optimal flocculant quantity showed amount of ferric sulfate more than 0.12 g/L and chitosan more than 0.75 g/L. In the case of Dunaliella tertiolecta, the optimal flocculant quantity showed 1.0 g/L of sodium aluminate, 0.75 g/L of chito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