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bor construction projec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준설선을 활용한 지오튜브공법 개발 (Development of Geotube Technology Using Dredging Ship)

  • 신은철;오영인;김종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7-184
    • /
    • 2000
  • Geotube is a tube made of geotextile and hydraulically filled with dredged soil. This technological method has been widely used in the advanced countries of the world to build the shore protection embankment. The dredged contaminated sediments from the lake, river, and harbor can be pumped into the geotube by using the hydraulic pump. So, environments effects can be minimized and enhanced by using this method. This paper presents a field test result of a geotube in the land reclamation project for the Songdo New City construction site. The dredged silty clay was dredged by the dredging ship and hydraulically pumped into the geotube. The height of geotube was measured at every filling stage and also measured width and diameter of geotube with the elapsed time. The unit weight of soil and undrained shear strength of filled soil in a tube were measured at the various locations and heights of geotube with the elapsed time. Geotube technique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for the silty clayey soil with using the dredging ship.

  • PDF

뇌관당 파쇄암량을 고려한 발파작업수량 산정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otal Amounts of Blasted Rock by Detonator Volume used in the Blasting)

  • 김민규;안명석
    • 화약ㆍ발파
    • /
    • 제21권1호
    • /
    • pp.41-47
    • /
    • 2003
  • 도로, 항만, 터파기 등의 공사에서 대량의 발파 작업이 선행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발파작업은 시공을 맡은 원청 회사측에서 직접 행하는 수도 있지만 대개는 전문적으로 발파를 시행하는 업체에게 하청을 주게 마련이다. 이럴 경우 종종 발파작업이 완료된 이후 원청회사와 하청회사 사이에 발파작업 수량에 대한 원만한 합의를 보지 못할 경우가 있는 이럴 경우 쌍방 혹은 쌍방이 위임한 제3자가 발파작업 수량을 추정하게 된다. 사후에 발파작업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일위대가표를 적용한 추정, 시행된 발파의 비장약량을 적용한 추정, 발파작업일보를 비교하여 뇌관당 발파암량을 적용하는 방법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사례를 통하여 뇌관당 발파암량을 적용하여 발파작업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이 방법이 다른 여타의 추정 방법에 비하여 가장 신회성이 높음을 입증하였다.

제한투기시설에서 배출되는 여수의 근역거동 (The Near-field Behavior of Effluent discharged from Confined Disposal Facility)

  • 정대득;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5-107
    • /
    • 2000
  • The primary purpose of dredging work is to maintain navigational readiness and to increase environmental amenity, so that the dredging project which is composed of excavating, removing, transporting, storing and disposing dredged material must be carefully managed to insure that dredging works are completed in a cost-effective and environmentally safe manner. The most important point in dumping operations is an estimating and reducing the impacts of discharges at the dumping area.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reduction of ecological impacts at dumping area is using the schematic process composed of the sophisticated plan, precise work and predicting/reducing the impacts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and field observation. In this study, the numerical model is used to predict the near-field spatial fate and begavior of effluent discharged from Confined Dumping Facility(CDF) located near coastal area. To to this purpose, reappearing of tidal current was preceded. The model is then applied to Mokpo harbor, where capital dredging and maintenance dredging a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the CDF is under construction;. In the series of model case study, we found that the near-field behavior of effluent discharged from CDF was governed by the receiving water condition, outfall geometry, characteristics of efflent and CDF operating conditions.

  • PDF

낙동강 하류 및 부산연안지역의 준설토와 퇴적토 활용을 위한 특성 평가 (Assessment of Dredged Soils and Sediments Properties in the Lower Reach of Nakdong River and Coastal Areas of Busan for Beneficial Uses)

  • 이용민;김국진;성기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1호
    • /
    • pp.57-66
    • /
    • 2013
  • Although the quantity of dredged soils has increased owing to recent new harbor construction, sea course management, polluted sediment dredging, and four-river project, the reuse or recycling of those dredged soils has not done properly in Korea. To develop measures to utilize them in various ways for reuse or recycling, the bio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edged soils and sediment were assessed in this study. Samp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ources-river and sea-by location, and as dredged soil and sediment depending on storage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dredged materials from the sea have high clay content and can be used for making bricks, tiles, and lightweight backfill materials, while dredged materials from the river have high sand content and can be used in sand aggregates. Separation procedures, depending on the intended application, should be carried out because all dredged materials are poorly sorted. All dredged soils and sediments have high salinity, and hence, salts should be removed before use for cultivation. Since dredged materials from the sea have adequat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except phosphate, they can be used for creating and restoring coastal habitats without carrying out any additional removal processes. The high overall microbial activities in dredged materials from the river suggested that active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circulation of nutrients, and provision of nutrients may occur if these dredged materials are used for cultivation purpose.

해양 오염퇴적물 정화를 위한 원통관과 클램쉘을 이용한 피복 기술의 비교 (Comparison of Pipeline and Clamshell Capping Technologies for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 강구;홍성구;김영기;박성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95-206
    • /
    • 2017
  • 국내에 원위치 피복기술의 적용 사례가 전무한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부산 N항을 대상으로 피복 기술에 대한 시범 사업을 수행하였다. 오염 정화를 위하여 원통관과 클램쉘을 이용한 피복 공법이 적용되었다. 두 공법의 피복형상 변화, 퇴적물 오염도 변화, 공정 소요시간, 소요비용을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원통관 공법과 클램쉘 공법 모두 목표 두께인 50 cm를 평균적으로 만족하였다. 그러나 원통관 공법은 해저지형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비균일한 피복형상을 나타내었다. 원통과 공법과 클램쉘 공법 적용 시 유기물 함량은 매우 감소하였지만, pH의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Cd, Ni, Zn의 유기물 및 잔류 형태의 비율이 피복 후 증가하였다. 원통관 공법의 경우 클램쉘 공법에 비해 공정 소요시간이 약 4배 정도 더 소요되었다. 클램쉘 공법의 시공비용은 원통관 공법에 비해 약 40% 절감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 퇴적물 정화 효율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최소 2년 이상의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진행되어야 한다.

매립으로 인한 광양만의 유동변화 수치실험 (Numerical experiments for the changes of currents by reclamation of land in Kwangyang Bay)

  • 추효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7호
    • /
    • pp.637-650
    • /
    • 2002
  • 광양만역 종합개발로 인한 만 내 유동 변화를 정량 파악하기 위해, 광양만 전역에 대한 계절별 해황조사, 계절별 유동 조사 및 진단 다중 모델을 이용하여 광양만 순환류 구성 요소 에 대한 변화량을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 계산을 통해 규명하였다. 1)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유역 면적이 줄어들고 유동도 약해진다 조류 에너지는 광양만이 개발되기 전에 비해 종합 개발 10년 후, 약 10% 감소한다. 마찰 손실은 약 50% 감소한다. 2) 광양만 개발로 인한 조석 잔차류는 약 35~40% 감소한다. 3) 조석 잔차류의 약 1/10 정도인 밀도류는 하계에 크고 추계에 작으며, 개발로 인해 약 10% 증가한다. 4) 취송류는 풍속이 작은 하계에 작고 풍속이 강한 동계에 크다. 취송류는 개발로 인해 약5% 감소한다. 5) 조석 잔차류+밀도류는 하계에 크고 추계에 작다. 개발에 따른 변화는 현재~10년 후 약 5~l2% 증가하나, 개발 전 과거~현재는 9~13% 감소했다. 6) 조석 잔차류+취송류는 개발에 따라 약 10% 감소한다. 7) 조석 잔차류+밀도류+취송류의 잔차류는 개발10년 후가 개발 전에 비해 10% 감소한다. 이는 2차원적 조류 에너지 Flux 변화 결과와 일치한다. 계절별로는 하계가 가장 크게 감소하여, 종합 개발 후 성층강화와 잔차유속 감소로 오염이 크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8) 광양만내의 순환류 요소 중 계절 변화가 가장 큰 흐름은 잔차류이고 그 다음이 조석 잔차 취송류, 취송류, 조석 잔차 밀도류 그리고 가장 작은 것이 밀도류이다. 잔차류의 계절 변화는 주로 취송류 변화에 의한다.

해역이용협의제도 운용 현황 분석 및 실효성 제고방안 (An Application Status and Consideration of System Improvement on the Sea Area Utilization Conference and Impact Assessment)

  • 이대인;김귀영;전경암;엄기혁;유준;김영태;문주훈;감민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48
    • /
    • 2011
  • 본 연구는 각종 해역이용 개발로 인한 해양환경 및 생태계를 보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운용 현황과 실적을 분석하여 협의 유형 및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개발사업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도입기를 지나 정착 발전단계에 접어든 해역이용협의 및 평가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운용상 나타난 문제점을 고려한 제도의 개선방안을 진단하였다. 2009년 및 2010년의 전체 해역이용협의 실적은 3,705건이며, 간이해역이용협의 87.0%, 일반해역이용협의 12.8%, 해역이용영향평가 0.2%로 나타났다. 일반해역이용협의의 행위유형은 공유수면매립 43.4%, 기타 23.4%, 해수 인 배수 17.5%, 준설 5.5%, 항만시설의 설치 4.6%, 어항시설의 설치 2.3% 순이었다. 환경영향평가서의 검토유형은 항만건설이 32.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산업단지조성, 관광단지개발과 도로건설, 에너지개발 순으로 분석되었다. 해역이용협의가 증가하고, 개발유형 또한 다양화되고 대형화됨에 따라 제도의 실효성 및 홍보 강화, 협의기관 및 검토기관 등의 역량 강화, 그리고 해양환경영향평가의 신뢰성 제고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야 할 것이다.

해양환경보전과 이용·개발의 상충 분석과 해양공간계획에 대한 시사점 (Diagnosis of Conflict Problem between the Marin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and Policy Implication for Marine Spatial Planning)

  • 이대인;탁대호;김귀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7-235
    • /
    • 2016
  • 최근 해양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해역이용 개발 현황 분석을 통해 입지의 적정성과 환경영향 측면에서 상충될 수 있는 대표적인 개발사례를 진단하여 해양공간계획수립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해양 신재생에너지개발(조력 및 해상풍력), 바다골재채취, 공유수면매립, 연안골프장 조성, 온배수 및 고염수 배출, 침식영향 개발사업 등의 주요 사례 분석결과, 해당 공간이용 및 관리방향 간의 상충성이 빈발하고, 누적환경영향에 따른 해양환경과 생태계 훼손, 어장이용과 이행당사자사이의 갈등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는 개발 입지 및 주변 공간영역에 대한 충분한 현황 파악이 부족하고, 공간이용과 관련된 개별법의 상호성 및 연계성 평가가 미흡한 것과 관련되어 있다. 사전예방적인 해양환경관리 정책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입지 적정성과 개발규모에 대한 평가 검토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특히, 전략환경영향평가 등 상위계획 심의단계에서 입지와 규모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 시, 해양공간이용 현황, 상위계획과 지역계획간의 연계성(특히, 연안관리지역계획과 통합계획), 해양수산규제지역과 보호대상 해양생물 분포 등 핵심 평가사항을 제시하도록 하여 보다 철저한 진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속가능한 보전과 개발의 조화를 위해서는 TOP-DOWN 방식의 해양공간계획 전략(연안과 EEZ, 광역과 협역 해역 등 전체적 Zoning과 Sector 연계성을 강화, 3차원 정보 포함 등)을 마련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체계적이고 최신의 해양공간정보 속성자료 파악 및 공유를 위한 통합 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수산과 관련된 전 부문, 즉, 항만 어항, 수산, 연안관리, 해양환경과 생태계 분야에서 해양공간이용의 상호적이고 일관성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