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gover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간세포 독성과 에탄올 대사에서 추출 조건에 따른 다슬기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s from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on Liver Cell Toxicity and Ethanol Metabolism)

  • 조경환;추호진;서민균;김종철;신유진;류기형;조희영;정치영;하영술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58-1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슬기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과 에탄올 대사에서의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산과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슬기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조성, 항산화 활성, 아세트아미노펜 처리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 대한 보호효과 및 ADH와 ALDH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분석하였고, 다슬기 추출물을 알코올과 함께 백서에 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혈중 독성 중간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를 정량하여 알코올 섭취 후 나타나는 숙취해소에 대한 효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열수추출물과 비교하여 산추출물, 효소추출물, 효소-산추출물 모두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숙취해소를 도와주는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메티오닌 등이 대폭 증가하여 다슬기 추출물의 기능적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항산화능의 평가지표인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다슬기 추출물은 AAP로 간 손상을 유도한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생존율과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AAP 만을 처리한 대조군은 $67.8{\pm}4.3%$의 생존율을 보인 반면 다슬기추출물 1 mg/mL과 AAP를 병용처리한 경우 각각 9.7%와 13.7%의 간세포 생존율 증가를 보였다. 세포독성은 AAP 만을 처리한 대조군은 33.7%의 LDH 활성에 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낸 반면 다슬기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세포독성이 15.4%-24.4%로 감소되었다. 또한, 에탄올 대사에서 중요한 ADH와 ALDH 활성은 열수추출물에 비해 효소를 이용한 다슬기 추출물에서 각각 최대 4.8배와 2.7배 증가하였다.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다슬기 효소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양한 추출 방법에 의한 다슬기추출물 소재는 항산화 활성과 간손상 보호효과 및 숙취해소능을 가지며, 효소추출물의 ADH와 ALDH 활성 증가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향후 이들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소재복합물의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활성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 감소 (Natural herbal extract complex induces the degradation of alcohol and acetaldehyde and reduces the breath alcohol concentration)

  • 황지홍;김미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381-392
    • /
    • 2020
  • 본 연구는 천연소재 12종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라디칼 소거능, 알코올탈수소효소(ADH),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ALDH) 활성도를 측정하고 상승효과를 가지도록 배합한 복합물의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수한 개별 소재를 선정하고 배합비를 달리하여 효능 평가를 통해, 배합비가 효능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8종의 추출물 중 보이차, 소나무, 갈근 순으로 ADH 활성이 높았고, 갈근은 배합량과 효능 간의 양의 상관관계, 보이차, 소나무 등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종의 소재로 배합한 F1~F7 을 대상으로 ADH, ALDH 활성평가를 통해 F.7에서 상승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여 최적 배합비로 도출하였다. F.7를 섭취한 시험군에서 알코올 섭취 30분 후부터 호기 알코올 농도가 섭취 직후 호기중 알코올 농도 대비 58%로 유의적으로 감소되기 시작하였고, 120분 후 27%로 호기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되었다. 음주 후 발생하는 숙취증상 설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음주 후 발생하는 피곤함과 갈증에서 유의적인 개선효과 (p<0.05)가 있었다.

의·보건 계열 대학생의 음주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medical and Health-Related Majors on Drinking Culture)

  • 김광환;한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43-5048
    • /
    • 2011
  • 본 연구는 의 보건 계열 학생의 음주 인식을 파악하여 음주인식이 음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지방의 두 도시에 소재한 의 보건 계열 대학생 153명을 랜덤 샘플하여 의학 계열 86명과 보건 계열 67명에게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1년 5월 1일부터 2011년 9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의 보건 계열 학생들이 음주로 인해 지난 1년간 생활에 지장을 받은 경우가 75.8%로 매우 높았으며, 음주 인식도가 음주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술은 사람의 기운을 북돋워 준다' (p<.001), '술을 먹으면 숙면을 취한다'(p<.01), '친한 친구들과 자주 과음 한다', '해장술은 숙취에 도움을 준다', '술은 간에 제일 영향을 준다' (p<.05)의 음주 인식도가 음주량 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모든 변수들이 43.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음주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직간접으로 학습한 의 보건 계열의 대학생들은 음주량이 적고 폭음하는 경향이 적다. 이들의 인체와 음주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음주 교육의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봉독의 ADH와 ALDH 활성 효과 (ADH and ALDH Activation of Purified Bee Venom (Apis mellifera L.))

  • 한상미;홍인표;우순옥;김세건;장혜리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9-27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서양종꿀벌의 일벌에서 채집하여 정제한 정제봉독이 알코올 분해능에 관련이 있는 ADH와 ALDH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ADH와 ALDH 활성은 in vitro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제봉독 처리에 의해 ADH와 ALDH 효소 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DH 효소는 1mg/ml 이상의 정제봉독을 처리했을 경우 양성대조구(2mg/ml) 대비 $88.6{\pm}7.34%$의 활성도를 보였으며, ALDH 효소 역시 1mg/ml 이상의 정제봉독에서 양성대조구(2mg/ml) 대비 $94.6{\pm}0.57%$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정제봉독은 숙취 해소능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물질인 ADH와 ALDH 효소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향후 추가시험을 통해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식의약품 소재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W-CDMA 시스템을 위한 가변율 음성코덱 설계 (Design of a variable rate speech codec for the W-CDMA system)

  • 정우성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제15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KSCSP 98 15권1호)
    • /
    • pp.142-147
    • /
    • 1998
  • Recently, 8 kb/s CS-ACELP coder of G.729 is atandardized by ITU-T SG15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peech quality of G729 is better than or equal to that of 32kb/s ADPCM. However G.729 is the fixed rate speech coder, and it does not consider the property of voice activity in mutual conversation. If we use the voice activity, we can reduce the average bit rate in half without any degradations of the speech qu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variable rate algorithm for G.729. The variable rate algorithm consists of two main subjects, the rate determination algorithm and algorithm, we combine the energy-thresholding method, the phonetic segmentation method by integration of various feature parameter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procedure, and the variable hangover period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noise features, the 1 kb/s sub rate coder is designed for coding the background noise signal. So, we design the 4 kb/s sub rate coder for the unvoiced parts. The performance of the variable rate algorithm is evaluated by the comparison of speed quality and average bit rate with G.729. Subjective quality test is also done by MOS test. Conclusively, it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variable rate CS-ACELP coder produced the same speech quality as G.729, at the average bit rate of 4.4 kb/s.

  • PDF

알코올 유발 간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 자금정의 간 보호 효과 (Liver Protective Effects of Jageum-Jung in Alcohol-induced liver injury mice model)

  • 김광연;박광일;조원경;마진열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9-187
    • /
    • 2020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effects of Jageum-jung extract on alcohol-induced liver disease mice model. Methods : Alcoholic liver disease was induced by Ethanol in C57/BL6 male mice, which were fed Lieber-DeCarli liquid diet containing ethanol. Jageum-jung (100,200 and 300 mg/kg bw/day) were orally administered daily in the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ice for 16 days.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 that Jageum-jung promotes hepatoprotective effects by significantly reducing aspartate transaminase (AST) and alanine transaminase (ALT) levels as indicators of liver damage in the serum. Furthermore, Jageum-jung decreased accumulation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creased level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GSH) in the serum of the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ice model. Additionally, it improved the serum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y. Conclusions : This study confirmed the anti-oxidative and hangover elimination effects of Jageum-jung extract,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Jageum-jung to treat alcholic liver disease.

Mildronate가 혈청 알코올 농도와 숙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ldronate on Serum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ndrome)

  • 박선민;강박광;정태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8-174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Mildronate, an analogue of carnitine, influences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ndrome in rabbits and healthy college male students. In the animal study, ten rabbi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hundred mg per 1kg body weight of Mildronate was injected twice into five rabbits before injecting 50% ethanol; the rest of rabbits were injected with saline. The human study was performed with two sections. Each section of the study was conducted by a two-phase cross-over design with a four day wash-out period. All volunteers took Mildronate in one phase, and took a placebo in the next ph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ctions was related to the time of taking the Mildronate pill and the amount of alcohol consum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those taking Mildronate and in those taking the placebo in both the human and the animal study.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GOT), the indicator of liver cell damage, was lowered in those taking Mildronate, compared to those taking the placebo. Also, headache and heartburn among hang-over syndrome patients were less severe with Mildronate. In conclusion, taking Mildronate prior to drinking alcohol can somewhat reduce liver cell damage and hang-over syndrome without stimulating alcohol metabolism.

  • PDF

Oenanthe javanica extract accelerates ethanol metabolism in ethanol-treated animals

  • Kim, Jong-Yeon;Kim, Ki-Hoon;Lee, Youn-Ju;Lee, Seung-Ho;Park, Jong-Cheol;Nam, Doo-Hyun
    • BMB Reports
    • /
    • 제42권8호
    • /
    • pp.482-485
    • /
    • 2009
  • The effect of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extract in eliminating ethanol was evaluated in New Zealand white rabbit and ICR mice. When a hot-water extract of water dropwort extract and ethanol was injected into New Zealand white rabbit, the plasma ethanol level was rapidly reduced, similar to metadoxine treatment. Specifically, the n-butanol fraction of hot-water extract was the strongest in eliminating plasma alcohol in ICR mice. When ethanol was orally ingested, administration of the hot-water extract eliminated up to 44% of the plasma ethanol in mice while the n-butanol fraction eliminated around 70%. Alcohol removal behav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response to 50-200 mg/kg of n-butanol fraction. These data show O. javanica extract is effective in overcoming alcohol intoxication by the accelerating ethanol metabolism.

생약 조성물, DTS20의 알코올 분해 및 항염증 효과 (Effect of Herbal Composition, DTS20 on Alcohol Degrada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 윤택준;조선영;이수정;김은영;신광순;서형주
    • KSBB Journal
    • /
    • 제26권5호
    • /
    • pp.433-438
    • /
    • 2011
  •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lcohol degradation effects of the extract of herbal composition (DTS20) containing Viscum album L., Lycium chinense L., Inonotus obliquus and Acanthopanax senticosus H., on the alcohol administered mice. To investigate anti-hangover effect, alcohol and alcohol dehydrogensae (ADH) concentration of blood were measure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 The administration of DTS20 (200-500 mg/kg) had beneficial actions toward alcohol degradation in acute alcohol treated mice model. The oral administration of DTS20 showed decreased gastric mucous membrane damage produced in ethanol treated mice. In addition,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DTS20 showe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inhibition tests of vascular permeability produced by acetic acid. DTS20 also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nitric oxide (NO),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 macrophages that were activated by LP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DTS20 possesses potential to stimulate the alcohol degradation and inhibit the inflammatory effects in mice.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s를 이용한 이중 임계값 방식의 음성구간 검출기 (Voice Activity Detection Algorithm base on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s with Dual Threshold)

  • 김홍익;박승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2C호
    • /
    • pp.1660-166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구조, 적은 계산량과 안정된 빠른 수렴속도를 가진 RBF (Radial Basis Function)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이중 임계값 방식의 음성구간 검출기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음성압축기에 사용되는 CELP (Code-Excited Linear Prediction) 파라미터들을 신경회로망 입력으로 하여 잡음에 강하게 반응하게 하였고, 음성구간 검출기의 성능향상을 위해 음성구간과 침묵구간에서 다른 임계값을 사용하는 이중 임계값 방식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이중 임계값을 이용한 RBF 신경망 음성구간 검출기는 G.729 Annex B 음성구간 검출기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기존의 MLP (Multi Layer Perceptron)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음성구간 검출기와 비교하여 음성구간에서는 비슷한 성능을 보였으나 침묵구간에서 25% 정도의 성능향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