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f-lives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8초

Neonicotinoide계 농약 dinotefuran과 thiacloprid의 오이 중 잔류특성 (Residual characteristics of Neonicotinoid Insecticide dinotefuran and thiacloprid in cucumber)

  • 이은영;노현호;박영순;강경원;이광헌;박호경;윤상순;진충우;한상국;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8-104
    • /
    • 2009
  • 현재 오이에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neonicotinoid계 살충제 dinotefuran과 thiacloprid를 시설재배 오이에 살포하여 생물학적 소실곡선식을 통한 수확 전 약제 살포 후 경과일수별 잔류량을 예측하였다. Dinotefuran의 검출한계는 0.01 mg/kg이고 thiacloprid의 검출한계는 0.005 mg/kg 이었다. 두 시험농약의 회수율은 dinotefuran과 thiacloprid에서 각각 85.78-89.52%와 85.71-95.31% 이었다. 회귀곡선식을 이용한 시험농약의 반감기는 dinotefuran의 경우 기준량 배량에서 모두 2.8일 이었고, thiacloprid의 경우 기준량 배량에서 각각 1,8일과 1.5일 이었다. 두 시험약제 초기 잔류량은 모두 잔류허용기준 이상이었으나 수확예정일의 시험농약의 잔류량은 모두 잔류허용기준 미만이었으며, 수확예정일의 잔류량으로 산출한 시험농약의 1일섭취허용량 대비 식이섭취량 비율은 모두 0.1% 미만이었다.

전북지역 보육시설의 시설유형에 따른 급식운영관리 실태 조사 (Assess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Child Care Centers Operated by Various Types of Foundations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 노정옥;이은파;이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4-83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food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child care centers operated by various types of foundations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25 child care center director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an SPSS v11.5 program. Approximately 82.4% of the directors were women with an the average age of 45 years old.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in each 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 was 84.7 and 88.8, respectively (P<.001), and the difference in time of operation was significant(P<.001). Only 20.8% of the centers employed a dietitian, whereas 92.0% of the centers employed a cook, thus, food service was not managed by professionals in most centers. In approximately 99.2% of the centers, meals were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difference in daily meal frequency was significant(P<.05), with approximately 85.6% of the centers serving snacks twice a day primarily to supplement the intake of nutrients(4.44 point) and to add fun to the daily lives of the children(4.12 point). Approximately 40.7% of the directors of public centers and 57.6% of the directors of private centers responded that the most difficult aspect of food service management was financial management. Overall, 56.8% of the directors responded that the details of financial managemen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ir abil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food service. In most centers, the center director was also the purchasing manager and half of them purchased food every day. Approximately 97% of the directors responded that they do not include instant foods in their menu plans but they would use them if the children wanted to eat the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od service management in child care centers in the Chonbuk area is relatively inadequate. We strongly recommend that they hire dietitians for food service administration and focus on strengthening sanitation management.

원자력시설의 사고시 가축의 공기 흡입과 토양 섭취가 육류의 방사능 요염에 미치는 영향 (Contaminative Influence of Beef Due to the Inhalation of Air and the Ingestion of Soil of Livestock from an Acute Release of Radioactive Materials)

  • 황원태;김은한;서경석;정효준;한문희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81-188
    • /
    • 2004
  • 방사성물질의 대기 누출 사고시 환경에서 핵종 거동을 모사하는 동적 섭식경로모델 DYNACON을 개선하여, 가축 (육우)의 공기 흡입과 토양 섭취가 육류 (쇠고기)의 방사능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들 두 오염경로는 누출이 육우의 비방목 기간에 일어나는 경우에 육류의 오염에 있어서 결코 무시될 수 없는 경로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누출 후 대부분 기간에 걸쳐 토양 섭취에 의한 육류의 오염 영향이 공기 흡입에 의한 영향에 비해 우세하였다. 누출 기간동안 강우는 토양 섭취에 의한 육류의 오염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단반감기 핵종인 $^{131}I$ 보다 장반감기 핵종인 $^{137}Cs$의 경우에 보다 뚜렷하였다. 이전에 수행된 우유에 대한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공기 흡입과 토양 섭취는 육류에 대해 보다 중요한 오염경로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육류에서 핵종의 긴 생물학적 반감기 때문이다. 방목기간에 방사성물질이 대기로 누출되는 경우 누출 기간동안 강우의 유무에 관계없이 목초 섭취에 의한 오염 영향이 지배적이었으며, 결과적으로 토양 섭취와 공기 흡입에 의한 오염 영향은 우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 PDF

GIS 기반 공간예측모델 비교를 통한 인도네시아 자바지역 산사태 취약지도 제작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by Comparing GIS-based Spatial Models in the Java, Indonesia)

  • 김미경;김상필;노현주;손홍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927-940
    • /
    • 2017
  • 산사태는 인도네시아에서 오랫동안 피해가 많은 재해로 최근 기후변화와 산지 주위의 무분별한 도시 개발로 인해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자바지역은 매년 산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인도네시아 인구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어 그 피해가 크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산사태 위험지역에 매년 거주하는 주민이 증가하고 있어 산사태 위험지역 및 취약지 분석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자바지역을 대상으로 GIS 기반 공간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산사태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의 산사태 발생 위치, 지형, 수문, 토양, 토지피복 등의 지형공간정보 자료를 구축하였고, 공간예측모델로는 Weight of Evidence (WoE),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 인공신경망을 선정하여 산사태 취약지도를 제작하였다. 세 가지 모델은 각각 66.95%, 67.04%, 69.67%의 예측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인도네시아 산사태 피해 예방 및 산사태 관련 재난관리정책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상추 재배토양 중 잔류 Azoxystrobin의 작물흡수 (Absorption of soil residual azoxystrobin to lettuce)

  • 김민기;황규원;황은정;유수철;문준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43-34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azoxystrobin을 대상으로 작물재배 토양중 azoxystrobin의 잔류소실 및 상추로의 전이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포장시험은 광주(GLT)와 용인(YLT)의 시설 재배지 두 곳에서 실시하였다. Azoxystrobin을 토양 중 서로 다른 두 농도로 처리한 후, 토양과 상추를 채취하였다. 토양과 상추 중 평균 회수율 범위는 86.9113.6%이었고, 변이계수는 0.14.6%였다. Azoxystrobin의 초기 토양농도는 시험포장 1에서 9.20, $11.00mg\;kg^{-1}$이었으며 농약처리 43일 후에 1.36, $2.70mg\;kg^{-1}$로 감소하였고, 시험포장 2에서는 초기 토양농도가 1.06, $2.23mg\;kg^{-1}$이었고 농약처리 36일 후에 0.20, $0.67mg\;kg^{-1}$으로 감소하였다. 시험포장 1에서의 토양 중 반감기는 저농도와 고농도 처리구에서 19.4, 23.3일이었으며, 시험포장 2에서는 11.5, 17.8일 이었다. 상추 중 azoxystrobin 잔류량은 GLT과 YLT 두 포장에서 0.02 미만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효소 억제제에 의한 토끼의 점막 추출액중 로이신엔케팔린 및 [D-알라$^2$-로이신엔케팔린아미드의 분해 억제 (Inhibition of Enzymatic Degradation of Leucine Enkephalin and $[D-Ala^2]$-Leucine Enkephalinamide in Various Rabbit Mucosal Extracts by Inhibitors)

  • 전인구;박인숙;현진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3호
    • /
    • pp.175-185
    • /
    • 1996
  • To inhibit the enzymatic degradation of leucine enkephalin (Leu-Enk) and its synthetic analog. $[D-ala^2]$-leucine enkephalinamide (YAGFL), in the nasal, rectal and vaginal mucosal and serosal extracts of rabbits, effects of enzyme inhibitors such as amastatin (AM), puromycin (PM), thiorphan (TP), thimerosal (TM), EDTA, N-carboxymethyl-Phe-Leu (CPL), phenylethyl alcohol (PEA), phenylmercuric acetate (PMA), benzalkonium chloride (BC) and modified cyclodextrins, alone or in combination, were observed by assaying the pentapeptides staying intact during incubation. Mucosa extracts were prepared by exposing freshly-excised mucosal specimens mounted on Valia-Chien cells to isotonic phosphate buffer while stirring. The degradation of Leu-Enk and YAGFL followed the apparent first-order kinetics. The half-lives (mean) in the nasal, rectal and vaginal mucosal extracts were found to be 1.07, 0.33 and 1.14 hr for Leu-Enk, and 16.9, 6.2 and 6.8 hr for YAGFL, respectively. AM or PM, which is an aminopeptidase inhibitor, did not show a sufficient inhibition of Leu-Enk $(50\;{\mu}g/ml)$ degradation in all kinds of extracts. $Dimethyl-{\beta}-cyclodextrin\;(DM-{\beta}-CyD)$ decreased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s of Leu-Enk about 2 or 3 times, comparing with no additive. However, the use of mixed inhibitors of AM $(50\;{\mu}M)$/TM (0.25 mM)/EDTA (5 mM) resulted in a full stabilization of Leu-Enk by decreasing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s 67.3, 161.3 and 113.8 times far the nasal, rectal and vaginal mucosal extracts, respectively, comparing with no inhibitor. With mixed inhibitors, Leu-Enk remained intact more than 90% after 6 hr-incubation. In the stabilization of YAGFL, hM, TP or CPL alone showed little efffct, and some additives demonstrated a considerable inhibition of YAGFL degradation in the rank order of TM > BC > EDTA. However, the addition of mixed inhibitors such as TM (0.5 mM) and EDTA (5 mM) into the extracts protected YAGFL from the degradation by more than 85% even after 24 hr-incubation, suggesting almost complete inhibition of YAGFL degradation in the extract. On the other hand, $DM-{\beta}-CyD\;or\;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10%) were also found to retard enzymatic degradation rates of YAGFL markedly, and resulted in staying intact more than 80% of YAGFL in the nasal and vaginal mucosal extracts, and more than 60% in the rectal mucosal extract after 16 hr-incubation.

  • PDF

토끼의 수종 점막 추출액중 $[D-Ala^2]-Methionine$ Enkephalinamide의 분해 및 안정화 (Degradation and Stabilization of $[D-Ala^2]-Methionine$ Enkephalinamide in Various Rabbit Mucosa Extracts)

  • 전인구;양윤정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2권3호
    • /
    • pp.173-183
    • /
    • 1992
  • To study the feasibility of transmucosal delivery of $[D-ala^2]-methionine$ enkephalinamide (YAGFM), its enzymatic degradation and stabilization in various rabbit mucosal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HPLC method. The degradation of YAGFM was observed to follow the first-order kinetics and the half-lives of YAGFM in the nasal, rectal and vaginal mucosal extracts were found to be 25.7, 3.0 and 7.8 hr,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gradation rates of YAGFM between the mucosal and serosal extracts obtained from the same mucosal membrane. This finding suggests that even a synthetic enkephalin analog, which is designed to be resistent to aminopeptidases, needs to be fully protected from the enzymatic degradation in mucosal sites for the delivery of the analog through mucosal routes. To inhibit the degradation of YAGFM in various mucosal extracts, effects of enzyme inhibitors such as bestatin (BS), amastatin (AM), thiorphan (TP), thimerosal (TM) and EDTA, alone or in combination, and modified cyclodextrins were observed by assaying YAGFM staying intact during 24 hr-incubation at $37^{\circ}C$. It was found from the results that mixed inhibitors such as TM (0.5 mM)/EDTA (5 mM) or AM $(50{\mu}M)/TM$ (0.5 mM)/EDTA (5 mM) provided very useful means for the stabilization in various mucosal extracts. The latter was found to protect YAGFM from the degradation in the nasal, rectal, and vaginal mucosal extracts by 90.9, 90.4 and 91.3%, respectively, after 24 hr-incubation, suggesting almost complete inhibition of YAGFM-degrading enzymes present in the incubation mixture. However, BS $(50{\mu}M)$, AM 50 $(50{\mu}M)$ or TP$(50{\mu}M)$ alone did not reveal sufficient inhibition except TM (0.5 mM) or EDTA (5 mM). The adddition of $2-hydroxylpropyl-{\beta}-cyclodextrin$(10%) to the nasal mucosal extract, and $dimethyl-{\beta}-cyclodextrin$(10%) to the rectal and vaginal mucosal extracts reduced the first-order rate constants for the degradation of YAGFM by 5.8, 17.3 and 8.9 tim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with no additive.

  • PDF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한 시판 Choline Magnesium Trisalicylate 정제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Bioequivalence Evalua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Choline Magnesium Trisalicylate Tablets in Healthy Volunteers)

  • 박경호;신현택;이민화;고영율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2권3호
    • /
    • pp.229-235
    • /
    • 1992
  • The bioequivalence of two commercial choline magnesium trisalicylate (CMT) tablets was evaluated in 10 normal male subjects (age 21-27 yr, mean 23 yr) following single oral administrations of two products. Test product was $Trimax^{\circledR}$ tablet (Hyundai Pharm. Ind. Co., Ltd., Korea) and reference product was $Trilisate^{\circledR}$ tablet (Purdue Frederick, U.S.A.). Both products contained 500 mg salicylate. In the study, ten volunteers were administered one tablet of $Trimax^{\circledR}$ or $Trilisate^{\circledR}$ with randomized two period cross-over study.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two product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using Student's t-test and ANOVA. When Student's t-test was applied, mean area under the curves (AUC) of $Trilisate^{\circledR}$ and $Trimax^{\circledR}$ were $388.88{\pm}74.99\; {\mu}g{\cdot}hr/ml$ and $390.63{\pm}63.02\;{\mu}g{\cdot}hr/ml$ hrlm!,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mean peak concentrations $(C_{max})$ and mean times to peak $(T_{max})$ of $Trilisate^{\circledR}$ and $Trimax^{\circledR}$ were $71.1{\pm}12.2$ and $72.9{\pm}10.7\;{\mu}g/ml$, and $72{\pm}33$ and $57{\pm}36min$,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mean terminal phase half-lives $(t_{l/2ter})$ of the two products were $2.57{\pm}0.47$ and $2.43{\pm}0.40$ hr, and also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When ANOVA was applied, the parameters of the two products were not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bioavailability of $Trimax^{\circledR}$ table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rilisate^{\circledR}$ tablet.

  • PDF

시금치의 생육, 저장기간 및 세척에 따른 잔류농약 분해특성 (The Degradation Patterns of Two Pesticides in Spinach by Cultivation, Storage and Washing)

  • 서정미;하동룡;이향희;오무술;박종진;신현우;김은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1-99
    • /
    • 2010
  • 시금치에서 부적합 빈도가 높은 농약성분 중 시금치에 대한 안전사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azoxystrobin과 안전사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cholrpyrifos에 대하여 재배 및 저장기간에 따른 잔류량 변화, 세척방법에 따른 제거 효과를 실험하였다. 시금치에서 azoxystrobin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파파 품종과 월동 품종이 각각 3.8일, 3.2일이였고, chlorpyrifos는 4.7과 3.8일이였다. 회귀식을 이용하여 MRL이하로 잔류량이 떨어지는 시점을 예측한 결과, 파파와 동 품종에 처리한 azoxystrobin는 각각 9.7일, 9.4일이였고, chlorpyrifos는 49.2일과 42.5일이였다. 저장기간 중 azoxystrobin의 예상 반감기는 노지 상태의 생육기간 반감기와 비교해 품종별로 약 2.8~8.9배 더 길었으며, chlorpyrifos를 처리한 파라와 월동 품종의 예상반감기도 생육기간의 반감기와 비교해 약 2.7~3.9배 더 긴 반감기를 나타내었다. 세척방법에 따른 azoxystrobin의 제거율은 데치기 방법이 단독 방법으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었으나, chlorpyrifos는 1가지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세척에 의한 품종별 잔류농약 제거율은 azoxystrobin이 9.6~90.0%, chlorpyrifos가 17.7~85.8%였다.

Poly A tail이 없는 SV 40 spliced RNA의 구조 및 핵내 축적의 원인 (The Structure and The Reason for Nuclear Accumulation of Poly A(-) Spliced SV40 RNA)

  • 박주상;노정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
    • /
    • 1989
  • SV40 바이러스가 원숭이 세포(CVIP)에 감염한 후기에 생기는 poly A(-) 19S RNA의 5'끝과 splicing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primer extension 및 그 변형방법을 행하였다. 이 RNA의 5' 끝은 SV40 후가 RNA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cap 자리 인 잔기 325 위치임이 밝혀졌다. 또한 splicing 유형도 세포질의 polyA(+)인 19S RNA와 같은 잔기 373에서 잔기 5581까지의 intron이 제거된 형태이었다. Sl 뉴클리아제에 의한 분석결과 이 RNA의 3' 끝은 polyadenylation 위치로부터 상위로 약11kb에 걸쳐 다양하게 존재함을 알았다. 정상적인 cap 자리와 splicing 형태를 지닌 이 RNA가 왜 핵에 축적되는지의 이유를 조사하였다. 이 RNA상에 사용되지 못한채로 남아있는 3' splice 부위가 핵내 편재를 유발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3' splice 부위를 결손시킨 돌연변이 SV 40 pNA를 세포에 도입시켰다.. 그 결과 3'splice 자리가 없는 RNA는 세포질에 많이 축적됨을 관찰하였다. 이 결손 RNA의 세포질내 축적은 결손으로 인해 RNA의 안정성이 증가함으로써 비롯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actinomycin D 추적실험을 통해 밝혔다. 따라서 정상적인 19S spliced RNA가 세포질로 이동되는 과정을 방해하는 것은 사용되지 않은 3' splice 부위에 형성된 pre-splicing 복합체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