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ness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5초

저장기간 동안 돌산 갓 피클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lsan Leaf Mustard Pickles)

  • 손혜련;오선경;배상옥;최명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936-9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돌산 갓을 이용하여 저염 피클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저장기간 중 이화학적 및 관능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돌산 갓 피클을 −2℃에서 90일 동안 저장하였다. 염도는 1.63~1.85% 범위를 유지하였다. pH는 저장 0일째 약 4.5에서 저장 90일째 4.37로 감소하였다. 산도는 저장기간 중 60일째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약 1.1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색도의 L값은 잎에서 30일째까지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고, 줄기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a값은 증가하였고, 반면에, b값은 감소하여 갈변 현상이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 수는 0일째 DMP잎에서 1.4×103 CFU/ml, DMP 줄기에서 5.6×103 CFU/ml로 나타났고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아삭거림이 30일째 감소하였고, 질긴 정도는 증가하였다. 신맛은 증가하였고, 짠맛은 감소하였다. 90일간 저장기간 동안에도 연부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래서 최적의 돌산 갓 피클은 30일째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돌산 갓은 저염 피클제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수입 위주의 피클을 대체함과 동시에 돌간 갓을 이용한 식품의 다양화에 기여하고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미 식이섬유를 첨가한 튀김가루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ying Mix added with Brown Rice Fiber)

  • 최승일;김태종;박진희;임춘선;김문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1-680
    • /
    • 2011
  • In this study, frying mix was prepared containing 0.5, 1.0, 1.5 or 2.0% brown rice fiber(BRF). The samples along with a control were then compared regarding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pasting properties, spreadability, pick-up ratio,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s, moisture and oil contents, and sensory qualities, all to determine the optimal ratio of BRF. For the pasting properties of frying mix, the control group was evidenced by a significantly higher peak viscosity, through viscosity, and final viscosity than that observed in the BRF samples. Breakdown was the highest at the 1.0% addition level, and time to peak viscosity and pasting temperature were maximal with the 0.5%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tback among the experiments. Spreadability and pick-up ratio of frying batt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As the BRF content increased, the lightness, greenness decreased, whereas yellowness increased. The BRF samples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of fried batt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spiness among the samples. Moisture content of fried sweet potato decreased with increasing BRF and oil content was the maximum on the control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appearance, color, flavor, savory taste, yellowishness, coating thickness, off-flavor, and oil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ried sweet potato samples. Bindingness, crispiness, and chewiness were highest in the control samples but minimal at a addition level of 2.0%. The control group evidenced significantly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were observed in the BRF samples. In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0.5~1.0% BRF may prove quite useful as a additive for frying mix in the preparation of fried sweet potato and may provide favorable tex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호숙기와 황숙기 멥쌀을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Dough Ripe Stage Rice and Yellow Ripe Stage Rice)

  • 박소라;이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3-359
    • /
    • 2013
  • 쌀의 미성숙상태의 whole grain인 dough ripe stage rice(DRSR, 호숙기)와 yellow ripe stage rice(YRSF, 황숙기) flours의 호화특성을 분석하고, 각각 30% 첨가한 백설기를 제조하여 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RVA 분석 결과, 30% DRSR와 YRSR flour은 완숙기 멥쌀(FRSR, control) flour 보다 호화 속도와 호화액의 안정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RSR과 YRSR을 중량대비 30%를 첨가하여 제조한 백설기의 수분함량은 DRSR와 YRSR flour 자체의 낮은 수분함량에 의해 완숙기(FRSR, control) flour로 제조된 백설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백설기의 색도는 강한 greenness와 yellowness가 나타났는데, 이는 DRSR와 YRSR flour자체의 고유색에 의해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조직감의 경우,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와 resilience는 30% DRSR와 YRSR를 첨가한 백설기가 control보다 낮게 분석되었는데, 이는 DRSR과 YRSR 자체의 낮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백설기 제조 시 위의 조직감 특성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검사 결과, 30% DRSR와 YRSR 백설기의 green color와 greenish taste는 DRSR와 YRSR 고유의 색과 향에 의해 cont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30% DRSR 백설기가 가장 높았으나 control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미성숙 전곡립 DRSR를 30% 첨가하여 백설기를 제조한다면 색과 맛 그리고 향이 부여되며 전반적인 기호도가 완숙기 일반 멥쌀로 제조한 백설기와 유사하여 백설기의 부재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 제시된 결과들은 제조당일의 백설기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 앞으로 저장기간을 통한 백설기의 노화에 관한 품질특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금 농도와 삭힘 시간에 따른 깻잎 장아찌의 전처리 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Pretreatment Condition according to Salt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in the Preparation of Perilla Jangachi)

  • 이혜란;남상민;이종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0-77
    • /
    • 2002
  • Jangachi(salted and fermented vegetable) has been made by Korean traditionally using several kinds of vegetables, which is a good source of variety of nutrients and vitamins. There are many methods for making Jangachi. Generally soy sauce Jangachi is made through two steps. First, as a pretreatment, vegetables are soaked in salt water. Second, soaked vegetables are fermented in various ingredients like soy sauce, sugar, garlic, ginger and so 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changes in contents of chemic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of pretreated perilla leaf. Perilla leaf was soaked in water with different levels of salt concentration(2, 5 and 8 %) and soaking time(1, 3 and 5 days). The optimal level of salt and soaking time was determined with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analysis of composition. The moisture contents decreased as the levels of salt and soaking time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untreated sample was 87.5 % and when soaked for 5 days in the water of 8 % salt concentration, it became 78.27 %. pH of Perilla leaf was high in high levels of salt concentration and short soaking time. Total acidity was so opposite to pH that was low in high levels of salt concentration and short soaking time. In the water of 8 % salt concentration, total acidity was 0.14 % when soaked for 1 day, 0.20 % for 3 days and 0.30 % for 5 days. Salt contents became greater as the soaking time increased. As the results of puncture test, soaked Perilla leaf's toughness increased as the levels of salt increased and soaking time decreased. Among the sensory attributes, greenness increased as the levels of salt concentration increased when soaked for more than 3 days. Saltiness and bitterness became greater as the levels of salt concentration increased. Perilla flavor decreased with the short soaking time. Off-flavor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levels of soaking time and decreased salt concentration when soaked for more than 3 days. Toughness decreased as the levels of soaking time increased. Crispness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levels of salt concentration. The condition of pretreated Perilla was optimum when it soaked for 42 hours in 4 % salt concentration.

수도권 지표특성 분석을 위한 Landsat 자료의 활용 (Conjugation of Landsat Data for Analysis of the Land Surface Properties in Capital Area)

  • 지준범;최영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4-68
    • /
    • 2014
  •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지역의 지표면 특성분석을 위하여 Landsat 위성자료(Landsat 5, Landsat 7, Landsat 8)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표 특성지수와 지표면 온도를 계산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Landsat 자료는 가을철 자료로써 1985년 10월 21일의 Landsat 5, 2003년 9월 29일의 Landsat 7 그리고 2013년 9월 1일의 Landsat 8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서울과 주변지역에 대하여 토양조절 식생지수, 수정 정규 습윤지수, 정규 습윤지수, 태슬 모자형 밝기, 태슬 모자형 초록, 태슬 모자형 습윤, 정규 식생지수, 정규 건설지수와 같은 지표 특성지수와 지표면 온도를 산출하였다. 대부분의 지표 특성지수들은 도시, 시골, 산, 건물, 강 그리고 도로 등에서 잘 구별되었다. 특히, 도시화의 특징은 서울 주변의 신도시(예, 일산)에서 잘 나타났다. 정규 식생지수와 정규 건물지수 그리고 지표면 온도에 따르면 도시의 확장은 서울의 주변지역에서 뚜렷이 보였다. 지표면 온도와 지표고도는 식생 또는 건설물의 구조와 분포를 나타내는 정규 식생지수 그리고 정규 건물지수와 강한 상관성이 나타났다. 정규 식생지수는 지표면온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지표고도와 음의 상관성을 가지는 반면, 정규 식생지수는 지표면온도와 지표고도에 대하여 각각 반대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Landsat의 정규 식생지수와 정규 건물지수는 수도권지역에서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Landsat 8과 Landsat 5에서는 -0.6 이하의 강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Landsat 7에서는 -0.5 이상의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다.

유기산처리 갑오징어갑을 이용한 오이지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of Korean Pickled Cucumber using Cuttle Bone Powder Treated with Acetic Acid)

  • 김진수;조문래;허민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94-100
    • /
    • 2003
  • 수산가공부산물인 갑오징어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유기산처리 갑오징어갑을 이용한 고품질 오이지(갑오징어갑 처리 오이지)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특성을 전통적 오이지 제조법으로 제조한 대조구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유기산 처리 갑오징어갑의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오이지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고품질 오이지의 제조를 위한 유기산 처리 갑오징어갑의 최적 첨가농도는 0.3%로 판단되었다. 유기산 처리 갑오징어갑을 최적 비율로 첨가한 오이지의 염농도는 숙성 3일째에 4.5%에 도달하여 4.2%의 무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나, 숙성 6일째 이후에는 4.8%로 평형을 이루어 무첨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숙성 중 오이지의 pH, 경도는 제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감소폭은 대조구 제품이 갑오징어갑 처리 제품에 비하여 높았다. 그리고, 숙성 중 오이지의 색도, 적정산도 및 알코을 불용성 칼슘 함량의 경우 제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증가폭은 갑오징어갑 처리 제품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유기산 처리 갑오징어갑을 0.3% 첨가하는 경우 숙성 중 연화방지, 칼슘 강화 등에 의해 고품질 기능성 오이지의 제조가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 for Multi-temporal Monitoring of Soybean Vegetation Fraction

  • Yun, Hee Sup;Park, Soo Hyun;Kim, Hak-Jin;Lee, Wonsuk Daniel;Lee, Kyung Do;Hong, Suk Young;Jung, Gun H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2호
    • /
    • pp.126-137
    • /
    • 2016
  • Purpose: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egetation fraction of soybeans, grown under different cropping conditions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equipped with a red, green, and blue (RGB) camera. Methods: Test plots were prepared based on different cropping treatments, i.e., soybean single-cropping, with and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and soybean and barley-cover cropping, with and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The UAV flights were manually controlled using a remote flight controller on the ground, with 2.4 GHz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For image pre-processing, the acquired images were pre-treated and georeferenced using a fisheye distortion removal function, and ground control points were collected using Google Maps. Tarpaulin panels of different colors were used to calibrate the multi-temporal images by converting the RGB digital number values into the RGB reflectance spectrum, utilizing a linear regression method. Excess Green (ExG) vegetation indices for each of the test plots were compared with the M-statistic method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greenness of soybean fields under different cropping systems. Results: The reflectance calibration methods used in the study showed hig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anging from 0.8 to 0.9, indicating the feasibility of a linear regression fitting method for monitoring multi-temporal RGB images of soybean fields. As expected, the ExG vegetation indices changed according to different soybean growth stages, showing clear differences among the test plots with different cropping treatments in the early season of < 60 days after sowing (DAS). With the M-statistic method, the test plots under different treatments could be discriminated in the early seasons of <41 DAS, showing a value of M > 1. Conclusion: Therefore, multi-temporal images obtained with an UAV and a RGB camera could be applied for quantifying overall vegetation fractions and crop growth status, and this information could contribute to determine proper treatments for the vegetation fraction.

MODIS 식생지수에 미치는 센서 geometry의 영향과 센서 간 자료 호환성 검토 (Compatibility of MODIS Vegetation Indices and Their Sensitivity to Sensor Geometry)

  • 박선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5-56
    • /
    • 2014
  • 지표의 식생활력도를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위성 기반의 식생지수 자료를 연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자료합성법이 통상적으로 적용된다. 이는 자료합성을 통해 누락 자료나 신호 오류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장기적인 식생지수 자료 구축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 합성주기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위성 센서로부터 같은 시점에 생성된 식생지수 자료를 상호교호적으로 사용할 경우, 식생지수 자료 축적의 연속성과 안정성을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식물생장 연구에 있어 위성시스템 간 자료 호환 가능성뿐만 아니라 MODIS 자료 취득 조건, 즉 태양과 센서의 천정각이 미치는 영향을 센서 geometry 측면에서 파악하여 장기적인 식생모니터링을 위한 자료 구축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기간 중 센서천정각의 변화는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았고, 연도별로 불규칙한 등락을 나타냈다. 또, 동일 계절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계절에 따른 특징적 경년변화 패턴은 나타나지 않았다. 두 가지 분석 대상 자료인 NDVI와 EVI를 비교했을 때, EVI가 NDVI에 비해 더 안정된 결과를 보여주었고, 전반적으로 중위도 지역 식물생장의 계절적 특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주었다. 식생피복에 따른 NDVI-EVI 간 상관관계는 모두 유효한 결과를 얻었으나, 식생피복별로 상관도 차이를 보였고 상호간에 선형 관계가 아닌 상단부에서 수렴되는 곡선 관계를 보여주었다. Terra와 Aqua 위성에 의해 오전과 오후에 각각 관측된 식생지수를 비교한 결과, 상관계수 범위는 NDVI의 경우 0.641-0.880로, EVI의 경우 0.747-0.963으로 나타나, NDVI자료에 비해 EVI자료의 호환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두 센서 기반의 식생지수간 호환성 개선을 위해서는 두 자료 간의 회귀선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예외치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과제로 남는다.

  • PDF

위성기반의 한반도 식물계절학적 패턴과 대기 에어로졸의 시계열 특성 분석 (Satellite-Measured Vegetation Phenology and Atmospheric Aerosol Time Series in the Korean Peninsula)

  • 박선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97-50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요소와 대기 에어로졸이 한반도 식물계절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위성자료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매일 관측되는 위성관측 자료의 분석을 통해 지표관측이 갖는 식물계절학적 연구상의 시계열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분석된 4개의 주요 산림생태계 중 상록수림, 낙엽수림, 초지는 서로 유사한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보인 반면, 혼합림의 생장 패턴의 연도별변화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식생지수(VI)의 연중 진폭이 큰 삼림은 VI 연중 최대치에 보다 빨리 도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동일 삼림생태계 내에서는 시계열적인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식생지수의 위상(phase)은 VI 최대치가 관측되는 연중 시점을 의미하는데, 기온의 변화와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에어로졸 광학두께(AOT)의 시계열변화는 연도별 변화뿐만 아니라 계절적 특징을 강하게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농도는 늦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AOT의 연도별변화 패턴은 진폭과 위상 변화 측면에서 식생지수와 통계적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단지, AOT의 연중 진폭(amplitude)이 식생지수의 진폭과 미약한 상관관계를 보인 결과로 볼 때, 전반적인 에어로졸의 농도 변화가 식생활동에 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Functional Stay-Green SNU-SG1 in Rice

  • Yoo, Soo-Cheul;Cho, Sung-Hwan;Zhang, Haitao;Paik, Hyo-Chung;Lee, Chung-Hee;Li, Jinjie;Yoo, Jeong-Hoon;Lee, Byun-Woo;Koh, Hee-Jong;Seo, Hak Soo;Paek, Nam-Ch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1호
    • /
    • pp.83-94
    • /
    • 2007
  • During monocarpic senescence in higher plants, functional stay-green delays leaf yellowing, maintaining photosynthetic competence, whereas nonfunctional stay-green retains leaf greenness without sustaining photosynthetic activity. Thus, functional stay-green is considered a beneficial trait that can increase grain yield in cereal crops. A stay-green japonica rice 'SNU-SG1' had a good seed-setting rate and grain yield,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functional stay-green genotype. SNU-SG1 was crossed with two regular cultivars to determine the inheritance mode and identify major QTLs conferring stay-green in SNU-SG1. For QTL analysis, linkage maps with 100 and 116 DNA marker loci were constructed using selective genotyping with $F_2$ and RIL (recombinant inbred line) populations, respectively. Molecular marker-based QTL analyses with both populations revealed that the functional stay-green phenotype of SNU-SG1 is regulated by several major QTLs accounting for a large portion of the genetic variation. Three main-effect QTLs located on chromosomes 7 and 9 were detected in both populations and a number of epistatic-effect QTLs were also found. The amount of variation explained by several digenic interactions was larger than that explained by main-effect QTLs. Two main-effect QTLs on chromosome 9 can be considered the target loci that most influence the functional stay-green in SNU-SG1. The functional stay-green QTLs may help develop low-input high-yielding rice cultivars by QTL-marker-assisted breeding with SNU-SG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