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leaf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1초

옥수수수염, 들깻잎 및 포도줄기 복합추출물의 UVB 조사 피부 손상 및 Compound 48/80 유도 가려움증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Corn Silk, Perilla Leaf and Grape Stem Extract Mixture against UVB-Induced Skin Damage and Compound 48/80-Induced Pruritus)

  • 조병옥;신재영;데니스;황영민;이현서;유철;최지원;장선일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1-242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ynergistic protective effects of mixtures of corn silk, perilla leaf and grape stem extract (CPG mixture) against UVB-induced skin damage and compound 48/80-induced pruritus in mice. The results showed that treatment with CPG mixture exhibited much stronger suppressive effect on erythema and melanin index as well as melanin formation than treatment with ascorbic acid (AA) in UVB-irradiated mice. Moreover, the treatment with CPG mixture showed ameliorative effect on immune cell infiltration and collagen fiber destruction in UV-irradiated mice. The treatment with CPG mixture inhibited glutathione (GSH) depletion, lipid peroxidation an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UVB-irradiated mice. Furthermore, the treatment with CPG mixture inhibited compound 48/80-induced scratching behavior and histological changes in mic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PG mixture has potentials as functional and therapeutic materials against skin damage and itch-related skin diseases.

녹차, 메밀 및 포도잎 추출물 첨가식이가 동맥경화유발식이를 급여한 F1B Golden Syrian 햄스터의 지질대사와 대동맥의 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s Included Green Tea, Buckwheat and Grape Leaf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on Regression of Fatty Streak Lesions in F1B Golden Syrian Hamsters Fed the Atherogenic Diet)

  • 김영언;권은경;오세욱;한대석;김인호;이창호;이호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62-969
    • /
    • 2005
  • 7주령의 F1B golden Syrian 햄스터에게 동맥경화 유발식이에 녹차추출물, 메밀추출물 및 포도잎 추출물을 함유한 타블렛 제품을 각각 5%와 10%로 첨가하여 7주간 사육하였을 때 햄스터 체내의 지질성분과 대동맥 내에서의 지방의 축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녹차, 메밀, 포도잎 추출물을 함유한 타블렛 제품은 동맥경화유발식이를 섭취하는 햄스터의 혈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켰고, 대동맥궁내에서의 지방의 축적을 예방하였고, 간장내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를 첨가한 군보다 10%를 첨가한 군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녹차, 메밀 및 포도잎 추출물 분말을 이용하여 식이 보조제의 형태로 개발한 타블렛 제품이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식품으로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 '캠벨얼리'의 비가림 폭에 따른 과실품질 및 갈색무늬병 발생양상 (Fruit Quality and Occurrence of Brown Leaf Spot Disease (Pseudocercospora vitis) according to the Width of Plastic Shelter in the Grape 'Campbell Early')

  • 김수진;박서준;허윤영;남종철;고상욱;정성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3-118
    • /
    • 2015
  • 본시험은 포도 캠벨얼리의 광폭 비가림 설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광폭비가림은 비가림의 폭이 기존의 표준 비가림보다 30 cm 넓게 구성되어 있다. 비가림처리는 모두 대기온도보다 $2{\sim}3^{\circ}C$ 높게 나타났고 광폭비가림하에서 일 평균온도는 $0.5{\sim}1^{\circ}C$ 정도표준 비가림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대습도는 대기습도보다 15~20% 낮게 나타났으며 연차간 차이를 보였다. Pseudocecospora vitis 에 의해 발생하는 포도 갈색무늬병의 발생은 2012년에는 광폭비가림이 표준비가림 보다 55.6% 적게 나타났고 2013년에는 17.2% 적게 나타났다. 포도는 2년에 걸쳐 수확하였고 당함량, 산함량, 과립중, 과립크기 등 과실품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2012년에는 처리간 차이가 명확하지 않았으나 2013년에는 광폭비가림이 당함량이 $0.4^{\circ}Bx$ 높았고 산함량은 0.8%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광폭 비가림의 적용이 갈색무늬병의 발생 정도를 낮추고, 과실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차주머니나방(Eumeta minuscula)에 의한 포도 잎 피해증상 및 몇 가지 약제의 차주머니방에 대한 방제효과 (Leaf Damage Symptom of Grape (Vitis vinifera) by Tea Bagworm (Eumeta minuscula) and Control Efficacies of Several Insecticides against the Eumeta minuscula)

  • 송진선;이채민;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32
    • /
    • 2013
  • 차주머니나방에 의한 포도 잎 피해증상을 2012년 8월 31일 경북 영천시 금호읍에서 국내 최초로 확인하였다. 실내에서 5종 약제[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serotype IIIa, IIIb) WP, chlorantraniliprole 5% GP, methoxyfenozide 21% SC, spinetoram 5% GP, spinosad 10% GP]를 추천농도로 포도 잎 분무처리에 의한 차주머니나방 4령충의 살충율은 spinosad 10% WG와 spinetoram 5% WG에서 각각 65% 및 70%로 높았다. 추천농도 이하에서는 치사율이 감소하였고, 엽 피해면적율은 추천농도의 1/4배 처리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4령 유충에 대해 직접살포법으로 야외에서 효과조사를 한 결과는 spinetoram 5% WG와 spinosad 10% WG 처리의 보정사충율이 각각 63.7, 55.7%였다. 따라서 포도 차주머니나방 방제를 위해 spinetoram과 spinosad의 활용가능성을 나타내었으나, 보다 효과적인 약제선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아황산가스에 의(依)한 작물별파해엽율(作物別破害葉率) 및 가스흡수량조사(吸收量調査) (Absorption of sulfur dioxide gas with various crops and it's relation to leaf injury)

  • 김복영;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4
    • /
    • 1980
  • 대맥, 소맥, 대두(大豆), 감자, 고구마, 오이, 가지, 고추 토마토, 상치, 수박, 아주까리, 포도, 백합에 0.1, 0.25, 0.50, $1.0mg{\ell}/hr$의 아황산가스를 각각(各各) 접촉하여, 엽피해증상, 피해엽율(被害葉率), 체내유황함량, 가스흡수량(吸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아황산가스 농도증가에 따라 엽피해(葉被害)가 증가하였으며, 작물(作物)에 따라서 엽피해정도(葉被害程度)가 상이(相異)하여 가지는 $0.1mg/{\ell}/hr$에서 30%, 소맥, 감자, 아주까리, 수박, 백합은 $0.25mg/{\ell}/hr$에서 가시적(可視的) 피해(被害)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박은 $0.5mg/{\ell}/hr$에서 피해엽율(被害葉率)이 6.4%이였다. 2. 피해증상의 특징(特徵)은 대맥, 소맥은 엽맥(葉脈)사이를 따라 회백색(灰白色)내지 적갈색반점(赤葛色班点), 대두(大豆), 감자, 고구마, 아주까리, 가지, 고추, 토마토, 포도는 엽맥(葉脈)사이에 적갈색반점(赤葛色班点), 상치, 수박, 백합은 엽맥(葉脈)사이에 회백색반점(灰白色班点), 오이는 엽선단(葉先端)을 따라 백색(白色)으로 고사(枯死)되였다. 3. 오이, 가지, 고추, 아주까리는 $0.1mg/{\ell}/hr$의 아황산가스 흡수량(吸收量)이 $10{\ell}$ 이상(以上)인데, 상치, 수박, 포도, 보리, 밀은 $2{\ell}$ 미만이였다. 4. 아황산가스 농도(濃度)에 비례(比例)하여 각작물체내 유황함량(硫黃含量)이 증가하였으나, 흡수(吸收)된 가스량(量)은 감소(減少)하였고, 유황함량(硫黃含量) 및 흡수(吸收)된 가스량(量)은 작물(作物)에 따라 상이(相異)하였다. 5. 작물체내 유황함량(硫黃含量)이 증가함에 따라 피해엽율(被害葉率)이 증가하였으며, 전유황(全硫黃)과 수용성유황함량간(水溶性硫黃含量間)에는 $Y=0.79X-0.12({\gamma}=0.9522^{**})$의 정(正)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청수' 포도의 수형에 따른 수체 생육 및 과실 특성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Cheongsoo' Grape in Different Trellis Systems)

  • 김수진;박서준;정성민;노정호;허윤영;남종철;박교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427-433
    • /
    • 2014
  • 수형은 포도 과실의 품질과 수확량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이다. 또한 몇몇 포도 품종들은 다양한 기후와 토양조건에서 고유한 특성을 드러내기 위해 적합한 수형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청수' 품종의 우리나라에서의 재배에 적합한 수형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청수' 품종의 수형에 따른 광 환경을 비교한 결과 수광량이 높은 수형은 커튼형, 이중커튼형, 개량일자형 순이었다. 최대 광량의 경우 개량일자형은 약 $670{\mu}mol{\cdot}m^{-2}{\cdot}s^{-1}$인데 비해 커튼형과 이중커튼형은 약 1,654와 $1,649{\mu}mol{\cdot}m^{-2}{\cdot}s^{-1}$로 나타났다. 대기온도는 세 수형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광도 $1,500{\mu}mol{\cdot}m^{-2}{\cdot}s^{-1}$에서 개량일자형은 이산화탄소동화율이 $8.3{\mu}mol{\cdot}m^{-2}{\cdot}s^{-1}$인데 비해 커튼형과 이중커튼형은 13.4, $13.7{\mu}mol{\cdot}m^{-2}{\cdot}s^{-1}$로 나타났다. 주지횡단면면적과 발아율은 세 수형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눈의 수와 신초 수는 54.4개와 47.0으로 이중커튼형에서 가장 많았으며 커튼형에서는 눈의 수는 34.7개, 신초 수는 31.3개로 가장 적었다. 신초의 길이는 개량일자형의 경우 243.9cm로 가장 길었으며 이중커튼형은 151.5cm로 가장 짧았다. 초생엽과 부초엽의 엽면적의 경우에도 개량일자형이 다른 수형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관 내부 잎 수와 전체 잎에 대한 수관 내부 잎의 비율은 이중커튼형이 높게 나타났다. 과립 무게, 과립의 종경과 횡경은 수형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과방중은 이중커튼형에서 203.66g으로 가장 높았으며 개량일자형에서는 130.10g으로 가장 낮았다. 나무당 과방수 또한 이중커튼형이 136.8개로 개량일자형의 86.28나 커튼형의 97.42개에 비해 많았다. 산도는 이중커튼형에서 0.45로 다른 수형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청수' 품종은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높이면서도 과실의 품질이 저해되지 않는 이중커튼형으로 수형을 관리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청수' 품종의 농가 보급 및 재배에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포도나무 갈색무늬병의 최근 발생 동향과 다발생에 의한 과실의 당도저하 (Occurrence Tendency and Decrease of Fruits Brix According to Increasing Grapevine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 박종한;한경숙;이중섭;서상태;장한익;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41-344
    • /
    • 2004
  • Pseudocercospora vitis에 의한 포도나무 갈색 무늬병은 우리나라 포도 재배지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의 하나로 잎에 부정형 또는 원형의 갈색 무늬를 형성하며 병반의 크기는 2${\sim}$20mm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는 캠벨얼리 포도는 특히 이 병에 감수성이며 방제 상황에 따라서는 95%까지 심하게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포도의 주요 병이다. 심하게 병에 걸린 나무는 조기낙엽과 동화산물의 이동에 영향을 미쳐 생육과 이듬해 꽃눈형성이 억제되기도 하며, 과실의 당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갈색무늬병의 피해해석을 구명하기 위해 포도나무의 발병엽률을 누적하여 "누적 발병엽률"을 산출하고, 이를 3개 집단으로 구분한 뒤 각 집단에 속하는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의 당도를 측정한 결과 '상대적 당도'로 환산한 결과를 분석하여 Y = 0.0009$X^2$ - 0.371X + 116.45 ($R^2$ = 0.98)의 고도로 유의한 회귀식을 유도하였고, 이 방정식에 대입하여 병 발생이 심했던 집단의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와 상대적으로 발생이 적었던 집단과는 약 20%의 당도차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남항(Vitis romaneti) 유래 포도잎 추출물과 Resveratrol의 항산화 및 혈행개선 효과 (Effects of Antioxidant and Blood Flow Improvement of Grape Leaf Extract and Resveratrol from Vitis romaneti)

  • 강현주;김현수;전인화;목지예;한경수;장선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36-1743
    • /
    • 2013
  • 본 연구에서 사용한 남항(Vitis romaneti)은 중국에 주로 분포하는 야생종으로 현재 개량하여 재배하고 있는 포도 품종이나,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남항 포도 잎 추출물(VGLE)과 본 품종유래 지표물질인 resveratrol(VGLR)을 활용하여 AAPH로 유도된 적혈구 및 혈장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항산화 효과와 FeCl3로 유도된 경동맥 혈전 모델에서 혈행개선과 혈청학적 변화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VGLE 및 VGLR은 적혈구 및 혈장의 산화적 손상과 혈전을 억제함으로써 혈행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특히 VGLR은 혈청학적으로 혈전모델에서 Normal군과 유사한 혈청학적 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VGLE 및 VGLR은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행장애로 유발될 수 있는 심혈관계 및 뇌혈관계질환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물질이라는 것을 제시해주었다. 이와 관련된 VGLE 및 VGLR의 기능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분자생화학적 수준에서 더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포도 삽목에서 내생 균근균 접종효과 (Effectiveness on the Inocul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Cutting of Grapevine)

  • 위치도;안기홍;김홍림;손보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02-1007
    • /
    • 2010
  • 본 연구는 균근균 접종이 포도삽목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균근 형성율 그리고 형성 양상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포도 삽목시, 균근균 접종원을 처리한 거봉과 탐나라 품종은 무 접종처리 보다 엽수, 엽면적, 총 뿌리길이 그리고 뿌리 표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켐벨어리 품종의 총 뿌리길이와 뿌리 표면적은 무처리구 (AMF-)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접종 8주후 균근균 접종 처리구 (AMF+)의 형성율은 22.5-32.5%이었으며, 12주 후 켐벨어리, 탐나라 그리고 거봉의 균근 형성율은 각각 29.6%, 28.8% 그리고 48.8%이었다. 반면 균근균 무처리구 (AMF-)는 균근형성 수준이 매우 낮았다.